대전에서 고암 이응노 미술관은 몇번 기웃거렸지만, 사실 고암 이응노 생가는 어디 있는지 몰랐다.

내포역사인물길 2코스 걷기 출발점이라는 인연으로 만나게 된 것이다.

이제 그의 인생을 천착해본다..

 

백월산이 가까이, 용봉산이 멀리 보이는 한가한 동네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널찍한 면적으로 공원처럼 관리하니 생가공원 중에 상급이다..

 

복원된 생가는 초가 삼간..

그는 1904년 용띠해에 홍성에서 서당 훈장의 아들로 태어낫다. 나라는 일본에게 넘어가던 시절이었다.

자연스럽게 어려서부터 한자와 서예를 배웠다. 7살무렵 의병활동을 하던 숙부가 자결했단다.

 

버드나무 휘휘 늘어진 연못 건너편으로 생가를 바라보니 참 여유롭다.

 

그는 소학교(초등학교) 시절에도 그림에 소질이 잇었다.

 

 

<해강 김규진의 대나무 그림>

16세 집안에서 시키는 대로 조혼을 했다.

19세에 서울로 상경해서 왕실 화가로 유명한 당대의 고수 해강 김규진 문하에 들어가 문인화를 배운다.

(15번이나 툇자를 맞은 끝에 입문했다는 설이 있다)

해강에게 죽사(竹史)라는 호를 받는다.

20세인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청죽으로 입선한다. 

 

그는 22세-23세 때 서울, 전주 등지에서 간판점을 운영했다.

28세(1931년) 때 조선전람회에서 청죽으로 특선을 차지한다.

 

1933년 스승 해강이 죽자, 스승의 화풍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화풍을 꿈꾼다.

 그리고 규영 정병조로부터 고암이라는 호를 받았다. 

32세(1935년)에 조혼한 부인이 죽자, 그는 전주 출신 박귀희와 결혼한다. 그리고 가족과 함께 일본 유학을 떠난다.

일본화의 대가 마츠바야시 게이게츠(松林桂月)의 덴코화숙(天香畵塾)에 입문하여 서양미술의 소묘와 유화기법을 연수했다. (이때도 1년이나 문전박대를 당하다가 영친왕의 스승 해강 김규진의 제자라는 것을 알고서야 문하생으로 받아 주었다는 설이 있다)

그해 일본미술협회전에서도 풍죽으로 입선한다.

이후 일본과 조선 양쪽 화단에서 수상을 한다.

 

소화12년(1938년)에 그린 동대문..

 

1930년대의 그의 모습이 아닌가 한다..

 

이 여인은 누구일까? 

그의 인생에 중요한 여인은 박귀희와 박인경이다..

 

이응노는 일본의 패전을 직감한 1945년(42세)에 일본에서 가족과 함께 귀국한다. 

그리고 고향 근처인 예산 수덕사 아래 집을 사서 수덕여관을 개설하여 부인 박귀희에게 운영하게 하고 자신은 그림에 몰두 한다.

그무렵 수덕여관에 머물었던 여류화가 나혜석을 만나 프랑스 시절 이야기를 들은 것으로 보인다.

47년(44세)에 이화여대 제자 박인경을 만나기 시작한다..

50년(47세)에 6.25가 터지고, 아들(이문세)가 납북된다.

그는 고향인 이곳으로 피난을 왔다. 

58년(55세)에 21살이나 어린 박인경과 사랑에 빠져 함께 프랑스로 떠난다. 

(또 당시 국전에서 해강 김규진 계열이 소외당하는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이 있다)

 

프랑스에서 나름 활발히 활동하던 중 1967년(64세)에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고 수감된다.

그전에 6.25때 납북된 아들을 만나게 해준다는 북한공작원의 유혹넘어가 동베를린을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했는데, 이것이 빌미가 되었다.

 

 

그가 감옥에 수감되었을 때 전처인 박귀희가 옥바라지를 해주었다고 한다.

1969년 특사로 출옥한다.

 추사가 제주 유배생활 속에서 추사체를 완성시킨 것 처럼 

고암에게도 감옥생활은 그 예술세계를 변화시켰다.

그는 열악한 상황에서 부채, 밥풀, 간장 등 모든 재료를 이용해  그림, 조각, 판화 등 옥중작 300점을 만들었다.

 

출옥후에는 전처 박귀희가 있는 수덕여관에서 몸을 추스리며 마당바위에 문자추상 암각화를 제작하였다.

"삼라만상의 영고성쇠 모습"을 쓰거나 혹은 그렸다는 것이다.

이것이 새로운 예술세계의 출발을 알리는 예고편 아니었을까?

 

그리고 그는 현처 박인경이 있는 파리로 다시 떠났다.

(박귀희는 2001년 수덕여관에서 사망하고, 수덕여관은 수덕사에 팔렸다)

 

 

1970년(67세) 부터 문자추상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한다..

 

자신이 1904년생 용띠해에 태어남을 용(龍)이라는 문자추상으로 그렸다.

 

그리고 동물그림, 수묵추상, 판화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제작한다

 

그러다가 1977년(74세)..그의 3번째 부인인 박인경이 백건우, 윤정희 부부의 자그레브 납치 미수사건에 관여하면서 한국과 관계가 단절된다.

백건우, 윤정희 부부를 취리히를 거쳐 당시 유고 자그레브까지 데리고 간 사람이 박인경이엇던 것이다.

 (http://www.allinkorea.net/27857 )

 

1983년 그는 박인경과 함께 프랑스에 귀화했다.

 

1980년 광주항쟁이후 역작 군상을 발표한다..

 

그는 1987년(84세)에는 평양에서 전시회를 열었고(그때 방북하여 아들을 만났다는 설이있다, 아들 이문세는 사리원중학교 교감으로 정년한후 77세로 죽었다고 한다)

1989년(86세)에 서울 호암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고 귀국을 시도했으나 당국으로부터 거부되었는데, 전시회 첫날 프랑스 파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파리에 묻혔다.

2007년 부인 박인경이 고암의 미술품을 대전시 기증하면서 시립 이응노미술관이 개관한다.

2011년 홍성생가와 기념관이 만들어진다.

 

그의 삶을 생각해본다.

망국의 시대에 태어나, 숙부는 항일 의병으로 자결했지만, 그는 일본에 건너가 일본인 스승에게 서양화 소묘와  유화 기법을 배운다.

그리고 파리로 진출하여 세계와 겨룬다.

감옥생활의 역경에서 진일보한 미적 세계는 한국적 정서가 배어든 문자추상이나 군상 등 작품을 통해 세계적 거장으로 성장했다.

그의 인생은 이념적으로는 좌우를 넘나드는 행보를 보였지만 예술적으로는 끊임없는 성장과 성숙의 과정이었다.

 

이응노 기념관 전시실 다른 곳에는 5회 고암미술상 수상작가인 이진경의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그의 성장스토리는 다른 후진들에게 손가락이 아닌 달빛으로 전수되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고암연보(대전 시립 이응노미술관)  :  https://www.leeungnomuseum.or.kr/Menu.do?menuId=0101

가족대담(조선일보) :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801100053

홍성으로 간다. 내포역사인물길 2코스 구간을 걸으러..

얼마전, 동행이 무릎 부상을 입어 혼자 가는 길..

이제는 나이에 맞게 코스완주보다는 적당한 거리를 걷기로 했다.

그래서 오늘은 2코스 중 이응노생가 - 백월산 정상 사이를 왕복하는 6km를 걷기로 한다..

**

이응노생가에 도착하기 2km 전 용봉산이 보이는 동네에 연분홍과 진분홍 매화가 멋지게 피었다.

차를 돌려 가까이 가서 사진을 찍고 깊이 감상한다.. 

 

성장한 차림의 요염한 여인이 유혹처럼 치명적인 아름다움..

 

반면, 백월산은 하얀 벚꽃의 시중을 받고 있다..

낙화로다..꿈이로다.. 

노래 소리가 어디선가 들려오는듯하다..

 

벚꽃이 버들과 만나니, 시 한수가 생각난다..

조여청사모성설(朝如靑絲暮成雪)..

아침에는 검은 머리였는데 저녁에는 눈처럼 백발이 되었네

 

여기서는 우여청사좌성설(左如靑絲 右成雪)..

우측에는 푸른 실이 걸리고, 좌측에는 흰 눈이 내렸네..

 

널찍한 주차장에 차를 대고, 개울건너 생가로 간다..

 

고암(죽사) 이응노..

구한말 왕실화가 해강 김규진으로 부터 한국화를 배우고 활동하다가 프랑스로 건너가 추상화를 그렸다.

한국화, 서예, 서양화를 아우르는 서예추상, 군상 등 독창적인 화풍을 만들었다.

그의 그림과 인생은 나중에 대전 이응노미술관 구경까지 한 후에 별도 글로 올리기로 하고, 

오늘은 걷기에 집중한다..

 

그러한 잠시, 복사꽃이 눈에 들어와 마음까지 흔들어 놓는다..

평생 같이 살라면 질리겠지만 봄날 한철은 같이 살기 좋은 꽃..ㅎ

 

잠시 주변을 둘러보다 버드나무에게 다가간다.

버드나무 최고의 시는 하지장의 "영류(詠柳, 버드나무를 노래함)"다..

 

이월춘풍사전도(二月春風似剪刀)라는 명귀를 쓴 시인

"(음력) 이월 봄바람은 가위같구나"

버드나무에 신록의 나뭇잎이  올라오는 모습을 마치 봄바람이 가위질하여 오려 붙인 것처럼 묘사한 감각이 너무 현대적인 표현이기 때문이다.. 

 

碧玉妝成一樹高 
萬條垂下綠絲? 
不知細葉誰裁出 
二月春風似剪刀 

 

벽옥장성일수고
만조수하록사조
부지세엽수재출
이월춘풍사전도

 

푸른 옥빛으로 단장한 키 큰 버드나무
가지마다 푸른 끈을 아래로 드리웠네
저 가느다란 잎은 누가 오려 만들었을까
(음력) 이월의 봄바람은 가위와 같구나

 

***

어디 그뿐이랴, 김구선생이 인용하여 유명해진 시귀도 있다.

월도천휴여본질 (月到千虧餘本質) 

유경배별우신지 (柳經百別又新枝)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질은 그대로이고

버드나무는 백번 부러져도 다시 새가지가 돋는다.

 

***

대중가요 실버들, 애교있는 투정도 멋지다.

 

실버들을 천만사 늘여놓고도

가는 봄을 잡지도 못한단 말인가?

 

실버들 천만사 늘어진 물빛에 비친 백월산의 풍광이 오늘 걷기의 즐거움을 예고한다..

 

용봉산은 벚꽃비를 맞으며 장도를 환송한다..

 

왜가리가 퉁명스럽게 한마디 한다.

"아침부터 웬 신파여~"

 

왜가리가 뭐라카든 매화와도 눈인사하고, 수선화와도 딥인사를 한다..

 

이응노생가옆 전시관으로 들어가 전시품을 감상하고.. 

 

그는 파리에서 화가로 활동하던 중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수감생활을 하다가 

1969년 사면되어 파리로 떠났다.

1977년 부인 박인경이 백건우,윤정희부부 납치미수사건에 연루되면서 한국과의 관계가 단절된다.

1983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였고, 1989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한다.

그의 작품은 대전시에 기증되어 2007년 시립 이응노미술관이 개관하였고, 

2011년에는 홍성 이자리에 이응노생가가 복원되었다.

 

카페 벽이 쓰인 수상한 저 글씨 " 1937년 9월 11일 17시 40분 스탈린"

1937년 스탈린이 소련 연해주 한인들을 중앙아시아(우즈벡, 카자흐)로 강제이주 시킨 사건을 의미한다.

정추..라는 사람과 관련된다.

그는 광주 출신인데, 해방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1956년 장학생으로 소련 모스크바 유학중 남로당계 숙청사건에 자극을 받아 쏘련에 망명한다. 그후 카자흐스탄에서 음악활동을 하였다. 

그가 작곡한 <극적 교향조곡>에 “1937년 9월 11일 17시 40분 원동(연해주) 한인 강제 이주 희생 에 대한 추억”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그는 1991년부터 고향 광주를 방문하는 등 한국에서 음악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쏘련이 붕괴된후에는 카자흐스탄 시민권자가 되었고, 2013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사망했다.

 

***

정추의 행적과 완전 대비되는 사람이 윤이상이다..

윤이상..

한국에서 음악가로 활동하다가 1956년 파리로 건너간후 서베를린에 정착한다..

윤이상은 1963년 방북하는 등 친북활동을 하다가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사건으로 수감생활을 하다가 1969년 특사로 석방된다.

그는 1971년  서독국적을 취득하고 친북활동을 이어가고, 한국내 활동은 금지되어 생전에 고향 통영을 방문하지 못한다.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

해방전후, 좌우의 대립, 이념과잉의 시대에 지식인, 예술인의 삶은 마치 봄날의 꽃처럼 다양하게 피고 지었다..

누구를 탓하랴~, 시대를 탓하랴~

 

이제 백월산을 향해 출발한다.

명자꽃이 자주고름을 입에 물고 뜨겁게 환송한다..ㅎ

 

벚꽃 엔딩..오늘 지대루 만났다.

입김만 스쳐도 휘날리네~~

 

철쭉부대가 착검을 하고 돌격명령을 기다리고 있다.

보무도 당당히 주택가로 걸어들어간다..

 

 

거기서 복사꽃을 또 만났다..

오빠..나 좀 봐!

참 곱다..ㅎ

 

주택가 끝에서 산길이 시작된다..

 

아니?? 진달래..너 마저??

여기는 시간이 거꾸로 도나??

엔딩을 맞을 꽃들이 이리 싱싱하게 지천이네...

 

야는 자두꽃인가??

 

진달래가 유혹하는 대로 으슥한 샛길로 들어섰더니..

헉... 별천지네..

 

진달래, 벚꽃..자목련까지 춘정을 못이겨 땡땡한 몸매를 가누지 못하고 베베꼬꼬있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흰꽃과 백구가 하얌을 다투는 산사..

무쟁삼매는 어디 갔는고??

 

부처님은 꽃밭에 앉아서 꽃잎을 보네

고운 빛은 어디에서 왔을까?

 

산혜암 대웅전 벽에 달빛이 곱게 내려앉았는데..

이곳이 예전에 월산성(月山城)터였음을 증명하네..

 

 

백월산 올라가는 길에 만난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

백구의 세상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