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취임식장 하늘에 무지개 구름(채운)이 드리워져 상서로움이 눈길을 끌었다.

또 축하공연 중 아리랑도 적절한 테마였는데..

문제는 국립국악관현악단도 참가하였으니 아리랑 도입부는 한복을 곱게 입은 국악가수(송가인, 송소희 등)가 국악가락으로 제데로 부르고, 이어 테너들이 아리랑을 불렀으면 온고지신, 법고창신이 맞아떨어지고, 

전세계에 한복과 국악의 아름다움을 제데로 과시할 수 있었을텐데..

기획력이 아쉽다..

국악에 대한 안목이 이러하니, 작금에 학교 음악교육에 국악을 대폭 축소하려는 시도가 나오는 것이다..

국악의 종자를 보전하려면 대통령 문화행사부터 신경을 써야한다..

 

 

적토성산(積土成山)이면 풍우흥언(風雨興焉)이요

적보성도(積步成道)하면 신명자득(神明自得)이라

 

흙이 쌓여 산이 되면 비바람이 일어나고

발걸음이 많아져 길이 나면 신명이 절로 난다..

 

2022 설날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쇼를 보면서 느낀 점은 그녀(송가인)의 발걸음으로 길이 생기는 것을 보는 듯하다는 것이다.

십수대의 거문고 반주로 부르는 거문고야는 평창올림픽 퍼포먼스를 연상시키고, 배띄워라를 들으면 소동파가 술병들고 배에 올라탈 것 같고, 랩처럼 읊조리는 박타령이나 유희스카와 함께한 비나리는 저절로 리듬을 타게 만든다.

 

어릴적 장터에서 창부타령, 술집에서 니나노, 강변 천막에서 판소리, 창극을 보던 세대도

성장하면서는 남진, 나훈아를 외면하고 비틀즈, 싸이먼 앤 가펑클,  아바 등에 빠져 지냈고, 커서는 클래식, 재즈에 기웃거리고 지냈다.  

하물며, 요즘 젊은이들은 판소리 사설은 전혀 모르면서 영어가사를 줄줄 외고, 외국밴드가 공연하면 떼창으로 감동을 주기까지 한단다.

그러니, 국악에 대해서는 다들 막귀이고, 외국인과 다를바 없다.

 

하지만, 그녀의 영향으로 그녀가 부르는 국악에 점점 귀를 기울이고, 어릴적 귀맛을 회복해가고 있는 중이다.

골프, 와인, 클래식을 연구하듯이 국악도 연구하게 된다.

 

사실, 우리 양궁이 세계를 제패하는 배경에는 전국 시군에 즐비한 국궁장의 저력이  깔려있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는 활의 달인 2명이 나라(고구려, 조선)를 건국하였고,  전투체육으로 활쏘기를 하여온 나라다. 지금도 전국체전에 국궁종목이 들어있고, 전국 궁도대회가 수두룩하다..

즉 활쏘기의 DNA를 잘 보존, 관리하여 온 덕에 양궁이 세계적인 저력을 발휘한다고 생각한다.

 

국악도 마찬가지다.

나라가 후진국일 때는 선진 음악을 습득하느라 우리 국악을 홀대하였지만, 선진국의 문턱에 다다른 지금은 초등학교 음악교육도 바뀌어 가고 있다.

즉, 한국 초등학교 음악교육 중 국악비중은 40%나 되지만, 아직 국악을 전공한 음악 선생의 비중은 2.5%에 불과하다. 그래서 대부분 국악 수업은 뒤로 미루고 서양음악만 가르치는 형편이다.

어려서부터 국악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듣지 못했으니 다들 귀가 국악 맛을 알지 못한다.

김치와 된장처럼  자주 먹어야 그 입맛이 유지된다.

 

그런 의미에서 진도가 시사점하는 점이 크다.

진도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부터 민요, 판소리를 쉽게 배우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잇다고 한다.

진도출신의 국악인, 가수가 줄을 잇는 이유이다.

 

국악을 중시하자는 말이 아니다.

국악의 종자를 잘 보존하고 관리하잔 말이다.

그 종자를 가지고 씨뿌리듯이 콜라보, 매시업, 하이브리드, 크러스오버 등으로 잘 가공하면 세계적으로 수출할 열매가 나올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송가인의 설날 국악공연은 "국악의 종자를 잘 보존, 관리하는" 길을 보여 준 것 같다. 

모처럼 KBS가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한 것이다.

지난 몇년  송가인 트롯키즈들은 많이 배출되었다.  앞으로는 송가인 국악키즈들도  많이 나올 것 같다.

한명의 걸출한 스타의 발걸음이 길을 만들고, 이를 따르는 키즈들이 대로를 만든다.

흐르는 강물처럼..

 

 

 

조세린(鳥世麟)..

알래스카 조씨라서 새 조 위에 북(北)자를 쓴다고 농담한다..

미국인으로 본명은 조슬린 클락이다..

이력이 특이하다.

하버드 박사인데, 일본어을 배우고, 중국어도 배웠다.

일본 기모노도 입어보고 고토도 연주해보고, 중국 치파오도 입어보고 쟁도 연주해봤다.

그러나, 가야금 소리가 더 좋았고, 한복이 편하고 자유롭단다.

이제는 지성자 명인을 사부로 모시고 가야금산조를 전수받으면서, 배재대 교수를 한다..

 

그에게 사회자가 국악의 세계화에 관해 물었다.

"한국인들도 좋아하지 않는데, 어떻게 외국인에게 소개할 수 있나요?"

"한국 젊은이의 귀는 외국인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세계화보다 국내화가 더 시급합니다"

 

https://youtu.be/WPP7UcgErtI

https://youtu.be/MtRNtciZAc0

 

***

그럼 어떻게 한국인의 귀가 국악 맛을 알게 만드나??

 

한국 초등학교 음악교육 중 국악비중이 40%나 된다.

그러나, 국악을 전공한 음악 선생의 비중은 2.5%에 불과하다.

그래서 대부분 국악 수업은 뒤로 미룬단다..

어느 분은 해결책으로 "국악전공 음악선생 풀제"를 지역별로 도입하여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하긴, 최근 풍류대장을 보니, 국악 관련자들의 생계가 위협받을 정도로 무대와 일자리가 적다하니, 이들을 음악선생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좋겠다.

어려서 부터 제대로 배우면, 귀가 국악 맛을 알겠지..

김치와 된장을 집안에서 계속 먹어야 입맛이 유지되듯이..

 

***

그런 의미에서 진도는 시사점이 있다.

초등학교에서 부터 민요, 판소리를 쉽게 배우는 환경이 조성되어 잇다.

그러니 진도출신의 국악인, 가수가 줄을 잇는다.

 

***

외국 노벨상 수상자가 내한하면 기자가 묻는 단골 질문이 있다

"어떻게 하면 노벨상을 받을 수 있나요?"

마치 올림픽 금메달 따듯이 선수촌에 모아 놓고 강훈을 시키면 해결된다는 식이다..

하지만, 어느 수상자의 말이 시사점을 준다.

"질문을 하게 만들어요"

호기심이 있어야 질문을 하고,

질문을 하면서 흥미가 생기고

흥미가 생기면 깊어진다

 

무슨 분야든지 깊어지면 저절로 노벨상이 나온다.

 

***

국악도 마찬가지다.

국악의 종자를 잘 보존하고, 제대로 맛보다 보면,

화려하게 꽃피우는 사람도 생기고,

다른 분야에서 응용도 하게되고

세계로 전도도 하게된다. 

 

 

운현궁 이로당(二老堂)

고종에게 섭정자리를 내주고 운현궁에 은거한 대원군 사저의 안방 당호이다.

두 늙은이(부부)가 사는 방이라는 의미겠지..

그런데 대청마루에 판소리 공연하는 외국인은 누구??

안나 예이츠..

그녀는 독일인인데, 영국 대학에서 공부하다 판소리 공연을 보고 매력에 빠져 전공을 정치학에서 인류음악학으로  바꾼다. 

그리고 판소리를 공부하여 유럽 판소리대회에서 우승한다.

마침내 서울대 국악과 교수로 부임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98OwQSYOOL4

 

***

인마천손하처거(麟馬天孫何處去)

기린과 천손은 어디로 갔는가?

이로당 주련이 묻는다.

 

우리 젊은이들의 귀는 다 외국인이 되어 

서양 밴드에 맞춰 영어가사로 떼창하러 갔다네..

 

국악의 세계화보다 국내 젊은이의 귀맛을 보존하는 일이 급선무로다..

그래야 국악의 종자를 오래 오래 보전할 수 있으니..

 

 

그 답은 그녀의 손안에 있다..

부채에 정답을 써가지고 다닌다..ㅎ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물위금일불학이유내일

오늘 공부하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주자, 권학문)

 

**

우리 젊은이의 호기심을 끌어 국악에 빠지게 하는 힘을 가진 스타가 필요한 시대다.. 

그 스타가 설날 저녁 조선팝어게인 송가인 쇼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