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이 기업으로 행동하고 유권자가 소비자로 행동하면, 당연히 소비의 ‘사적’ 성격이 ‘공적’ 정치과정을 결정하게 된다.

청문회 과정에서 공공선을 대변했던 현직의원은 공천을 받지 못했다.

 반면 선거개입 사건에 연루된 경찰인사, 조국을 위해 ‘개싸움’을 벌었던 변호사,

위조 인턴증명서로 기소 당한 전직 공직기강비서관, 부동산투기로 물러난 전직 청와대 대변인은 공천을 받았다.



정치의 마케팅화는 정당의 이념과 정책에 대한 지지를 ‘브랜드 충성도’(brand loyalty)로 바꾸어 놓는다.

민주당 지지자들은 더 이상 ‘노무현 정신’을 지지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저 ‘노무현’이라는 브랜드뿐이다.

민주당을 맴도는 두 위성정당(더불어시민당, 열린민주당)의 비례후보들이 노무현의 묘역을 찾은 것은 브랜드 사용권을 얻기 위한 경쟁으로 볼 수 있다.


***

공적 활동으로서 정치가 사적 소비행위로 사라질 때 위기에 처하는 것은 공화국(republic)의 이념이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4080986314927?NClass=SP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