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 오백리 8구간은 추소리 부소담악 - 이지당 - 서화천습지공원 - 보오리 - 석호리로 이어지는데, 

오늘은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 이지당 ~ 보오리 입구까지 원점회귀 코스로 약 6km를 걷는다.

이지당..우암의 글씨다.

원래 이지당은 임진왜란 때 순국한 의병장 조헌 중봉이 유람하고 후학을 가르치던 각신서당 자리인데,

우암 송시열이 이지당의 당호를 지어주었다.

우암이 뭔가 써주었다면 그는 서인의 선배들이다.

 

입구 바위에 눈에 띄는 곳에 새겨진 이름 금달주(琴達柱)??

누구일까?

추론하건대, 금달주는 자신의 조상의 유적인 이곳 방문 기념으로 자신의 이름을 새긴 것으로 보인다.

조상은 누구일까?

우암 송시열의 제자 수경재 금봉의이다.

금달주는 금봉의의 아들로 종가에 양자간 금성구의 5세손이다.

금봉의는 이지당 부근 각신리 사람인데, 아버지가 송시열의 제자였고, 

자신은 13살때  73세의 송시열을 처음 만나 인사를 드렸고, 18살때 78세의 송시열에게 가르침을 받게 되니 우암 송시열의 말년 제자쯤 된다.

그는 집 근처인 이지당에서 주로 공부를 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과거공부대신 도학 공부에 매진하여 우암으로부터 "명성양진(明誠兩進) 경의개립(敬義皆立)"이라는 여덟글자와 수경재(水鏡齋)라는 당호를 받았다.

이지당의 실제 사용자는 금봉의였던 것이다.

그는 30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그의 후손인 금달주 등이 그의 유고집 수경재 유고를 엮어 후세에 전함으로써 그의 행적이 알려지고 있다.

그의 묘소도 이지당 부근 산에 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구한말 1901년에 금씨, 조씨등 4문중이 힘을 모아 지었단다.

수경재 금봉의의 집안도 힘을 보탰으리라.

정갈한 아궁이와 솥단지가 인상적이다.

이지당..우암 송시열의 글씨..

그의 의미는 이렇다.

"高山仰止 景行行止"

"높은 산은 우러러 보지 않을 수 없고, 큰길은 따라 걸어가지 않을수 없다."는 시경의  

8자 한문 글귀 중 2 지자를 따서 이지당이라고 한 것이다.

고산앙지란 사마천의 사당에도 붙어있는 위인에 대한 찬탄 구절이다.

 

금봉의가 20세 되던해 80세의 스승 송시열과 문답한다.

"입도(入道)의 요체가 무엇입니까?" 

"사계 김장생 선생은 사람을 가르칠 때 소학을 우선으로 했다"

"행기(行己)의 요체는 무엇입니까?

"경(敬)만한 것이 없다 "

"구체적으로 어찌합니까?"

"알기 쉽게 말하면, 무잡언(無雜言), 무잡행(無雜行), 무잡사(無雜思)니라"

 

21세 되는 해 81세의 노스승 송시열이 그에게 명성양진(明誠兩進) 경의개립(敬義皆立)"이라는 여덟글자와 수경재(水鏡齋)라는 당호를 써주었다.

<출처: 충북대 김용남 교수 논문, 수경재 금봉의의 삶과 시 참조>

 

"밝음(지혜)와 정성이 나란히 진보하고, 경과 의가 함께 확립되엇다"는 말은 불교식으로 말하면 스승이 제자의 깨달음을 인가하는 것이 아닐까?

우암대학교의 졸업증서 같아 보이기도 하다..ㅎ

 

각신서당..

중봉 조헌이 가르친 제자들은 아마 임진년 금산전투에 거반 따라가서 전사했을 것이다.

 

중봉 조헌이 이지당에서 지은 시

 

水麗山明地

風高葉落秋

徜徉提督趙

邂逅廣文周

幸値仙翁集

 因携童子遊

悠然成一醉

乘月步長洲”


물빛 곱고 산 밝은 땅

바람 높고 잎 떨어지는 가을
배회하는 조제독 

주광문을 해후했네
다행히 신선들 모인 때에

어린 사람 데리고 같이 노닐며
한가로이 모두 다 한껏 취하고서

달빛타고 긴 모래톱 걷는다네

 

 

후날 송시열이 위 시에 차운하여 시를 지엇다

 

<공경하며 중봉 선생의 이지당(二止堂) 운을 따라 김 사군(金使君) 정평(正平) 만균(萬均) 에게 보내다>

 新構臨淸泚
 山頹問幾秋 
 天衢箕尾遠 
 人世歲星周 
 事業朱書裏 
 淵源德水遊
 欲陳明酌薦 
 蘋藻採芳洲

새로 지은 집 맑은 물가에 임했으니  
임 가신 지 묻노라 몇 해던가 
하늘 거리에 기성 미성이 멀고 
인간 세상에는 세월이 흘렀구려 
사업은 주자의 글 속에 있고
연원은 율곡에게 받았어라 
맑은 술잔 올리고자 
마름을 물가에 캐었노라 

 

이지당교를 건너 대청호 오백리 8구간을 걷는다.

서화천 건너의 이지당이 멋지다.

우리 산하에는 역시 우리 한옥이 어울린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풍광에 어울리는 고인의 시가 있다.

수경재 금봉의의 한시를 읽어보자

 

두 분 현인 함께 이미 멀리 가시고
대 앞의 버들 몇 번이나 봄가을 맞았던고.
도덕은 子思와 孟子를 근원으로 삼고
연원은 孔子와 周公을 조종으로 삼았네.
처량하게 산수마저 목 메이고
학과 원숭이 노니는 적막한 곳.
슬프다, 사람들 어디로 갔나
물가에 흰 갈매기만 변함없구나.


兩賢俱已遠, 臺柳幾春秋.
道德宗思孟, 淵源祖孔周.
凄?山水咽, 寂寞鶴猿遊.
惻愴人何去, 依然白鷗洲.

<二止堂. 敬次重峯尤菴兩先生韻>

 

가을 달이 차가운 물에 비치니
예전에 노닐던 일 어떠한가.
끊긴 다리엔 풀이 한량없으니
차마 홀로 누각에 오르랴.


秋月照寒水, 何如昔日遊.
斷橋無限草, 可忍獨登樓.
<二止堂次諸友韻>

삭막한 산 주변에 학은 짝지어 공중에 날고
어렴풋이 그 기상 노둔함을 채찍질하는 가운데 보았네.
꾀꼬리 울음소리 당년의 일을 하소연하는 듯한데
비온 뒤 바람은 천상의 소리 보내오네.


索寞山邊鶴侶空, 依?氣像策駑中.
流鶯若訴當年事, 爲送天聲雨後風.
<二止堂述懷>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