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아이들과 "뿌리찾기"주제로 건천읍 모량리 손순묘를 찾다가 실패한 적이 잇다.

얼마전 경주 오봉산, 단석산을 등산하면서 모량리를 지나치다가 다시 한번 도전하기로 했다.

자료에 보면, 모량초등학교 뒷편, 박목월 생가 건너편, 고속철 옆이라고 정리되는데, 지도를 놓고 보아도 오리무중이다.

그래도 일단 모량초등학교에 가서 부딛쳐보자는 생각이었는데, 출발 아침에 어느 자료에서 지번을 확인했다.

"건천읍 모량리 536-1"

 

경주걷기여행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 위 주소를 내비에 치고 도착한 곳, 모량리 들판 고속철 옆에 묘소가 있다.

멀리 구미산(수운 최제우의 용담정이 있는 산)이 눈에 들어온다.

 

삼국유사 "손순매아", 초등학교 교과서에 석종이야기로 실려있다.

모친의 이름은 운오(運烏)..노모를 봉양하기도 어려운 처지에 한 입이라도 줄이겠다고 어린 아들을 땅에 묻으려고 취산 북쪽의 들판에 가서 땅을 팠더니 석종이 나왔다..손순은 하늘의 뜻이라고 여겨 아들을 데리고 돌아와 석종을 집에 걸고 쳤더니 그 종소리가 월성에 있던 흥덕왕의 귀에 들렸다..

왕명으로 그 연유가 알려지자..대효라 하여 밀성군에 봉하고 집과 전답을 하사였다는 이야기..

 

모량리라는 지명은 예루살렘처럼 2000년도 넘게 전해 내려오고, 효자 이야기도 같은 세월을 전해오지만,

과연 효자의 무덤도 그러한가??

어느 자료보니, 해방무렵 후손 3개파 대표가 모여 위치를 고증하여 조성했다는 말이 나온다.

 

우선 , 땅에서 석종이 나왔다는 말은 믿을 수 있다.

( https://blog.daum.net/servan/6348327   참조)

 

묘지 입구의 향나무가 예사롭지 않다.

마치 향화(香火)를 올리는 모습같다.

 

묘소는 단석산 - 오봉산 능선에 둘러싸인 형국이다.

묘소 옆으로 고속철이 달리고, 국도와 고속도로도 가까이 있으니, 교통의 요지다..

 

때는 신라 흥덕왕(826년- 836년) 시절..

형과 함께 조카를 죽이고 정권을 잡았다가 형(헌덕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지진, 가뭄, 기근과 전염병으로 백성들이 죽어나가고, 바다에는 해적이 들끓었다.

장보고를 청해진 대사로 임명하여 해적을 소탕하고 무역이익을 세금으로 받아 재정에 충당한다.

마침, 손순이 기근 속에서 모친봉양을 위해 아들을 파묻으려다 석종을 발견했다는 소문을 듣고, 크게 포상한다.

효와 충을 강조하여 자신의 정권안정을 기한다.

 

흥덕왕은 손순에게 집 한채와 매해 벼50섬을 하사한다.

그러자, 그는 옛집을 홍효사로 만들었다. 

최근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234-2 소재 남사리 삼층석탑 자리를 홍효사로 비정하는 견해가 잇다.

그 동네를 종골이라고 부른다 한다.

또한 현곡면 소현리 623에는 손순의 사당 문효사가 잇는데, 손순의 유허지에 세운 것이라고 한다. 

아마 흥덕왕이 하사한 집터로 추정된다.

 

묘비에는 삼국유사 내용이 적혀있다.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어느 분은 요즘에 그런 상황이 발생하면 아동학대 내지 살인미수죄로 기소될거란다. 

중국 역사에 대기근이 발생한 참상을 보면, 서로 자식을 바꾸어 잡아 먹었다고 묘사한다..

조선 시대 임진왜란 중 계갑대기근(1593-1594)이나 현종때 경신 대기근(1670-1671) 때의 참상도 심각했다고 한다. 

영화 하트 오브 씨 "바다 한가운데서"라는 내용에는 바다에 표류하던 포경선 선원들이 서로 추첨하여 사람을 잡아 먹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극한의 상황을 현재의 배부른 시각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야기의 진실은 지극한 효성이 잇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피엔딩의 이야기를 통해 효심을 가르키고자 하는 것이다.

신라시대는 아이보다 부모를 선택했지만 고려시대는 부모보다 아이를 선택했다..고려장이라는 말이 그것아닌가??

조선시대는 부모를 선택하고, 현대는 아이를 선택하겠지?

극한 속에서의 선택, 소피의 선택처럼 그런 상황을 요구하는 시대가 있었다.

성경에서 여호와는 아브라함에게 아들 이삭의 희생을 요구했다.

그는 신의 요구를 따르려고 한다. 신의 시대니까..

지금이라면??

**

"눈에는 눈, 이에는 이"으로 대표되는 함무라비 법전을 잔혹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법전 제정당시에는 가장 진보적이고 관대한 법이었다.

즉, 그 시대에는 어느 1인이 살인을 저지르면 그 사람을 사형시키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연좌에 의해 살인자의 가족, 부족까지 죽이던 시대였다.

그런 복수를 제한한 법이니까 진보적이고 관대한 법이었다는 것이다.

 

**

그때를 지금의 잣대로 단순히 평가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 시대에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난세에 효와 충을 다하려던 진심을 평가해야한다..

 

묘소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

방내리 길에 까마귀가 가득하다..

반포지효(反哺之孝)한다는 까마귀들 아닌가?

반포지효??

까마귀들이 늙은 어미새를 위해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말이다..

절묘하게 손순의 모친 이름이 운오(運烏)다.. 까마귀 오자가 들어간다. 

 

 

도시어부 장흥편에 나오는 글씨

반포지효(孝)

까마귀 효도 이야기


까마귀는 부화한 지 60일 동안은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지만

새끼가 다 자라면 먹이 구하기 힘든 어미새에게 먹이를 물어준다고 한다.


요즘 효도를 이야기하는가?

차라리 까마귀를 백로라고 부르는게 낫지..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천과 만해  (0) 2019.02.19
하루 종일 봄을 찾다 (종일심춘 終日尋春)  (0) 2019.01.30
비익연리(比翼連理)  (0) 2018.12.19
매일 조금씩  (0) 2018.12.12
돌사람의 귀속말  (0) 2018.1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