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밤 화재로 숭례문 누각이 소실된 가운데, 현판이 새삼 시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불기둥이 치솟는 상황에서 소방관이 현판을 가까스로 떼어내는 장면이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되면서 안타까움을 더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언론은 현판 글씨를 쓴 인물로 조선조 태종의 맏아들인 양녕대군(1394∼1462)을 지목했다. 문화재청과 서울시 누리집 등에 소개된 내용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숭례문 현판 글씨의 ‘원작자’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조선후기 실학자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을 보면 “지금 남대문 현판인 숭례문 석 자는 그(양녕대군)가 쓴 글씨”라는 구절이 있어 통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하지만 추사 김정희는 <완당 전집>에서 “지금 숭례문 편액은 곧 신장의 글씨”라고 적어 놓아 이긍익의 주장과 다르다. 신장(1382∼1433)은 대제학을 지냈으며 초서와 예서에 능했던 사람이다. 역시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도성의 남대문에 숭례문이라는 이름은 삼봉 정도전이 지은 것이요, 그 액자는 세상에서 전하기를 양녕대군의 글씨라 한다”면서도 “숭례문의 편액은 정난종이 쓴 것”이라고 못박았다. 정난종(1433∼1489)은 조선전기의 문신으로 서예에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잡지인 <별건곤> 1929년 9월치에는 ‘안평대군의 글씨는 오해요 중종시대 명필 유진동의 글씨’라는 기록도 보인다.
이처럼 옛 기록의 서술들이 서로 엇갈려 현판 글씨의 ‘주인’을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 사정이 이러하기 때문에, 사학자이자 언론인이었던 호암 문일평(1888∼1939)은 1935년 한 일간지에, 현판 글씨를 누가 썼는지를 밝히는 게 매우 어려움을 털어놓기도 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moonriver's view)
기막힌 사건이다..
일산에서 뺨맞고 남대문에다 화풀이라니..
그 불행한 와중에 숭례문 현판이 구출되었다..
불길 속에서 살아난 어버이처럼 반갑다..
남대문 현판에 남대문이라 써있지 않고 숭례문이라 써잇는 것도 처음으로 알게 된 사람도 있을테니..
그 글씨를 누가 썼는지는 더더욱 관심이 없겠지..
호방한 양녕대군인지 몰라도 한양이후의 간판 글씨였다..
그 글씨가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위하여 이례적으로 세로로 써 남대문에 붙였단다..
600년 동안 임진왜란, 병자호란, 6.25 동란을 거치면서도 무난히 화마를 다스려 왔는데..
이 태평성대에 신나와 라이타돌에 맥없이 당하고 말았다..
하지만, 현판아! 600년간 고생많앗다..
휴식과 충전을 거쳐 다시 서울의 화마와 굳건히 맞서기를 빈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범선생께 (0) | 2010.04.20 |
---|---|
한식 날에 - 황주한식시첩(소동파) (0) | 2010.04.06 |
자유를 향한 붓사위 (0) | 2010.03.25 |
난득호도(難得糊塗) (0) | 2010.01.13 |
책읽는 집에서... (0) | 2009.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