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연지기(浩然之氣)의 삶

 

세상이 너무 빨리 그리고 어지럽게 달린다. 중심점, 구심점 없이 모든 게 제멋대로 뛰논다. 무엇을 위해 사는지도 도대체 모르겠다. 이럴 때 맹자의 호연지기가 나의 인생살이에서 중심 역할이라도 해주었으면 한다.
호연(浩然)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사실 맹자 이전에는 어느 누구도 그 말을 쓴 적이 없다. 비가 많이 오면 강물이 갑자기 팍 불어나는데, 이 ‘호연’은 강물이 불어 거대한 물살이 세차게 흐르는 모습을 뜻한다고 한다. 그럼 왜 맹자가 호연지기라고 했을까? 어떻게 ‘우리가 들이마시고 내쉬는 숨’인 기(氣)가 ‘호연’하게 변하는 것인가! 송나라 때의 이기론 논의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물리세계를 주관하는 기라는 힘이 세상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을 맹자가 하였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이 호연지기를 논하려면 맹자의 ‘이루’편이나, ‘공손추’편을 따로 조금 더 언급해야 하지만, 지면관계상 본뜻만 찾아보겠다. 맹자의 제자가 묻는다. “스승님 말고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은 많습니다. 그들에 비해 스승님은 어떤 점이 뛰어나십니까?”
맹자가 답한다. “첫째, 나는 남의 말을 잘 이해한다. 둘째, 나는 나의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
제자가 “호연지기란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 맹자의 첫마디는 “말하기 어렵다”였다.
그리고는 이렇게 이어간다. “그 기라는 것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하다. 올바른 뜻으로 그것을 기르고 조금도 해치지 않는다면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찰 것이다. 그 기라는 것은 의와 도를 짝으로 삼는다. 이것들이 없으면 위축되고 만다. 그것은 의가 쌓여서 생겨나는 것이지 우연히 의를 행했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행동을 하면서도 마음에 흡족하지 않은 바가 있다면 이 기는 바로 위축되고 만다.”
맹자는 여기서 세 가지 핵심언어를 말한다. 첫째는 ‘직(直)’이다. 바로 진정성이다. 진실하고 정직하며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고 스스로를 속이지 않으며 핑계를 대지 않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의(義)’이다. 곧 마땅함이다. 어떤 상황에 맞다, 적절하다는 의미의 마땅함이다. 갖가지 상황에 대해 마땅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지혜가 필요하다. 핵심글자 세 번째는 ‘도(道)’이다. 도는 인류에게 공통으로 해당하는 올바른 길이다. 그러므로 통상 이 도는 사회적인 예의나 예절, 도덕 등으로 표현된다. 다른 사람과 교류할 때에는 공통된 사회적 인식, 공통된 예의와 규범에 따르면 된다. 살짝 말을 바꾸면 의는 어떤 일을 할 때 정당성의 근거가 되고, 도는 인생에서 올바른 길을 찾도록 등불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유가의 이 ‘의(義)’는 어떤 해석을 가져와도 명확하게 설명하기 힘들다. 그래서 공자는 인자(仁者)뿐만 아니라 지자(知者)도 되라고 강조했다. 지자는 흡사 물과 같아야 한다. 산을 만나면 굽이돌고 구덩이를 만나면 그곳을 채운다. 갖가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스스로를 조정할 줄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인자는 어떤 자인가? 지자에 비하면 상당히 단순하다. 인자는 산을 좋아한다고 했다. 산에는 식물도 있고 동물도 있고 물도 있고 바위도 있어서 한마디로 산은 없는 것 없이 모든 것을 품는다. 이것이 인자이다. 공자는 인과 지 모두를 중시했다. 여기에 용(勇)을 더해 실천에 옮김으로써 참 삶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평소에 어떤 일을 할 때 반드시 정당하게 하겠다는 생각을 염두에 두고, 이를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쌓아가다 보면 자연히 그 기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맹자가 우리에게 전하고자 한 본뜻이다.
다만 그 때가 언제인지는 기약할 수 없다. 이미 좋은 일을 수천 가지나 했는데 왜 기가 만들어지지 않느냐고 따져서도 안 된다. 좋은 일을 몇 번 한다고 해서 반드시 그 기가 나타난다고 장담할 수 없다. 마음 속으로는 항상 생각하고 있되, 억지로 그것을 기르려고 해서는 안 된다.
결국 호연이 나의 기로 전화되는 방법은 나 자신이 진실해야 하며, 올바른 일을 하도록 스스로에게 요구하여야 하며, 어떤 행동을 할 때 그것이 상황에 마땅하고 정당한 지를 판단해야 하고, 항상 인류 공통의 대도를 걸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직(直), 의(義), 도(道)는 곧 맹자가 제시한 수양의 비결이다. 맹자는 자신의 일생에서 가장 큰 마음의 수확이 호연지기라고 했다. 호연지기를 갖게 되면 마음속은 더 없는 즐거움으로 충만하게 될 것이다.

김승석 변호사

'열린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1등해야하나..  (0) 2012.10.11
필요한 것...  (0) 2012.08.31
포퓰리즘의 종결자  (0) 2011.12.06
왜 한국인가?  (0) 2011.12.06
청소년 걷기 캠프를 만들자...  (0) 2011.09.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