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규 공감 "도원별곡"편을 보다가 무등산 규봉암의 차담 장면에서 스님 뒤로 보이는 족자에 눈길이 갔다..


상중무불(相中無佛)

불중무상(佛中無相)


상(相)으로 보면 부처를 볼 수 없고

부처에게는 상(相)이 없다..


상(相)이란 무엇일까?

산스크리트어 lakṣaṇa라고 하는데,  모습. 모양. 형상. 상태를 말하고, 또한 관념이나 의식에 형성된 특징. 특질. 징표( 즉, 고정관념, 선입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相)이란 외형적, 피상적인 것, 굳어진 생각 등으로 말한다..


따라서 그런 상(相)으로 대상을 보면 부처가 될 수 없고, 부처에게는 그러한 상(相)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금강경에 나오는"약견제상(若見諸相)이 비상(非相)이면 즉견여래(卽見如來)"라는 귀절도 같은 내용이고

"무유정법(無有定法)" 즉 정해진 법이 없는 도리도 같은 의미라 할 것이다..


그러니 판사에게는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이 실체 진실을 파악하는데 제일 방해가 되는 것이고,

 "미리 준비된 정답"으로 현안을 밀어부치고 타협을 모르는 대통령이나 정치인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심가..  (0) 2019.06.07
뜻이 있는 자..  (0) 2019.05.01
만공탑 - 세계일화  (0) 2019.04.25
장승글씨 (2)- 유관(游觀) ; 놀면서 바라보라  (0) 2019.04.10
장승글씨 (1) - 상경여빈: 손님을 대하듯  (0) 2019.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