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전부터 벼르던 길..정읍사 오솔길을 간다.

출발장소인 정읍사공원에 주차한다.

 

원래 계획은 정읍사오솔길 1코스를 걷고, 종점인 월영마을에서 자전거를 빌려 3코스를 달려 원점회귀한다는 것이다..

 

그럴려면 자전거대여가 필수인데,

다행히 3.8부터 영업을 한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오메! 재수좋은거..

일단 공원을 구경하고 가자..

 

정읍사..

백제가요인데..곡조는 사라지고 노래가사만 전해내려온다..

 

이를 테마로 다양한 창작곡조가 만들어졌다..

https://youtu.be/aoMW38KDG10

 

https://youtu.be/ZGtg6l78vLI

 

<2022. 4. 27. 추가>

최근 송가인이 발표한 신곡 3집에 실린 월하가약(月下佳藥)..

이 노래가 정읍사 노래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살려낸 온고지신의 수작이라고 생각한다.

 

https://youtu.be/xX5DnK0xJFw

 

꽃향기가 제 아무리 짙더라도 

그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퍼질수 없지만

준수한 마음에서 풍기는 덕의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온갖 곳에 향기를 풍긴다네..

 

꽃 향기는 백리를 가고

사람 향기는 만리를 간다..

 

물과 육지에 나는 꽃 가운데
사랑할 만한 것이 매우 많다.
진(晋)나라의 도연명(陶淵明)은
유독 국화를 사랑했고,
이(李)씨의 당(唐)나라 이래로
세상 사람들이 매우 모란을 좋아했다
나는 유독, 진흙에서 나왔으나 물들지 않고,
맑고 출렁이는 물에 씻겼으나 요염하지 않고,
속은 비었고 밖은 곧으며,
덩굴은 뻗지 않고 가지를 치지 아니하며,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꼿꼿하고 깨끗이 서 있어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으나 함부로 가지고 놀 수 없는 연꽃을 사랑한다.

 

- 주돈이, 애련설-

 

달하 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전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데를 졈그랄셰라

어느이다 노코시라

내 가논데 졈그랄세라

 

어긔야 어강도리아으 다롱디리

 

달님 높이 떠서

멀리 비춰주시라

저자(시장)에 가 계신가요

진 곳을 디딜세라

어느 곳에나 다 놓으시라

내 가는 길 저물까 두려워라

 

 

기다림의 미학..망부석(望夫石)

백제에는 정읍사가 있다면 신라에는 박제상 부인이 있다.

 

박제상의 부인은 남편이 왜왕에게 죽어 결국 남편을 만나지 못했지만, 정읍사의 부인은 어찌 결말이 났을까?

 

정읍사를 기리는 사당의 문이 금슬문이다..

부부 금슬이 좋아야 기다리게쥐??

사당 이름은 망부사..

주련에 정읍사 가사를 적었다..

 

역사에 보면, 백제 여인의 사랑이 뜨꺼웠던 것 같다.

정읍사 부인외에도 도미부인, 아사녀의 사랑도 애절하다..

 

그나저나 정읍사 공원 다 구경했는데,  정읍사 오솔길이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다..

동행은 산쪽으로 난 길로 가면 될 것이란다.

그는 어딜가도 정상으로 가면 된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편이다..

 

잘 모르니 항변하기도 그렇고 해서 일단 가보면 표지판이 나오겠지 하고 간다.

그런데, 공사중인 임도가 나온다..

정읍사 오솔길은 개설된지 10년도 넘는데, 뭔가 이상하다??

 

자나가는 사람 붙잡고 물엇더니, 이길이 아니란다.

공원 입구에서 전북대 앞 큰길을 따라가다가 건너편 산으로 올라가야 한단다..헉 

 

그러면서 이길도 좋단다..

아양산- 초산봉 등산로로 이어지는 길이란다..

 

애구..다시 공원입구로 가서 출발점을 찾기로 한다..

 

보은 삼년산성으로 간다.

<내비> 보은 농경문화관을 치고 도착하니, 널찍한 주차장이 기다리고 잇다.

왕년에는 서문 앞으로 도착하여 성을 돌았는데, 이제는 이곳에서 출발하여 돌아오는 역사탐방길이 잘 조성되어 있다.

 

오늘은 2코스 8km를 걸으며 산성도 일주할 계획이다.

 

농경문화의 상징은 소다..

멍에를 쓴 소는 이중섭의 소를 갈구한다..

 

평화시는 농경의 도구들이 왜적이 침노할 때는 전쟁의 도구가 된다..

 

이곳에서 출발하면 북문지로 올라간다..

 

나제동맹시절 고구려 장수왕의 남침을 막기위해 3년에 걸쳐 축성한 삼년산성..

그러나, 성왕-진흥왕 시절, 나제가 원수가 되는 시절에는 백제를 노리는 비수같은 산성이 되었다..

 

멀리 북동치성이 요새처럼 보인다..

 

북문지에 도착, 

 

돌과 나무 그리고 그림자..

 

동문을 향해간다..

 

북동 치성은 허물어져 가면서도 굳건하게 전망대를 지탱하고 있다..

 

성벽길에는 차가운 바람이 불지만, 햇볕은 양춘이다..

 

멀리 보이는 물체는??

펭귄전망대.. 폐자재를 재활용한 정크아트박물관이 있는 펀파크란다..

 

동문지에 도착..대야리고분군으로 향한다..

 

동문 밖에서 보니 삼년산성의 위용이 대단하다..

이성을 외부에서 공격하여 점령하기 어려웟다..

역사에 나오는 전적은 149승 1패..

유일한 함락은 헌덕왕 때 김헌창의 반란군이 점령한 성을 관군이 함락시킨 것이 유일하다..

고려 태조 왕건도 공격에 실패한 성이다..

 

동문 밖으로 이어지는 숲길이 걷기 좋다.

바람도 막아주니 더 좋다.

햇살이 참 좋다.

니가 있어 더 좋다.

 

뭐 잘한 일도 없는데, 나무가 개선문을 만들어 축하해주네..

음..앞으로 잘 될거라는 예언인가??

내 잘되는 날 영의정 나무로 봉해주리라..

 

성벽은 무너지고 강물은 흘러~

 

제1갈림길..

돌아올 때 좌측 소형주차장에서 올라 올 것이다..

 

시야트인 능선에 서니 보은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대들보에 큰 돈 쓴 정자도 보이고..ㅎ

 

3호고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이 고분의 주인공들은 누구일까?

큰 것이 309개, 작은 것은 1300여개..

아마, 산성을 지키던 성주과 하급관리의 무덤이 아닐까?

 

소형주차장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계단 중간에 마침 누울 자리가 보인다..

바람도 자고 햇빛 양양한 타임에 한숨 잔다.

푸른 하늘이 자장가 악보에 맞춰 노래를 불러주는듯 하다..

 

성으로 돌아오는 길..

무너진 성벽에 자꾸 눈길이 간다..

인기도, 돈도 사라지고 집도 절도 없는 늙은 여가수가 생각난다..

 

 

동문지로 돌아와 남문으로 가는데, 멀리 말티고개가 눈에 들어온다..

 

동남 치성에서 보청천이 보인다..

저리로 흘러가면 옥천 청성면 고당리에서 금강과 합류한다..

 

남문을 지나 서문지로 향한다..

 

우람한 서문지..

 

여기서 보은사를 거쳐 북문지로 평탄하게 갈수 있지만,  동행의 강청으로 서북 치성을 거쳐 북문지로 간다..

 

 

드디어 북문지..산성 일주도 끝낫다..

 

<오늘 걷기> 보은 농경문화관 주차장 - 북문지 - 동문지 - 정자 - 대야리고분군 - 소형주차장 - 동문지 - 남문지 - 서문지 - 북문지 - 주차장  약 8km 

고운사에서 나오다 가까운 최치원문학관에 들럿다.

국가공인 무료증으로 프리패스..ㅎㅎ

 

등운(騰雲)산 고운(孤雲)사 가운(駕雲)루..구름(雲)이 가득한 이름들..

구름 속에 노닐다가 이름만 떨구고 몸은 해인사 홍류동에 숨긴 사람을  이 동네는 잊지 못한다..

그는 외로운 구름이라 어느 계곡에든 잠겨있을 수 밖에 없으리..

 

12살 당나라로 조기유학을 떠난 소년..

요즘 미국으로 조기유학 보내는 풍조의 뿌리가 1500년이나 되었구나.

요즘 기러기 엄마보다 그때 아버지가 더 독했다.

"10년안에 과거급제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다."

하지만, 요즘은 "게임을 끊지 않으면 내 아들이 아니다"로 비뀌었다는..ㅎ

인생사희 시를 읽으면

외로운 외국에서 외국어 익히고 과거공부하던 외로운 청소년이 생각나고,

6년만에 18살 나이로 당나라 빈공과에 합격하였때 기쁨이 저절로 느껴진다.

 

 

인백기천(人百己千)..

다른 사람이 100을 공부하면 너는 1000을 공부해라..

남보다 10배의 노력을 하라..

요즘 이런 얘기하면, 꼰대라고 하고, 학대라고하겠지??

하지만, 네팔,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온 사람은 그렇게 할지도 모른다.

 

율수현(현 상해 인근) 현위..

현령 아래에서 치안을 담당하는 직책이니, 지금의 경찰서장 쯤되는갑다..

연봉은 쌀 200석-400석이니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최소 연봉  8천만원(=쌀 400가마 x 1가마당 20만원) 정도 되겠다.

**

쌍녀분 설화??

최치원이 현위로 근무할때  요절한 2낭자의 무덤을 발견하고 꿈에라도 보고싶다는 시를 남긴다.

정말 두 낭자가 꿈에 나타나 시와 술을 나누고, 쓰리썸을 즐기고 사라졌다는 기괴한 이야기??  ㅎ

 

그러다 황소의 난 토벌대장 고병의 종사관이 되어 유명한 "토황소격문"을 쓴다..

 

광명 2년 7월 8일에, 제도도통검교태위(諸道都統檢校太尉) 아무개는 황소(黃巢)에게 알린다.

무릇 바른 것을 지키고 떳떳함을 행하는 것을 도(道)라 하는 것이요, 위험한 때를 당하여 변통할 줄을 아는 것을 권(權)이라 한다. 지혜 있는 이는 시기에 순응하여 성공하게 되고, 어리석은 자는 이치를 거슬러 패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백 년도 못사는 인생의 죽고 사는 것은 기약할 수가 없는 것이나, 만사(萬事)는 마음의 주장에 따르나니,  옳고 그른 것은 가히 분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제 내가 왕사(王師)를 거느리매, 정벌(征伐)은 있으나 싸움은 없는 것이요, 군정(軍政)은 은덕을 앞세우고 베어 죽이는 것을 뒤에 하는 것이다. 앞으로 상경(上京)을 회복하고 큰 신의(信義)를 펴려 함에 공경하게 임금의 명을 받들어서 간사한 꾀를 부수려 한다. 또 네가 본시 먼 시골의 백성으로 갑자기 억센 도적이 되어 우연히 시세를 타고 문득 감히 강상(綱常)을 어지럽게 하였다. 드디어 불측한 마음을 가지고 높은 자리를 노려보며 도성을 침노하고 궁궐을 더럽혔으니, 이미 죄는 하늘에 닿을 만큼 극도로 되었으니, 반드시 크게 패하여 망할 것이다.
.....  
하물며 너는 평민의 천한 것으로 태어났고, 농민으로 일어나서 불을 지르고 겁탈하는 것을 좋은 꾀라 하며, 살상(殺傷)하는 것을 급한 임무로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는 큰 죄만 있고, 속죄될 조그마한 착함은 없었으니, 천하 사람들이 모두 너를 죽이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아마도 땅 가운데 귀신까지 가만히 베어 죽이려고 의론하리라.
....  
너는 일찍 덕의(德義)에 돌아올 줄을 알지 못하고 다만 완악하고 흉악한 짓만 늘어간다. 이에 임금께서는 너에게 죄를 용서하는 은혜가 있었는데, 너는 국가에 은혜를 저버린 죄가 있다. 반드시 얼마 아니면 죽고 망하게 될 것이니, 어찌 하늘을 무서워하지 아니하는가. 하물며 주(周)나라 솥[鼎]은 물어볼 것이 아니요, 한(漢)나라 궁궐이 어찌 너 같은 자가 머물 곳이랴. 너의 생각은 마침내 어떻게 하려는 것이냐. 너는 듣지 못하였느냐.
 
도덕경(道德經)》에 이르기를, “회오리바람은 하루아침을 가지 못하는 것이요. 소낙비는 하루종일 내리기 어렵다" 하였으니 천지도 오히려 오래가지 못하거늘 하물며 사람이랴.
 
또 듣지 못하였느냐. 《춘추전(春秋傳)》에 이르기를, “하늘이 잠깐 나쁜 자를 도와주는 것은 복이 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의 흉악함을 쌓게 하여 벌을 내리려는 것이다.” 하였다.
 
이제 너는 간사한 것도 감추고 사나운 것을 숨겨서 악이 쌓이고 앙화[禍]가 가득하였는데도 위험한 것으로 스스로 편케 여기고 미혹하여 뉘우칠 줄 모르니, 옛말에 이른바 제비가 막(幕) 위에다 집을 지어 놓고 불이 막을 태우는데도 방자히 날아드는 거나 물고기가 솥[鼎] 속에서 너울거린들 바로 삶아 데인 꼴을 보는 격이다.
 ....  
다만 살리기를 좋아하고 죽임을 싫어하는 것은 상제(上帝)의 깊으신 인자(仁慈)함이요, 법을 굴하여 은혜를 펴려는 것은 큰 조정의 어진 제도다. 나라의 도적을 정복하는 이는 사사로운 분(忿)을 생각지 않는 것이요, 어둔 길에 헤매는 자를 일깨우는 데는 진실로 바른 말을 하여 주어야 한다.
 ....
나의 한 장 편지로써 너의 거꾸로 매달린 듯한 다급한 것을 풀어주려는 것이니, 고집을 하지 말고 일의 기회를 잘 알아서 스스로 계책을 잘하여 허물을 짓다가도 고치라.
....  
만일 미쳐 덤비는 도당에 이끌려 취한 잠이 깨지 못하고 여전히 사마귀처럼 수레바퀴에 항거하기를 고집한다면, 그때는 곰을 잡고 표범을 잡는 군사로 한 번 휘둘러 없애버릴 것이니, 까마귀처럼 모여 소리개 같이 덤비던 군중은 사방으로 흩어져 도망갈 것이다. 몸은 도끼에 기름 바르게 될 것이요, 뼈는 마차 밑에 가루가 되며, 처자도 잡혀 죽으려니와 종족들도 베임을 당할 것이다.
....  
생각하건대, 동탁(董卓)의 배처럼 불로 태울 때에 후회하여도 때는 늦으리라. 너는 모름지기 진퇴(進退)를 참작하고 잘된 일인가 못된 일인가 분별하라. 배반하여 멸망되기보다 어찌 귀순하여 영화롭게 됨을 구하지 않느냐.
다만 바라는 것은 반드시 그렇게 하라. 장사(壯士)의 행동을 취하여 갑자기 변할 것을 결정할 것이요, 어리석은 사람의 생각으로 여우처럼 의심만 하지 말라.

###
황소가 이 격문을 읽다가 '천하 사람들이 모두 너를 죽이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아마도 땅 가운데 귀신까지 가만히 베어 죽이려고 의론하리라."는 귀절을 보고 놀라 자빠졌다던가?? ㅎㅎ

 

당나라가 황소의 난이후 군벌이 득세하면서 혼란해지자, 고운은 귀국을 결심한다..

헌강왕이 한림학사, 수병부시랑에 임명한다.

 

그러나 신라도 기울고 잇었다.

그는 진성여왕에게 시무10여조의 개혁조치 상소를 올린다.

육두품 출신에 지지기반이 없는 그는 한계를 느끼고 은퇴장소를 찾아 전국을 다닌다.

그 와중에 이곳 고운사에도 오지 않았을까?

사실 이곳도 은신하기 좋은 곳이나 계곡이 작아 외로운 구름이 머물기는 부족해보인다.. 

 

그가 42세에 해인사 홍류동으로 들어갈 때 시한 수 남겼다.

 

僧乎莫道靑山好(승호막도청산호) 
山好如何腹出山(산호여하복출산)
試看他日吾踪跡(시간타일오종적) 
一入靑山更不還(일입청산갱불환)

스님, 청산이 좋다 말하지 마오
좋다면서 어찌 다시 산을 나오시오
뒷날 내 종적 한 번 두고 보시오
청산에 한 번 들면 다시는 돌아오지않으리

 

적자생존..

그는 쓴 글을 모아 계원필경집 20권으로 역어 왕에게 진상했다.

그 덕에 그 이름 몇천년 전해진다..

 

강남여(江南女) <최치원>

 

江南蕩風俗 (강남탕풍속)
養女嬌且憐 (양녀교차련)
性冶恥針線 (성야치침선)
粧成調管絃 (장성조관현)
所學非雅音 (소학비아음)
多被春心牽 (다피춘심견)
自謂芳華色 (자위방화색)
長占艶陽年 (장점염양년)

강남의 풍속은 방탕하고  
딸을 오냐오냐 귀엽게만 키우니  
허영심이 많아서 바느질은 수치로 알고  
곱게 단장하고 가야금만 다루는데  
배우는 노래라곤 고상한 노래는 없고  
그저 남녀의 사랑을 읊은 유행가뿐이네   
자기 생각에는 활짝 꽃핀 얼굴로  
오래 오래 청춘시절 누릴 줄로만 안다네  

 

****

어찌 1500년 뒤에 강남스타일 여자와 다를바 없을까??

 

그의 필재, 설화, 기연 등이 그에 대한 다양한 모습으로 민중에게 전승되었다.

전승되는 이야기에 따라 그의 모습은 다르게 그려졌다.

그의 다양함 모습을 살펴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단정한 유학자 같기도 하고, 신선 같기도 하고, 산신같기도 하고, 저승판관 같기도 하고, 무슨 교주같기도 하다..

 

명승대찰 돌아댕기면서 글씨 써주면 각석에 새겨주니 마르고 닳도록 전해지리라..ㅎ

 

해운(海雲)대 각석..

구름 운자를 좋아해서 인생이 구름처럼 된 것인지,

흘러가는 자기 인생을 구름 운(雲)자로 정의한 것인지... 

 

***

남극이나 설산은 별로 가고 싶지 않다.

왜냐고, 글씨가 없으니까? 

나는 간자치(看字痴)다..

사촌마을의 감동을 가지고 고운사로 간다..

 

등운산 고운사..

주차장이 넓고,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사찰관람료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두번째 인상적인 것은 일주문에서 조계문까지 1km 거리의 포장안한 숲길이 그대로 보존되어있다는 것이다.

옛날사람을 만난 것처럼 반가웠다. 

 

개천은 아직 얼음이지만 길에는 봄이 가득하다..

 

8죽시를 지은 부설거사는 신라 무열왕 때의 도통한 거사..

 

위 시는 삼수갑산에서 생을 마친 경허의 시신을 다비하면서 만공이 읊은 시라는 말이 있다.

 

시비에 물들지 않는 여여한 나그네

난득산에서 겁외가를 그쳤네

당나귀와 말 태워 재가 되니 날이 저물었는데

먹지 못한 두견새 솥적다 한탄하네..

 

 

원래 이름이 고운사(高雲寺)였는데, 고운(孤雲) 최치원이 여지,여사 스님과 함께 절을 중건하면서 이름이 바뀌었단다..

 

조계문 지나자 마자 고불전이 있는데, 정말 고불이 계시다.

눈도 코도 없는  소처럼 앉아있다.

 

이어서 개천 중간에 다리형식의 누각 가운루가 나온다..

 

가운루..구름 마차같은 누각..

이 행초서의 글씨가 공민왕의 글씨라는 설이 있다.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때 노국공주와 함께 안동까지 피난온 적이 잇어 그럴 가능성이 있는데, 절 안내문에는 그런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일종의 "썰"이 아닐까 한다..

 

가운루 뒤 우측으로 우화루 건물에 고운사 현판을 보면..

 

壬寅仲夏李銖澈十歲書라 적혀있다.

1902년 여름 이수철이라는 열 살 아이가 썼다는 뜻이다.

서예 신동 이수철(李銖澈, 1893~1909)이 10살 때 썼다.

그러나 그는 열일곱에 요절해 우두산에 묻혔다.

 

약사전에는 보물로 지정된 통일신라 시대 석조여래좌상이 계시다..

 

연지암..

이 글씨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라고 한다..

 

또 하나의 보물은 영조의 어첩을 보관하던 연수전이다..

만세문을 지나면 연수전이 나오는데..

만세, 연수가 영조의 만수무강을 비는 의미다..

 

만세문을 세우고 연수전을 지어 조선 최장수 왕이 된 영조도 81세 밖에 못살았다.

한백년도 못사는 인생이여! 

어찌 이리 아둥바둥하는가??

 

우화루(雨花樓)..꽃비가 내리는 누각..

영화 리틀부다에서 마군들이 싯달타의 성도를 막기위해 화살을 쏘자 모두 꽃으로 변해 떨어지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지금은 카페로 변신중이다..

 

카페 안의 현판은 우화루(羽化樓)다..

우화등선(羽化登仙)..날개가 돋혀 신선이 된다는 도교적 이름도 가지게 된다..

 

잠시 들러 연꿀빵과 커피를 마시려 폼잡다가 뜨거운 커피를 쏟아 버렸다 

커피 쏟고, 바지버리고, 허벅지 살 디고, 차탁과 바닥 지저분해지고, 쪽팔리고..ㅎ

그런데... 직원 와서 상냥하게 치워주고..

마음을 진정시키고 있는데, 주인장이 커피를 다시 공짜로 제공한다..

헉..내 마음에 꽃비가 내린다..

개그콘써트에서 휴먼 다큐로 바뀌는 순간..ㅎ

감사합니다..ㅎ

 

감동을 안고 우화루를 지나면 호랑이가 부른다..

 

나는 네가 한 일을 알고 있다.

어디서나 너를 주시하겠다..

 

정말 좌로 가도, 우로 가도 나를 계속 노려본다..

"저, 저는 감동먹은 죄 밖에 없는디유.."

 

의성걷기여행은 휴먼다큐로 막을 내린다..

고운사, 우화루 오랫동안 잊지 못할거야~

 

사촌마을의 입향조는 고려말 안동김씨 김자첨이다. 

그가 사촌마을에 터를 잡을 때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비보 숲을 조성하였다.

이제는 그 나무들이 거목이 되어 제몫을 다하고 있다..

 

지금은 겨울 끝자락이라 푸름이 사라지고 황량하지만, 초록 가득한 날 오면 멋진 정취가 살아나리라..

 

 

 

사촌마을은 안동 김씨 집성촌으로 고려명장 김방경 장군의 후손이다..

김방경 장군은 여원연합군 일본 원정시 고려군 사령관이었다.

어차피 몽고의 압력으로 정벌에 나섰지만, 벌어진 김에 그때 일본을 점령했다면, 지금껏 우리가 가지고 있는 반일 감정은 좀 수그러졌을라나??

일본과의 악연은 후손에게 이어진다..

 

 

사촌마을 글씨 뒤로 만취당과 만년송이 보인다..

 

 

사촌마을의 종가는 도평의공댁이다..

입향조 김자첨의 아버지가 도평의공인데, 고려말 우왕, 창왕 시절 도평의사사에 종사하였기에 "도평의공 고려(옛집)"이라고 부른다..

그들 부자는 고려왕조에 대한 충의와 조선 개국세력의 틈바귀에서 낙향을 준비하였고, 아들 김자첨이 실행에 옮겼다.

그가 사촌마을 서쪽에 가로숲을 조성한 이유에는 세상 바람을 피하여 올곧게 살고 싶은 마음도 보탰을 것이다.

 

만취당(晩翠堂).. 물가에서 더디게 자란 소나무가 더 늦도록 푸르르다는 뜻이다...

조선 명필 한석봉의 글씨란다..

이 호를 쓰는 사람들 중에는 늦게 벼슬에 올라 출세한 사람들이 많다.

대표적인 사람으로 권율장군을 들 수 있다.

그는 사위 이항복 보다 2년 늦은 46세에 과거에 급제햇다.

그리고 사위 이항복이 병조판서할 때 그 아래급인 도원수가 되었다..

**

만취당 김사원은 퇴계 이황의 제자였다고 한다..

이 집의 만취당 당호는 그의 증조부 송은 김광수와 관련이 잇는 듯하다.

송은 김광수(1468~1563)는 입향조 김자첨의 증손으로 연산군 시절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연산의 폭정을 보고 대과를 포기하고 귀향한다. 그리고 집에 노송(향나무)을 심고 만년송이라 명명한다..

그의 호 송은(松隱)도 여기서 유래하는듯하다.

송은의 외손자가 서애 유성룡인데, 그는 외가집인 사촌마을에서 태어났다.

송은의 증손자가 만취당 김사원인데, 증조부의 만년송처럼 늦도록 푸른 기상을 잃지 않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작명한 것으로 보인다.

과연 그는 주변 사람들에게 많이 베풀고 살아 인망을 얻고, 임진왜란시에는 의성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왜적과 싸웠다. 

물론 송은의 외손자 서애 유성룡은 도체찰사가 되어 전쟁시 국정을 총괄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만취당의 집안은 곽재우 장군과 함께 화왕산성 농성에 동참하였다.

이때 우리 조상님들도 함께 했다는 인연이..ㅎ

 

송은이 만년송을 주제로 지은 시 두수가 만취당에 걸려있다.

 

일별조래문기시 (一別俎來問幾時)  조래산을 떠나 온지 몇 해나 되었던고
재봉창취만년자 (裁封蒼翠萬年姿)  푸른 빛 만년 가도록 고이고이 심었노라.
청향세세래시필 (淸香細細來詩筆)  맑은 향기는 은은하게 시쓰는 붓에 풍겨오고
잔자분분낙연지 (殘子紛紛落硯池)  송화 가루 날아서 벼루 위에 떨어진다.
엽밀유금제자재 (葉密幽禽啼自在)  무성한 숲에서 새소리 자유로이 들려오고
태반인갑노우기 (苔班鱗甲老尤奇)  노목에 이끼끼니 기린 껍질처럼 아롱진다.
앙장독립촌원리 (昻莊獨立村園裏)  홀로 우뚝하여 시골 마을에 서있으니
불허심싱속사지 (不許尋常俗士知)  보잘 것없는 선비들이 알아주기를 바라지 않네

...
이끼 낀 오솔길이 홍진(紅塵)에 막혔으니
후미진 곳 차마(車馬) 어이 오랴마는
집이 가난하다고 꾀꼬리 울고 꽃피는 것 싫어하랴
산을 보고 앉았으니 어깨는 서늘하고
높은 베개 잠이 드니 푸른 빛이 낯을 덮네.
만년송(萬年松) 그늘 속에 한가로운 몸이라
아름다운 사계절 풍경 홀로 기뻐하노라.

 

어느날 만취당이 유성룡의 형 겸암 유운룡과 함께 퇴계선생를 방문햇다.

그때 퇴계가 만취당에게 주자의 관선재시를 써주었다.

 

負笈何方來(부급하방래)   책상을 짊어지고 어찌하여 찾아왔나
今朝此同席(금조차동석)   오늘 아침 이 자리에 맞이하고 앉았으니
日用無餘事(일용무여사)   매일매일 글공부로 모자람이 없어야지
相看俱努力(상간구노력)   서로서로 지켜보며 함께 노력하시게나

만취당은 이시를 받아 가슴에 깊이 새기며 과거 공부가 아닌 성리학 공부에 전념하였다고 한다.

 

고택 안에 미국 후손이 보내온 수석이 가득하다..

이 돌돼지는 복을 불러 올라나??

 

요 돌에게는 콜로라도 강과 그랜드 캐년이 잘있는지 안부를 묻고 싶다..

 

고택 앞에 병신병란백주년 비석이 서있다??

병신병란??

을미년(1895년) 민비가 일제에 의해 살해되고, 단발령이 공포되자,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의성에서는 다음해인 병신년(1896년) 의병이 일어났다. 

유림들이 의성향교에서 논의하여 사촌마을 사람 김상종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궐기하였다.

그리고 62일간 관군과 싸웟다.

 

사촌마을에 의병기념관이 있다..

 

화승총, 죽창, 괭이로 무장한 유림 양반과 백성들..

 

 

의병궐기 8일만 남대천변 구봉산에서 첫 전투가 벌어졋다.

적 20여명을 사살하고 승리를 거뒀다.

 

궐기 40일째 관군이 역습을 했다. 

의병 27명이 전사하면서 패했다.

 

다른 지역 의병과 연합하여 100여명의 병력을 보충하여 산운천변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일진일퇴하다가 서울서 내려운 관군에게 밀려 물러났다.

중과부적을 실감한 의병장 김상종은 의병을 해산했다.

 

일제가 의병을 공격할 때 사촌마을 한옥 수백채가 불탔는데, 다행히 만취당은 살아남았다.. 

 

중시조 김방경 장군의 여원연합군 이후 임진왜란, 구한말 병신병란 까지 사촌마을 대일투쟁은 늦게까지 푸르렀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숙소에서 의성읍으로 가는 길

이중섭의 소 못지 않은  소 그림들이 눈에 띈다.

 

남대천변 구봉공원 주차장에 도착..

 

구봉산 기슭 남대천 변에 데크길을 설치했다.

 

마늘의 고장 다운 조형물을 지나 돌보를 건너 나무데크로 간다..

 

남대천은 봉양면에서 쌍계천과 합류하고, 쌍계천은 군위를 지나 상주에서 낙동강에 합류한다..

 

데크길은 동네 산책코스로 적격이다..

 

곰과 호랑이가 마늘을 놓고 고민중이다..

표정을 보니 호랑이는 냅다 튈 생각이다..

 

의성교까지 1km 정도..

 

보살이 비파를 연주하고 있다..

 

忽聞水上琵琶聲(홀문수상비파성)
홀연히 강물 위에 비파 소리 들려오니
主人忘歸客不發(주인망귀객불발)
주인은 돌아갈 것을 잊고 나그네는 떠나지 못하네..

<백낙천 비파행>

 

의성교 앞 숭의문이 늠름하다.

 

의성(義城)이라는 지명은 후삼국시기 견훤에 맞서 이곳 문소성을 지키다 전사한 홍술장군을 기리는 의미에서 생겼듯이숭의문(崇義門)도  그런 의미를 담고 있는듯하다..

 

숭의문 옆으로 구봉산에 오르면 문소루가 나온다.

 

문소루..

조문국이 신라에 합병된후 문소군이 되었다.

 

소소구성봉황래의(簫韶九成鳳凰來儀)

순임금의 음악[韶]을 아홉 번 연주하니, 봉황이 와서 춤을 춘다

<서경,익직편>

 

안찰사 김지대(1190-1266) 

고려 고종 때 3만의 거란병이 칩임했을 때 출전하였고, 원종 1년 정당문학을 지냈다.

그가 안찰사로 근무할 때 이곳에 묵었던 모양이다.

그 당시에는 문소루가 이곳이 아닌 읍 중심부 서북쪽 후죽리 공관 뒤에 있었던 모양이다.

 

문소의 공관 깊숙한 후원에, 
백 척의 높다란 누각이 있네. 
향기로운 바람 십리 주렴을 흔들고, 
밝은 달빛 속에 한 줄기 피리소리 들리네. 
실같은 연기 버들 그림자와 가늘게 이어졌고, 
비 갠 뒤 산 빛 짙어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네 
오랑캐 무찌르던 최고의 무사인데도 
난간에 기대면서 더욱 조심하네. 

 

聞韶公館後園深

中有危樓高百尺

香風十里捲珠簾

明月一聲飛玉笛

煙輕柳影細相連

雨霽山光濃欲滴

龍荒折臂甲枝郞

仍按憑欄尤可怕

 

고려말 포은 정몽주가 고향 영천에서 상경하는 길에 들러 지은 시

 

문소(聞韶)의 누정 아름다운 곳,          
비를 피해 오르니 해가 기운다.           
푸르른 풀빛은 역로(驛路)에 닿았고,     
복숭아 꽃 따사로이 인가를 덮는다.     
봄의 시름은 술같이 진하고,            
세상의 맛은 점점 비단처럼 얇아진다.     
애끊는 강남의 나그네,                    
변방의 당나귀는 또 서울로 간다.       

 

聞韶郡樓佳處

避雨來登日斜

草色靑連驛路

 桃花暖覆人家

春愁正濃似酒

世味漸薄如紗

腸斷江南行客

騫驢又向京華

 

 

학봉 김성일

의성 김씨이고 안동에서 태어난 퇴계 이황의 제자..

선조때 임진왜란 직전 일본에 통신사로 갔다와서 침략이 없을거라 장담했다가 난리통에 개망신을 당하고 죄를 씻기위해 분전한 사람..

 

문소 고을 관소에서 이틀 묵으며 
밤에 자다 한바탕의 꿈을 꾸었네 
높은 수레 타고 고향 땅을 지나며 
쇠뇌를 등에 지는 영광 입었네 
역마 길에 봄이 장차 지려고 하고 
산성에는 비 내리다 금방 개이네 
어찌하여 이다지도 좋은 시절에 
만리 먼 길 쉬지 않고 길을 가는가 

 

信宿聞韶館

居然一夢成

高車過鄕國

負弩被恩榮

驛路春將盡

山城雨乍晴

如何好時節

萬里不停行

 

구봉산 능선을 따라 걷는다.

 

여기에 역대 수령들의 비석들이 잇다..

 

강을 따라 이어진 능선에서 마치 공주 공산성의 분위기를 느낀다..

 

강을 바라보며 오르락 내리락 걷는 능선 길은 봄날의 보약이다..

 

여기 좌측으로 내려가면 주차장소로 바로가지만, 길이 짧아 계속 직진한다..

표지판을 보니 계속 가면 봉의정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오후 일정상 수도암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수도암으로 내려가는 길이 진국이다..

 

수도암 아래 소원정이라는 정자가 있는데..

효자 오천송이 집과 묘소의 중간 지점인 이곳에 여막을 짓고 2년간 시묘살이한 것을 기념하는 정자..

 

그때 왜가리 소리에 고개를 드니...

왜가리 집단 서식지는 처음 본다..

 

다시 데크길로 올라가 주차장소로 간다.

 

압록(鴨綠)..

물빛이 청둥오리 머리색과 같이 푸른 색깔아닌가??

 

 

 

잘 걷고 돌아와 차를 몰고 식당으로 간다..

 

공용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보니..수령 600년의 회나무란다...

한반도 전체에서 제일 굵은 회나무..

 

600년 회나무 앞에 있어서 이름이 수림(樹林)인 중식당에서 우삼겹 짬봉 맛있게 먹었다..

 

 

 

<이번 걷기> 구봉공원 주차장 - 남대천 데크길 - 의성교 - 숭의문 - 문소루 - 수도암 갈림길 - 수도암 - 데크길 - 주차장  약 4km

2022 신춘여행 첫날일정을 마치고 숙소인 금봉자연휴양림으로 간다.

 

6만원에 취사도 가능한 방..

온돌이 절절끓는다..

짐을 풀고..산보에 나선다..

 

지도를 보니 자생식물원 가는 길이 좋을 것 같아 시작했는데, 어렵쇼??

등산로??

 

해는 서산을 넘어가고..고집부리는 동행을 달래서 내려온다

내일 이어걷기 하자고..

***

숙소에서 뜨끈한 물에 목욕을 하고, 저녁은 논산칼국수집에서 잔뜩 먹어 생략하고..

건빵 안주로 와인마시며 상뚜드리며 "충청도아줌마"를 부른다..

https://youtu.be/cFrh3CcIWQw

 

행복한 밤이다..

 

방이 너무 뜨거워 잠은 설쳤지만 기분은 상쾌하다.

아침부터 산보를 나선다...

어제 이어걷기..

 

전망정자도 보이고..

 

산책로는 임도와 만나고..이곳 임도길은 총 11km나 된다..

 

자생식물원은 꽃이 피어야 문을 열 모양이다.

 

전망정자에 도착했다.

늦잠쟁이 해가 이제 올라온다.

 

싯귀절에 구봉산, 남대천이 등장한다.

아침 먹고 갈 곳이다..

 

정자 옆 벤취에 앉아 따스한 햇살을 받으며 단소를 불러본다..

"가는 세월 바람타고 흘러가는 저 구름아~~"

 

부귀도 영화도 구름인양 간 곳 없고~~

 

시화산 길을 따라 내려간다..

 

아침해가 붓을 들어 우리를 모델로 그림을 그려주었다.

화풍은 박수근을 닮았다..ㅎ

 

아침해가 그려준 2탄은 "롱다리 부부"

맘에 든다..ㅎ

 

이렇게 살다보면 어느 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하고 당당히 외칠 수 있겠지??

 

숙소 산림휴양관이 보이고..

 

나무가 말뚝박기하자고 제안하는데, 인상이 나빠서 거부했다..ㅎ

 

길이 3Km안되어 치유의 숲길을 더 걷기로 했다.

 

새집은 수요자입장을 반영하지 않고 공급자 편의대로 제공하는 바람에 아무 새도 입주하지 않았다.

주택정책의 실패는 문통을 닮았다..

 

봄이 오는데, 계곡은 얼었다.

여기는 시간이 달팽이처럼 간다..

 

그러거나 말거나 고로쇠는 자기 할일을 한다..

 

자생식물원 온실에서 돌아온다.

 

짐을 싸고 의성읍 남대천둘레길 걸으러 간다..

인생도 그렇다.

하루 밤 묵고 떠나는 것이 인생이다..

의성 금성면을 떠나 춘산면 빙계계곡으로 간다.

춘산(春山)에 웬 빙계(氷溪)인고??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인가??

 

빙계계곡 입구에 빙계서원이 자리한다.

조선 중종, 인종 때 사람  김안국, 이언적을 추모하는 서원인데, 후에 김성일, 유성룡을 추가배향하였다.. 

김안국은 김굉필의 제자로 동문수학한 조광조 숙청시 겨우 살아남은 성리학자이지만, 태정전이라는 종이를 개발할 정도로 실용주의 면모도 있었고, 중국, 일본과의 우호관계에도 적극적이었고,  또 여씨향약언해, 농서언해 등 각종 한문서적을 한글로 번역하는 등 실용주의자였다. 

 

요즘도 뻑하면 반일 주장하며 일본에 조금이라도 우호적인 견해는 친일로 매도하는데, 그 시절에 대단한 용기요 실용주의자라 아니할 수 없다 

 

 

동몽재(童蒙齋)..청소년기숙사..

글씨가 아름답다.. 

 

길가에 풍혈이 보인다.

 

풍혈속에 들어가 보니 안밖 기온차이가 없다.

밖이 뜨거워야 진가가 나오겠지..

낙엽이 진후에 소나무의 진면목을 보는 것처럼..

지금의 풍혈은 하로동선격이다..

 

예전 사람들도 제 이름을 알리고 싶었나보다..

관종 성향도 진화한다.

요즘은 sns 나 유튜브로 간다..

 

이름도 거창한 북두산 등산도 가능하다..

 

여기서 보니 빙계계곡의 가장 아름다운 프로필이 보인다.

 

빙혈가는 길에 불탑이 있다.

통일신라시대 지어진 빙산사라는 절이 있었다..

임진왜란 전후해서 폐사되고, 이 자리에 빙계서원이 생겼으나 대원군 서원철폐시 사라졌다.

현재 서원은 2003년에 계곡입구에  재건 된 것이다.

 

빙혈이 경북팔승 중 하나라면, 나머지는 무엇일까?

문경 진남교반, 문경 새재, 청송 주왕산, 구미 금오산, 봉화 청량산, 포항 보경사 12폭포,  영주 희방폭포.. 

 

인암..

낮 12시가 되면 인(仁) 모양의 그늘이 나타난다고 한다.

내눈에는 넷플릭스 지옥의 저승사자처럼 보인다..ㅎ

 

 

한여름에도 얼음이 생긴다는 빙혈 입구다..

 

빙혈은 2월에는 추운날의 부채처럼 별 효용이 없다. 

 

하지만, 다른 의미를 찾았다.

이 지역은 단군을 모시는 태일전, 빙산사, 빙계서원 등 유불선 삼교가 다 존재했던 성지란다.

 

태일전(太一殿)은 천제, 단군을 모시는 전각인데, 세종의 명에 의해 1432년(세종14년)에 빙혈 위 빙산 중턱에 건립되었다. 그러다가 1478년(성종9년) 태안 백화산으로 이건했다.

 

태일전의 부적이다. 

선자흥 악자망  선한 자는 흥하고, 악한 자는 망한다

익자생 손자사  이익을 나누는 자는 살고, 손해를 끼치는 자는 죽는다.

 

불교계를 대표해서는 반야심경이 등장하시고,

 

유학을 대표해선 논어가 한 말씀하신다.

유붕자원방래하니 불역열호아..

알아주는 걷기꾼이 멀리서 찾아 오시니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풍혈도 바람을 모두 빼고 겨울 잠을 자고 있다.

 

풍혈을 지나니 빙산으로 가는 길이 나타난다.

내 평생 빙하를 걸어보기는 했으나 빙산을 걷기는 처음이라 발걸음이 떨린다..ㅎㅎ

 

그러나 신발도, 스틱도 준비하지 않아 좀 가다가 돌아선다.

 

춘원 이광수가 소설 원효대사에서 빙혈을 신비하게 묘사했다

교통이 나빴던 예전 사람은 다 믿었을 것 같다.

요즘은 유튜브, 사진으로 신비로운 장소가 줄어들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