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與靑山何者是 春光無處不開花 (세여청산하자시 춘광무처불개화

·세상과 청산은 어느 쪽이 옳은가.

 봄볕 있는 곳에 꽃피지 않는 곳이 없도다.

 

일찍이 그가 쓴 소설 ‘길 없는 길’의 주인공 경허 스님이 남긴 선시다.
“이 말이 좋다. 나의 좌우명이다. 속세다 청산이다, 친구냐 적이냐, 여당이냐 야당이냐, 네가 옳나 내가 옳나 우리는 시비를 따지고 들지만 봄볕만 있다면 어디든 어김없이 꽃이 피는 것, 내 마음 속에서 분별심을 버리고 봄볕을 찾아야 한다는 거다. 근데 병을 걸린 뒤 암이 내게는 봄볕이라는 것을 알았다.”

암과의 만남이 어떻게 봄볕이란 걸까. 그가 설명했다. “버나드 쇼의 묘비명은 다음과 같다.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나는 지금까지 아파서 병원에 입원해 본 적이 없다. 병원은 재수 없고 불운한 사람들이나 가는, 나하고는 상관없는 격리된 특별한 장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암에 걸리지 않았더라면 나는 버나드 쇼의 묘비명처럼 우물쭈물하다가 어영부영하다가 들쑥날쑥하다가 허겁지겁 죽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암은 신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다.”  

 

.......

최근에 나는 이태석 신부님이 임종하기 직전에 들렀던 매괴성당에 다녀왔다. 그곳에는 외국인 신부님 동상이 있고,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다. “나는 여러분을 만나기 전부터 사랑했습니다.” 이제 와 생각하면 나는 태어나기 전부터 사랑받아 온 존재다. 태어났을 때부터 나의 인생은 축제고, 카니발이었으며, 매 순간이 전성기가 아닐 때가 없었다. 요즘이야말로 나의 황금기다. “

http://news.donga.com/Culture/New/3/07/20110714/38785865/1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을 읽고..  (0) 2011.08.31
용서  (0) 2011.08.08
선은 재즈다..  (0) 2010.12.11
관음 문향( 觀音 聞香)   (0) 2010.04.24
知足不辱 知止不殆  (0) 2008.03.01

 

선불교는 재즈다.

 선승의 생활은 재즈와 같다. 많은 종교들이 형식과 틀, 어떤 룰을 강조하는데 선불교는 다르다.

재즈처럼 자유롭고 즉흥적인 연주를 할 수 있다. 나는 선승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행복하다."

 

 

-제일 좋아하시는 경은 무엇인가?

"순간경! 이 커피향을 맡는 순간, 재즈를 듣는 순간, 걷고 이야기하고 시장에 가는 모든 순간,

 뺨에 스치는 바람을 느끼고, 친구와 악수를 하면서 감촉을 나누는 순간, 순간, 순간….

-현각-

 

 

걱정하지 마라, 걱정하지 마라.

산은 항상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왔다 가는 길이 아니요, 있었다 사라지는 길이 아니다.

자연 그대로일 뿐."

 

-숭산-

 

http://cafe.daum.net/endorpia/GjI6/86?docid=1HSA7|GjI6|86|20101211050257&q=%C7%F6%B0%A2&srchid=CCB1HSA7|GjI6|86|20101211050257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을 읽고..  (0) 2011.08.31
용서  (0) 2011.08.08
世與靑山何者是..세상과 청산, 어느 쪽이 옳은가!  (0) 2011.07.14
관음 문향( 觀音 聞香)   (0) 2010.04.24
知足不辱 知止不殆  (0) 2008.03.01


관음(觀音) 문향(聞香)


세상의 소리는 귀로 듣는 것이 아니다.

귀로 들리는 것은 속이는 감각에 좌우되는 것이 대부분이니

마음을 고요히 가다듬고 소리가 어디서 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남으로부터 소리를 들어도 나의 마음상태에 따라 싫고 좋은 것이 생기면

그 소리는 나에게서 나는 것이다.

남에게서 나는 소리도 그것이 그의 뱃속에서 나는 것인지, 입속에서 또는 머리에서 나는 것인지 볼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가리켜 소리를 본다( 觀音 )고 한다.


그러므로 꽃의 향기도 코로 맡는 것이 아니라 귀로 듣는다고 한다.

건성으로 보지 말고 꽃 하나 하나, 꽃술, 꽃받침, 이파리까지 낱낱히 살펴보라.

꽃향기는 말한다.

아름다운 세상이 먼 곳에 있지 않다는 것을!

풀과 나무는 저마다 자기의 꽃을 피우되, 그 누구도 닮으려고 하지 않고, 각기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드러내면서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그러면 그가 서 있는 자리마다 향기로운 꽃이 피어나리라.”

물론 향기가 풍기는 소리도 절로 들리리니.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을 읽고..  (0) 2011.08.31
용서  (0) 2011.08.08
世與靑山何者是..세상과 청산, 어느 쪽이 옳은가!  (0) 2011.07.14
선은 재즈다..  (0) 2010.12.11
知足不辱 知止不殆  (0) 2008.03.01
[이덕일 사랑] 재신(財神)과 지족(知足)

중국의 상점이나 호텔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사자성어는 공희발재(恭禧發財)로서 "돈 많이 버십시오"라는 뜻이다. 중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신상(神像) 역시 돈의 신인 재신(財神)이다. 원명(元明)시대에 편찬된 '도장 수신기(道藏 搜神記)'나 '삼교수신대전(三孝?搜神大全)' 같은 책들에 따르면 재신(財神)은 조공명(趙公明)인데, '봉신연의(封神演義)'에 나오는 인물이다. 재신은 무재신(武財神)과 문재신(文財神)으로 나뉘는데, 월왕 구천을 도와 강국 오나라를 무너뜨린 범려(范?) 같은 인물이 문재신, 조공명과 관우(關羽) 등이 무재신이다. 중국 고대 '상서(尙書)' 홍범(洪範)편의 유명한 오복(五福) 중에 첫 번째가 수명(壽)이고, 두 번째가 부(富)이니, 중국인들이 고대부터 재물을 숭배했음은 분명하다.

우리나라는 선비들이 재물을 천시했기에 재신을 모시지는 않았지만 우리말의 여러 속담들은 민간에서는 재물 숭배 사상이 중국 못지않았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조재삼(趙在三)이 편찬한 '송남잡지(松南雜識)'에 "돈이 있으면 귀신도 부릴 수 있다(有錢使鬼神)"는 말이 실려 있는 것이나 "돈이 많으면 두역신(痘疫神)도 부린다"는 속담이 이를 말해준다. "돈이 제갈량(諸葛亮)이다"라는 속담도 돈만 있으면 제갈량 같은 사람도 부릴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돈 많은 것이 나쁠 것은 없으나 사람의 욕심은 한이 없으니 만족할 줄 모르는 것이 문제이다. 세상에는 돈이 없어 생기는 문제 못잖게 현재의 삼성특검처럼 돈 때문에 생기는 문제도 많다. 그래서 옛 선비들은 만족함을 아는 지족(知足)을 중요한 생활윤리로 삼았다. '노자(老子)' 44장의 "만족할 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知足不辱 知止不殆)"는 데서 나온 말인데, '그칠 줄 알라'는 뜻에서 지족(止足)이라고도 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종교마저도 재신(財神)이 지배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로 재신이 유일신이다. 우리 마음속의 재신을 다스리는 것이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이 아닐까? 그래서 필자는 안분지족(安分知足)을 신년의 사자성어로 추천하고 싶다.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을 읽고..  (0) 2011.08.31
용서  (0) 2011.08.08
世與靑山何者是..세상과 청산, 어느 쪽이 옳은가!  (0) 2011.07.14
선은 재즈다..  (0) 2010.12.11
관음 문향( 觀音 聞香)   (0) 2010.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