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봇재로 갔다..

봇재..무거운 봇짐을 내려놓고 쉬고 간다는 고개..

1597년 추석을 보성 열선루에서 보낸 충무공은 8월 17일 군사들과 함께 봇재를 넘어 군영구미 수군기지(현 율포 해수욕장 부근 명교 백사장)으로 진군한다..

 

 

 

 

 

저 봇재 건물에 보성역사문화관이 있는데, 추석으로 휴관이었다..

 

 

다향 보성..

언제부터 보성에 다원이 많이 생겼을까?

1939년에 다원이 처음 생기고, 1957년에 대한다원이 대단위 차밭을 만들면서 보성에 다원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봇재 정상에서 율포해수욕장 쪽을 바라보면 좌측의 차도를 따라 내려가는 길이 있다..

영천저수지와 멀리 율포앞 바다까지 보인다..

이길을 따라가면 봇재 - 영천저수지 - 영천마을 - (득음정 - 득음폭포) - 정응민 생가 - 판소리 전시관 - 판소리성지 - 득음문 - 도강마을로 이어진다..

 

 

득음길 4코스는 절반은 포장길이다..

 

 

영천마을과 도강마을 중간에 정응민 생가가 있다..

쉽게 설명하면 송계 정응민(1894-1961)은 판소리 아카데미의 운영자였다..

그의 문하에서 판소리계의 거장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조상현, 성창순, 성우향이 대표적이다.

 

문득 판소리를 배운 송가인은 어느 계열일까 궁금해진다..

결론은 송가인, 친구 서진실, 조유아도 이쪽 보성소리계열에 속한다..

즉 송가인, 서진실의 스승인 박금희는 김상용 명창으로부터 춘향가를 배웠는데
김상용 명창은 보성소리의 송계 정응민으로부터 춘향가를 배웠다..

조유아의 스승인 안애란도 성우향으로 부터 춘향가를 전수받았으니, 조유아도 같은 계열이다.

 

 

정응민의 생가 대문 현판은 보성소리 명가라고 써잇다..

 

 

 

판소리는 신재효 이후 송흥록 스타일의 동편제와 보성출신 박유전 스타일의 서편제, 경기, 충청지역의 중고제로 나뉘는데,

정응민은 백부 정재근으로 부터 서편제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를, 명창 김찬업으로 부터 동편제 스타일의 춘향가를, 그리고 중고제를 가미하여 자신만의 보성소리를 완성시켰다..

 

 

 

생가의 뒷길로 판소리 전시관이 이어진다..

 

 

 

정응민은 아들 정권진을 명창으로 키웟고, 이제 손자 정회석로 이어진다..

또한 명창 조상현, 성창순, 성우향 등 제자들을 키워 판소리계의 중추를 형성하고 있다..

성우향의 춘향가를 배운 박금희의 제자가 송가인, 서진실이고, 역시 성우향의 춘향가를 전수한 안애란의 제자가 조유아이다..

 

 

지도에 보니 동초 김연수와 명창 임방울의 고택이 이 지역에 있었다...

동초는 송계 정응민으로 부터 심청가를 배웠고, 임방울은 정응민으로 부터 특별히 배우지 않고 독공에 주력했던 것 같다..

 

두 사람은 같은 시대에 활동했으나 처음에는 소리 좋은 임방울이 쑥대머리로 대히트를 기록했다..

나도 한때 임방울의 쑥대머리를 자주 들었다..

https://youtu.be/wGJSZhXYp1g

그러나 그는 일제시대와 해방기의 혼란 속에서 대접도 받지 못하고 불우하게 죽었다

 

반면, 동초 김연수는 한학과 신학문을 모두 익혔기에 소리공부를 끈기있게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창극 판소리 스타일의 동초제 판소리를 정리하여 전주 지역에서 후진을 양성하였고, 초대 국립창극단 단장을 지내고 인간문화재까지 되었다..

 

현재 판소리계는 동초제 계열과 보성소리계열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단다..

 

<참고자료> https://www.yna.co.kr/view/AKR20071029194200005

 

 

어린 나이부터 정응민에게 교육을 받은 조상현은 임방울 명창의 칭찬을 받은 일이 잇단다

 

한 번은 임방울 명창이 정응민 선생 댁에 들렀다가 조상현이 소리하는 것을 듣더니, “목이 좋네 좋네 해도, 이놈 같이 목이 좋은 놈은 첨 봤네. 형님이 성냥깐에서 두들겨만 주쇼. 팔기는 내가 팔께.”라고 말했다고 한다.

 

 

 

전시관에서 왕희지 난정서 첫머리가 쓰인 글씨를 보고 반가웠다..

"시일야 천랑기청 해풍화창 앙관우주지대 부찰품류지성 소이유목빙회 족이극시청지오 신가락야"

 

이날 하늘은 깨끗하고 공기는 맑았으며  바람은 따스하고 부드러웠다.

우주의 광대함을 우러러보고 고개 숙여 만물의 무성함을살펴보라.
자유롭게 눈을 들어 마음 가는 대로 생각을 풀어놓으니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즐거움이 참으로 흥겹기만 하구다.

 

이글을 쓴 사람이 소정 성창순 명창이다..

노래와 서예를 겸비한 사람이다..

그녀는 정응민으로 부터 수궁가를 배웠다..

 

 

성창순의 무덤이 이곳에 있다..

판소리할 때 들었다 부채가 묘지석이다..

 

 

 

 

 

전시관 옆으로 가면 판소리전수교육관으로 이어진다..

 

 

 

 

판소리 다섯마당의 주체 형상이 즐비하게 늘어섰다..

 

 

 

보성소리는 서편제(강산제)를 이어받은 심청가, 수궁가, 동편제를 이어받은 춘향가를 가르킨다..

다만 홍보가는 배우지 않는단다..

 

이에 반해 동초제는 흥보가를 포함하여 판소리 다섯마당을 다 가르치는데, 창극 판소리로 진화하였다..

 

 

 

득음문..

득음은 판소리 전수자들의 최종목표이지만 그 길은 멀고 험하다..

 

 

판소리 성지..

이 일대 정응민 생가, 박유전기념비, 판소리 전시관, 전수교육관을 포함하여 그렇게 부른다..

 

 

다시 도강마을 거쳐 영천마을로 돌아간다..

멀리 봇재가 보인다..

 

 

 

 

 

영천마을에서 득음정 - 득음폭포(소리폭포) - 한치재 주차장으로 이어지는 차향소리길이 계속된다..

 

 

 

 

물길을 따라가는 이길

물소리와 판소리는 상관관계가 있을까?

 

 

 

 

가는 길에 칡꽃향이 차향보다 더 진하다..

 

 

 

 

 

해탈교처럼 돌다리를 건너면 득음정이 잇다..

 

 

 

대숲을 끼고 득음정이 자리잡고 있다..

 

 

폭포소리, 대숲소리, 노래소리가 저절로 어우러질 분위기...

 

 

폭포소리가 너무 과하지도 작지도 않은 것이 판소리 성대 단련하기 좋은 장소 같다..

 

판소리 소리꾼의 성대를 분석한 영상이 있다..

https://youtu.be/DqnCIitazvs


이 영상을 보면, 판소리 소리꾼들의 득음과정은 성대결절을 감수하면서 만들어낸 것이다..

옛날 명창들이 폭포 앞에서 피를 토하며 연습하고 똥물로 치료하면서 얻었다는 득음 과정을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있을 것 같다.

 

 

폭포를 바라보며 노래 한소절 들어본다.. 

https://youtu.be/WWEG3z5l8Uc

 

꿈이로다 꿈이로다 모두가 다 꿈이로다
너도 나도 꿈 속이요 이것 저것이 꿈이로다
꿈 깨이니 또 꿈이요 깨인 꿈도 꿈이로다
꿈에 나서 꿈에 살고 꿈에 죽어가는 인생
부질없다 깨려는 꿈은 꾸어서 무엇을 할거나

 

 

득음폭포에서 한치재 주차장 가는 길은 별로 다닌 흔적도 없고, 다리상태도 좋지 않아 되돌아간다..

안숙선 명창이 부르는 만고강산을 들으며 쩔룩 쩔룩 길을 돌아간다

 

 

영천마을에서 득음폭포(소리폭포)까지는 왕복 2km

 

 

영천마을에서 수변길을 걷는다..길 군데 군데 개설되고 말앗다..

 

봇재로부터 차밭을 지나고 영천저수지를 지나고 득음폭포를 거처 판소리 성지 가는 길이

훍길과 수변길로 재개설하면 스토리있는 멋진 걷기 코스가 될 것같다..

 

 

 

 

<걷기코스> 봇재 - 영천마을 - 득음정 - 득음폭포 - 한치재 주차장  약 6.9 km  득음길 4코스 차향소리길

<관광코스> 봇재 공원, 정응민생가 - 판소리 전시관 - 판소리 성지 - 득음문,  득음정 - 득음폭포 왕복

 

 

보성걷기..벌교 태백산맥문학길을 간다..

소설가 조정래가 보성군 벌교읍을 무대로 집필한 대하소설  태백산맥..

시대는 해방 직후 여순반란에서 부터 6.25 휴전협정까지를 배경으로 좌, 우익으로 갈린 벌교사람들의 생과 사를 다룬 작품..

다 읽었느냐고?

아니..나는 임권택 감독의 영화 "태백산맥"으로 뗐다...

그것도 전날 부랴 부랴..

그래서 나에게는 벌교 태백산맥 영화길이라고 해야 맞다..ㅎ

 

 

조정래는 순천 사람인데.

김제 새만금바람길을 걸을 때 아리랑 문학관에 들른 적이 있고, 보성 벌교에서는 태백산맥 문학관을 만나네

 

 

걷기는 현부자 집에서 시작한다..

 

 

 

이 집은 한옥에 일제시대 분위기를 가미한 짬뽕 한옥이다..

 

 

옆에 애기 무당 소화의 집이다.

자신이 은근히 연모했던 좌빨인 부자집 아들 놈이 덥치지만 불감청 고소원이라..결국 로맨스 좌빨이 된다..

 

 

길가에 그녀의 마음처럼 동백이 붉게 피었다..

 

 

 

꼬막의 고장 벌교..길거리 벽화도 꼬막 채취가 주제..

그러네, 누군가 귀뚬하는데..이곳 꼬막은 수출하고, 대신 중국산 꼬막이 들어와 설친다는데 맞는지 모르겟다..

금산 마전의 추어탕 거리도 중국제 추어 가루가 점령하고 있더만..

이젠 먹거리도 다 외제다..

그래도 배달의 민족이라고 외치는 광고도 있지만..ㅎㅎ

 

 

 

 

습지를 가로지는 다리를 건넜다,..

 

 

 

 

갯벌..한때는 쌀이 전부였다..

그래서 간척사업으로 개뻘을 없애고 논을 만들려고 애썼다..

그러나 이젠 쌀을 잘 먹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그통에 새만금만 애물단지가 되고, 대선 때마다 단골 공약 메뉴거리로 전락했다..

 

시대가 바뀌니 미개발이 최신 패션이 되었다..

 

 

 

 

 

습지의 갈대를 구경하며 걷다 보니 문학길은 엉켜버렸다..

아마 문학길 개설후에 습지 갈대길이 조성된 모양인데, 이제라도 2길을 멋지게 통합하는 걷기 코스로 만들기를 권유한다..

벌교읍 관계자가 이 불러그를 볼라나??

하여간, 우리는 헤메다가 다시 문학길로 돌아왔다..

 

 

 

 

염상구가 벌교의 주먹계를 평정하는데 기여하는 철교...

형 염상진은 부모의 사랑을 받고 공부도 잘해 학교 선생하는데, 동생 염상구는 거꾸로 나간다..

그래서 형이 경찰이엇으면 지가 좌빨이 되었을 것이라고 썰레발 친다..

좌익 염상진과 우익 염상구 사이에서 마음고생하는 어머니가  안스럽다..

 

 

순천에서는 얼굴 자랑 말고, 벌교에서 주먹 자랑 말고, 여수에서는 돈 자랑 말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잇다...

벌교의 주먹은 염상구 때문에 유명한 건가??

 

 

 

벌교에는 태백산맥문학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순신장군 수군재건로도 있다..

 

 

 

 

 

 

 

꼬막을 모티브로 한 빵..모양은 그대로다..ㅎ

 

 

 

영화 태백산맥이 등장한다..

연기는 염상구 역을 한 김갑수가 압권이었다..

김범우역의 안성기 연기는 별루..

 

영화는 이 벌교 지역에서의 치열한 좌, 우익 대립의 원인을 농지분배 문제로 분석한다..

김범우의 입을 빌어, 북한의 먼저 토지몰수와 무상분배를 하였지만, 그 허상을 설명한다.

남한은 지주의 꼼수에도 불구하고 6.25 발발전에 농지개혁법을 통과시켰다..

이것이 신의 한수가 되엇다..

전쟁의 와중에 민심을 잡고 국면 전환에 큰 기반이 되었다는 것..

 

먹고사는 문제..과거와 미래의 영원한 화두이다..

 

 

 

아들은 좌익, 아버지는 반대..

그 사이에 어머니가 몰래 아들 편을 들어 주는 상황..

 

 

 

 

정작 볼거리는 문학거리에 숨어잇는 가게의 상징물들..문구점..피아노 레슨..이용실..국밥집...등

 

 

 

부용한문서당 유리창에 글자가 즐비하다..

무슨 글인가 했더니 북송 미불의 글씨 촉소첩이다..

미불은 황희지 부자를 추종하는 서예가인데, 이첩에는 자작시 '의고(擬古)'를 비롯하여 오언시와 칠언시가 각각 4수가 행서체로 쓰여 있다.

 

青松勁挺姿,凌霄恥屈盤。種種出枝葉,牽連上松端
청송경정자,릉소치굴반。종종출지엽,견련상송단

 

秋花起絳煙,旖旎雲錦殷。不羞不自立,舒光射丸丸
추화기강연,의니운금은。불수불자립,서광사환환

 

柏見吐子效,鶴疑縮頸還。青松本無華,安得保歲寒。
백견토자효,학의축경환。청송본무화,안득보세한。

 

푸른 솔 씩씩하게 빼어난 자태
하늘을 찌르듯 굽힐 줄 모른다

듬성 듬성 가지와 잎이 나와

서로붙어 솔 끝까지 올랐다.

가을 꽃은 붉은 연기처럼 피어나고

길게 깔린 구름은 검붉은 빛이로세.

스스로 서지 못함을 부끄러워 하지마라

빛이 퍼지고 사방으로 빠르게 나가리라

잣나무 열매 떨어지는 것을 보고 

학은 목을 움츠리고 돌아가길 의심한다.

청송은 본디 꽃도 없으면서 

어찌 험난한 세상의 추위를 이겨 내려는가?

 

 

 

조정래..

그는 순천 선암사에서 태어났다..

선암사는 대처승과 비구승을 다 포용하는 태고종의 본부다..

그의 아버지가 스님..대처승이란다..

대처승이 나쁘다고 해서는 안된다..

카톨릭 신부나 개신교 목사처럼 결혼을 허용하는 종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불교의 재가신자도 유마거사, 방거사 처럼 보살이 경지에 오른  사람이 있지 않은가?

그의 아버지 조종현은 환속해서 국어교사로 지내며 시조시인으로 활동했단다..

어머니 김초혜도 시인이란다..

그는 시인 사이에서 태어나 저절로 문학을 접하고 소설가가 된 모양이다..

그는 김제에 아리랑 문학관이 있고, 벌교에 태백산맥 문학관이 있고, 고흥에 가족문학관이 있어 당대에 3개의 문학관이 있는 거인이다..

 

 

 

길은 월곡영화골 벽화 길로 이어진다..

 

 

 

 

 

 

코코..멕시코 영화..

이 영화보고 돌아가신 큰형님을 꾸었다는..

멕시코에 가서 인류학 박물관을 가보니 이 사람들의 해골과 망자에 대한 생각을 느낄 수 있었다..

 

 

재미있게 본 "러빙 빈센트"

이에 걸맞는 음악은 돈 맥클린의 'Starry Starry Night"이다..

 

 

현대판 마녀는 백설희에게 담배를 권한다..ㅎㅎ

 

 

라라랜드의 춤을 추고 도리화가를 부르면서 지나가면

 

 

 

부용산으로 오르게 된다..

 

 

 

여기서 채동선을 만난다..

정지용의 시 "향수"와 "고향"을 노래로 작곡한 음악가..

향수와 고향은 마치 다른 고향을 그린 것 처럼 정서가 다른데, 둘다 절묘하다..

 

 

 

그의 생가가 부용산 아래에 잇다..

 

 

 

 

홍교(虹橋)..무지개 다리..아치형 다리를 말한다..

이런 돌다리를 놓으려면 동네 경제 사정이 좋앗다는 말이다..

충남 강경의 미내다리도 이런 다리이다..

이런 다리에 대한 긍지가 어느 정도냐 하면,

죽어서 염라대왕에게 가면 묻는단다..

"강경 미내다리를 보고 왓느냐?"

 

 

 

걷기는 꼬막 조형물이 있는 곳에서 마친다..

그 옆 외서댁에 눈길이 간다..

영화에서 염상구가 덮친 여인..이쁜 여자가 나오던데..

외서댁가서 꼬막 정식 먹고 싶었는데, 다른 곳에 예약되어 있다 해서 아쉽게 발길을 돌렸다..

 

 

<오늘 걷기> 태백산맥 문학관 옆 현부자집 - 습지 갈대길 - 철다리 - 벌교역 - 술도가 - 남도여관 - 금융조합 - 월영영화골벽화마을  - 부용산 -

채동선 생가 - 홍교 - 버스터미널 약 10K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