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빌더의 원래 계획은 차 1대를 신풍령(빼재)에 두고, 1대는 무주리조트로 가서 출발하는 것였다.

현장에 가보니, 빼재 올라가는 구간은 공사중이라, 계획을 수정하여 차 1대를 송계사 탐방지원센타에 두고, 무주리조트로 향한다..

결과적으로 잘 된거다..물론 송계사 코스로도 가지 않는 것이 더 좋은거지만..ㅎㅎ

 

일단 무주리조트 곤돌라를 타고 설천봉으로 오른다..

비수기인 요즘은 주말예약없이 탈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약을 확인해야 한다는...ㅎ

 

설천봉 상제루는 겨울 아닌 계절에 보니 큰 감흥이 일지 않는다..

 

요즘은 챙겨야 할 예약은 향적봉 예약제다..

다행히 하루 1500명 예약인데, 500명 정도 예약된 상황이라 대표 1인이 현장접수하고 들어갈 수있었다..

 

뒤돌아보니 설천봉이 내려다 보인다..

 

향적봉..내 등산 인생의 첫사랑이다..

내 발로 1600고지에 올라 손잔등길을 바라보던 순간..거의 이수지급이라고 할 수잇다..

 

중봉 뒤로 지리산 천왕봉이 보인다..

 

대피소를 지나니 길가에 우박이 구슬처럼 가득하다.

어제쯤 이 길을 지난 사람은 이 우박을 맞았을까??

거의 부상급인데??

 

고산의 나무는 도사처럼 바위에 뿌리를 감고 산다..

 

드디어 중봉에서 손잔등길을 바라본다..

언제나 와서 봐도 좋다..

 

손잔등길을 바라보며 점심을 먹는다..

멈추어라!  순간이여~

무한의 시간처럼 느껴진다..

 

이제 손잔등을 올라타고 백암봉으로 향한다..

 

오늘 꽃길의 주인공은 꽃쥐손이다..

잎의 모양이 쥐의 발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데, 쥐 꼬리는 몰라도 쥐발을 본적이 별로 없어서..ㅎ

 

백암봉에서 좌회전하여 횡경재로 간다.

횡경재 거쳐 송계사 탐방센터까지 6.2km를 가야한다..

 

횡경재 가는 길은 백두대간인데, 거의 조망이 없는 오솔길이다..

 

잠시 조망이 되는 곳에서 뒤 돌아보니 백암봉이 저만치서 내려다보고 있다..

 

다시 터널같은 숲길을 가는데, 구녕난 잎들은 어제께 온 우박 탓일까??

 

 

2-3번 오르락 내락하며 지루하게 횡경재에 도착햇다..

그동안 섬산행에 너무 중독되었나, 조망없는 숲길에 답답증을 느낀다..

 

횡경재에서 송계사가는 길은 고도 700m를 3km에 걸쳐 내려가야 한다..

왕년에 피아골계곡 8.5km 내려간 이후 최대 난적을 만난격이다..

하지만, 이리 하산하지 않고 빼재(신춘령)으로 갔으면 봉우리 2개를 넘으며 5km를 더 가야하니, 덜 고생한 걸 위로로 삼아야 하리..ㅎㅎ 

 

급경삭간을 지나며 너덜길이 죽 이어지니 한시도 조고각하 화두를 놓치면 안된다..

 

식당예약시간도 잇고, 다리도 피곤하여 100미터 거리의 송계사는 들여다 볼 생각없이 냅다 주차장으로 내려간다..

주차장에 가보니, 육십령을 출발해서 이곳으로 하산(25KM)하는 백두대간팀을 기다리는 차량도 있더라..

참 징한 사람들도 많다..ㅎ

 

<오늘 걷기> 무주리조트 곤돌라 승강장 - 설천봉 - 향적봉 - 중봉 - 백암봉- 횡경재 - 송계사탐방지원센터 주차장 약 11km  

금년 단풍은 주춤거리며 다가온다.

8월 9월 잦은 비로 나무들이 물을 빼느라 1주일 정도 늦어지는 것 같다.

지난주 가려던 무주 구천동 계곡을 이번 주(10.31)로 늦춰오길 잘했다.

아침 8시 30분에 구천동 주차장에 도착하니 한산하다.

 

입구에 붉은 단풍이 마음에 들었다.

갈수록 더하겠지?

 

월하탄을 지난다..

 

탐방지원센터가 잇는 곳에서 어사길은 시작된다.

 

영조 때 어사 박문수가 이곳 구천동에서 횡포를 부리던 토호를 치죄한 연고가 있다 해서 어사길로 부른다.

 

단풍이 단장한 모습으로 아침해살을 받으니 붉은 빛이 더욱 영롱해진다..

 

계곡물로 얼굴을 씻은듯 맑고 상쾌하다..

 

햇님이 낙엽될 것들에게 축복을 내리사 황금으로 변하게 하나니

목생(木生)의 마지막을 탄성을 받으며 떠나게 하시는구나..

 

초록에 지쳐 단풍이 되었다지만

때론 초지일관 독야청청하는 것이 돋보이기도 한다..

 

때론 꽃피우지 못한 인생도 홍엽을 핑계로 사랑을 느껴볼 수 있다..

 

만산홍엽의 시절에 계곡물도 숟가락 담궈본다..

붉은 물이 흐른다..

 

무지개색을 볼수 있는 인간에 대한 축복..

흑백으로 보는 짐승에게는 이해못할 이야기..

깨달음도 그와 같을까?

 

실상이 이리 찬란하지 않고,찬란한 허상만 보고 잇다면 

어찌 할 것인가?

 

두어라.

실상이든 허상이든

찬란이든 비천이든

모두 옳으니 시비하여 무엇하리..

 

형형색색..

무엇하나 탓할게 없다.

인생도 그렇다.

어디서나 주인노릇한다면 무슨 차별이 있으랴..

 

붉음도 지나치면 몸부림친다고 할까?

황금빛을 띠기도 하고, 검어지기도하고.. 

 

동백과 단풍은 죽마고우

봄날 동백이 붉은 꽃송이채 스러지자

여름 내내 상심하다가 

가을 단풍은 온산을 물들이며 붉게 떨어진다.

(수암)

 

구천동의 유래는 스님 9000명이 수도하는 곳이라하여 구천둔이라고도 햇다..

김남관이 60년대 구천동을 개발하면서 구천불을 조성하려고 했다

 

부처의 마음은 봄날 벚꽃 염화시중하실 때는 하얗고, 가을 단풍공양 받을 때는 빨가실까?

 

계곡이 좁아지고 붉음 속에 생각이 다하고 말문도 막힐 즈음

안심대에 도착한다..

 

사육신의 시신을 거둬 노량진 산기슭에 묻고 남쪽으로 피신한 김시습..

구천동 계곡에 들어와 마음의 평화를 얻었다하여 안심대..

 

안심대에서 돌아선다..

이번엔 차량통행하는 탐방로로 돌아가는 길..

다시온 비파담..더 붉어졌다..

 

 

붉은 날에 추모할 사람도 많다.

구천동에서 산화한 사람들..

 

 

장암 김남관 공적비도 있다.

그는 이고장 출신으로 군복무 시절부터 이 지역 개발에 앞장 서 오다가 예편후에 본격적으로 관광지 개발에 앞장선다.

나제통문과 무주 33경 설정 및 작명 등을 하였다.

 

의병장 문태서

26세때 을사늑약에 분개하여 최익현을 도와 거병..

1911년까지 덕유산 일대에서 왜병과 전투..

고향인 함양 서상에서 체포된후 옥에서 자결..

산천초목이 다 알고 가을마다 충정을 붉게 위무하는구나..

 

다시 돌아온 입구..

단풍이 더 화사해졌다..

 

나보다 더 단풍을 즐기는 애마 속에서 짧고 찐한 붉은 잠을 잔다..

 

 

<오늘 걷기> 구천동 주차장 - 탐방지원센타 - 어사길 - 안심대 - 포장길 탐방로 하산  약 9 km



요때쯤 떙기는 곳이 무주 금강변이다..

천리를 가는 금강이 가장 아름다운 계절이고 그 아름다움을 빛내주는 곳이 그 지역이기 때문이다..

내비에 무주읍 내도리 후도교, 또는 후도마을 치고 간다..



가는 길에 복사꽃이 마중을 나왔다..

무주가 점점 무릉도원을 닮아간다..




맘새김길은 후도교 옆 학교길에서 시작한다..




학부모들의 염원으로 만들어진 학교길의 상징인 질마바위를 지나며 인증샷을 찍는다..

철쭉이 질마바위 옆에 수줍게 고개를  내민다..




오랜만에 와보는 이 길이 전보다 넓어진 느낌이다..

원래 다시 가보면 예전보다 좁아진 느낌이 주로 드는데, 이곳은 넓어진 것을 보니 관광객 유치의 염원이 큰 것인가?

하지만 지나치면 풍광의 묘미를 잃는다..




몽당연필 한자루가 학교길을 상징한다..

강건너 도원은 평화로운 풍경이다..





오소소 한다발 붓꽃..

그대로 화병에 옮겨도 되겟다..



북고사에 도착했다..




전에는 절 7층석탑 쪽 길을 통해 능선으로 향로봉으로 갔는데,

오늘은 극락전 별실 옆 길을 통해 올라간다..



그런데, 이길이 진국이다..

참 멋지고 아름다운 오솔길이다..





능선에서 향로봉 쪽 등산로와 만난다..

조금 더가면 동굴 경유 코스도 만난다...


다음엔 학교길 - 북고사 - 칠층탑 옆 등산로 - 향로봉 - 동굴경유 오솔길로 하산해 보아야 겠다.




토종 철쭉이 피었다..

사람들이 연산홍이라 해서 햇갈리게 하고 본 이름을 뺏앗을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잇는 더 붉은 철쭉은 개량형으로 산철쭉이라고 한다..



능선길 전망대에 앉아 점심을 먹는다..

전날 밤 송가인이 유스케에서 부른 "봄날은 간다"를 배경음악으로 틀어놓고..

https://tv.naver.com/v/13416498



이제 밥값을 해야한다..

가파는 등로를 허이 허이 오르면 정자에 들러야 한다..





내도리 금강이 휘돌아가면서

왜 후도(뒷섬)와 내도(앞섬)라고 부르게 하는지 살펴본다..



정자 이름은 관율정이다..

볼 관(觀)..율(흐를 율 , 삼수변에 날 일자)..흐르는 금강 물결을 바라보는 정자는 의미..




활공장에 도착했는데, 전과는 뭔가 다르다..

향로봉 쪽 차량 진입을 막고, 반대편에 임도를 개설하여 차량이 통행하도록 했다..

활공장도 토양 복원공사를 하는 모양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산 길은 전에는 활공장 끝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었다..

이번에도 길은 남아있으나 임도 공사 때문에 중간에 절벽으로 변하지 않았을까 걱정하며 내려간다..

역시 간판이 누워있는 것을 보니 더 걱정이 커졌다..




하지만 어느 정도는 남아 잇었고, 임도와 만나는 부분은 길이 사라졌으나, 겨우 겨우 임도로 내려갈 수 잇었다..

그러나 거기까지..





포장된 임도를 내려오는 길에서 예전의 하산길이 그리웟다..

모든 길이 포장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든다..




지리한 포장에서 나를 달래주는 민들레..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봄날은 간다..



앞으로 이 하산길을 이용하지 않을거다..

차라리 활공장에서 돈내고 2인용 패러글라이딩으로 하산하던지..

그것이 아니라면, 학교길과 북고사 둘레길로 만족하겠다..




그래도 4월에 반겨주는 이 복사꽃 때문에 해마다 돌아오리라..

나는 꽃기약은 지키는 사람이다.






<오늘 걷기> 후도교 - 학교길 - 북고사 - 임도 - 관율정  - 활공장 - 임도 하산  약 7km




동네 지인들에게 걷기도 전도에 나섰다..

겨울에  아이젠, 스패츠,스틱을 장만시키고 무주 향적봉에 오르기로 했다.. 



무주리조트에 10시반에 도착.. 매표소에 가니..

" 주말에는 사전예약한 사람에게만 표를 판매합니다."

애고~~

그 와중에 핸폰 놓고 내린 사람 찾느라 시간만 허비..

6.25 때 난리는 난리도 아니여~~



하여, 구천동으로 식사하러가는데, 밀리는 차량이 엄청나다..

구천동으로 들어가려다 포기하고 얼릉 차를 돌려 입구 전주콩나물밥 집에서 모주를 곁들여 점심을 해결,,



꿩대신 닭을 찾다가..

덕유산 자연휴양림으로 향한다..

웬걸??  득템..

한적하고 눈이 20cm 수북히 쌓인 산길이 대기중..ㅎㅎ



걷기도  초자 신도들 아이젠 처음 차보고 좋아하네..ㅎ





일월오봉도에 등장하는 뽕나무 위상이 대단하네..

왕의 배경이었다니..







눈길을 가는데. 일행이 한마디한다..

자기는 눈길만 보면, 왕년에 본 영화가 생각난단다..

김희라와 문희가 오토바이 타고 가다가 내려서 눈길에서 김희라가 가죽점퍼 지퍼를 내리자 바로 떡벌어진 가슴이 쑥 나오고,

이어 문희와 하얀 눈위에서 사랑을 나눈다나...


일행들이 한마디 거든다..

"그려, 오늘 영화 한편 찍자..." ㅎ








설국을 걸었다...영화 같이..









덕유산 자연휴양림 산책로 도는데 3Km 정도 ,,

초보 신도들 전도용으로 딱 좋았다..



오리탕으로 저녁을 먹고 나오다..입구에 글씨에 끌렸다..

낙기속, 안기거??

풍습을 즐기고 안락하게 거처하라...


노자 도덕경의 결론이다..

노자가 꿈꾸는 이상세계...


작은 나라에 적은 백성.

AI 같이 편리한 도구있으나 사용하지 않고,

백성들이 죽음을 중히 여기고 멀리 이사 가지 않는다.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탈 일이 없고

갑옷과 무기가 있어도 쓸 일이 없으니

사람들은 다시 새끼를 묶어 사용하게 한다.


음식을 달게 먹고

의복을 아름답게 걸치며

거처를 안락하게 여기고

풍속을 즐기나니


이웃나라와 서로 마주하여

닭과 개 짖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와도

백성은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지 않는다.



使有什伯之器(사유십백지기)

而不用(이불용)

使民重死(사민중사)

而不遠徙(이불원사)

雖有舟輿(수유주여)

無所乘之(무소승지)

雖有甲兵(수유갑병)

無所陳之(무소진지)

使人復結繩(사인복결승)

而用之(이용지)

甘其食(감기식)

美其服(미기복)

安其居(안기거)

樂其俗(낙기속)

隣國相望(인국상망)

鷄犬之聲相聞(계견지성상문)

民至老死(민지노사)

不相往來(불상왕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