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조치원 복사꽃을 보려고 아침 일찍 나선 길이었다.

그동안 도시화로 제대로 된 도원 경관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인데, 누가 도원 성당 뒷편이 지난주 멋지다 해서 

급한 마음에 달려갔는데..ㅜ.

복사꽃, 배꽃은 다 떨어지고 없었다..

조치원 복사꽃 보려면 4월 2주에 와야한다는 사실..

어쨋거나, 무심히 오봉산을 걷고 돌아갈 생각이었다..

차를 오봉산 주차장에 대면, 강화 최씨 숭모단과 마주친다..

강화 최씨의 시조를 모신 곳이다..

코메디언 최양락이 이 집안 후손이다..

 

입구엔 산철쭉이 만개를 위한 워밍업에 들어갔다.

 

어디선가 딱 딱 나무 쪼는 소리가 들려 자세히 살펴보니, 나무구멍 속에서 꼬랑지만 규칙적으로 흔들린다..

잠시후 고개를 내밀고 나오는 녀석..

크낙샌가? 딱다구린가??

 

임도 사거리가 나온다.

나중에 고복저수지를 거쳐 이 곳으로 올라올 예정이다.

 

 

화려한 산철쭉과 달리 은은한 참철쭉을 만났다.

 

철쭉..

한자어 척촉(제자리 걸음)에서 유래한다..꽃에 독성이 잇어 양이 이 꽃앞에서 머뭇거린다하여 척촉이라 하다가 철쭉으로 발음이 변했단다..

선홍색 철쭉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가 참철쭉이다.

전에 가부장 시절에는 할아버지, 외할아버지라고 불렀는데, 요즘 처가중시 집안에서는 할아버지, 친할아버지로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 

 

연달래..

진달래와 비교해서 부르는 토속말..이말을 더 자주 써야겠다.

 

개꽃..

먹을 수 있는 진달래는 참꽃, 못먹는 철쭉은 개꽃으로 불렀다..ㅎ

 

이 꽃은 근세 서양으로 반출되어 영국왕립원예학회에서 대상을 차지한 경력이 있는 꽃이다.

 

이 꽃을 바라보노라면, 참 곱다, 참하다는 단어가 떠오른다..

 

어제 음성 사곡2리에서 스쳤던 인연이 오늘 오봉산에서 찐하게 이어진다.

전에 오봉산에서 보긴 했어도 이렇게 지천으로 피어날 줄은 몰랐다..

 

득템..

생각지도 못한 철쭉, 참철쭉, 연달래의 천국을 보게 될줄이야..

앞으로 4월 3주는 오봉산 걷기로 픽스한다..ㅎ

 

이런 이쁜 곳에 설화가 없을 수 없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이 명주(강릉)태수로 부임하여 가는 도중 수로부인이 절벽에 핀 철쭉을 보고 꺽어 달라고 했다.

이 때 한 사람이 용감하게 절벽을 올라 꽃을 꺽어 바치며 헌화가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자주빛 바윗가, 암소잡은 손 놓게 하셨으니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철쭉꽃의 전설..이런 노래를 누가 만들어 불렀으면 좋겠다.

송가인이 부르는 노래처럼..부드럽고 달콤하게..

https://youtu.be/Ioz5JyVN0bY

 

오늘 오봉산에도 백만송이 연달래가 피엇다.

 

오봉산 정상에 올랐다.

참철쭉에 빠져 시간이 순삭이다..

 

정상 전망대에 새먹이통이 잇다.

새들이 연신 들락거린다..저넘들 배터지겟다..

 

전망대 북녁에 운주산이 언제 한번 오시요하고 초청한다.

하긴, 가본지 오래되엇다..

 

고복저수지로 가는 길에도 참철쭉이 이어진다.

황홀함에 젖어 젖어 구름에 달가듯이 발걸음이 이어진다..

 

표지판 제작자에게..

용암저수지 = 고복저수지 라고 알려주기 바라오..ㅎ

 

 

이런 아름다이 호젓한 길에는 그녀의 3집 신곡 연가(戀歌)가 딱이여~

https://youtu.be/ajzHkntBJMI

 

그녀의 노래를 듣더니 연달래가 핫핑크로 바뀌었네..

기적인기라~~ ㅎㅎ

 

 

노래가 다할무렵 하산 길도 끝나간다..

 

카페 그대잇음에..옆으로 나온다..

한 여름에 오면 카페에서 눈꽃빙수라도 먹으면 좋겠다..

 

바로 고복저수지 데크길로 이어진다..

 

거기서 아침에 못본 복사꽃을 만났다..

 

이길은 벚나무가 많으니 벚꽃 필때와도 장관이겠다..

고복저수지..출세햇다.

왕년에 저수지 생기기전에 어머니와 걸어갔던 개천길..

이제 그길은 물속에 잠겼어라..

잠시서서 기도를 올린다..ㅎ

저수지를 지나면 차도를 따라 몇백미터 가야 불일선원으로 가는 길로 접어든다..

갈림길에서 1.5km가면 불일선원이다.. 

문제는 포장길에 땡볕이라는 거다..

아직은 4월 날씨라 견딜만 하다..

 

길가의 흰꽃..배꽃일까??

다음에게 물었더니 산사나무꽃 확률이 90%란다..

아가위라고도 하는데..

밤꽃향기가 남자의 거시기 냄새라면, 산사나무꽃 냄새는 여자의 거시기 냄새란다..ㅎㅎ

이 열매로 담근 술이 산사춘이라는 것 처음 알았다..ㅎ

 

불일선원에 가까워올 무렵  복사꽃이 마라톤의 승전을 알리러 온 병사처럼 지난주 화려하게 피어낫음을 증언하고 숨을 거두려 하고 있다..

그대 잘가라..

 

불일선원을 지나면 시원한 그늘 임도다..

정상이 아니라 하산 등산로와 만나는 지점 까지는 1km도 안된다..

 

좋은 벤취를 만나 자리펴고 그녀의 연가를 들으며 점심을 먹는다..

https://youtu.be/Ioz5JyVN0bY

 

 

다 내려와서 솔숲 들마루에 누워 한숨 청해본다..

꽃과 노래 그리고 행복한 걷기..

 

<오늘 걷기> 오봉산 주차장 - 정상 - 고복저수지 - 조각공원-  불일선원 - 등산로 하산길 - 주차장  약 10km

10몇년을 걷다보니 계절에 딱 맞는 명품길 리스트가 딱 나온다.

복사꽃 보려면, 4월 3주에 이곳으로 와야 한다.

<내비>에 사곡2리문화회관 (음성군 감곡면)..을 친다.

회관 앞 공터에 도착하자,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복사꽃이 환영해준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유혹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 같다.

 

이 시즌에는 복사꽃을 흉내내는 것이 유행인가??

 

고목 좌측으로 골목길을 돌아가는데, 라일락 향기가 코를 찌른다..

워매, 복사꽃과 한번 해보자거여~

 

그뿐이 아니다. 

고고한 배꽃아가씨도 나와서 반길줄이야..

파워 블러거 온다고 소문낫나?

 

오늘은 동행의 다리 부상 땜시로 조금만 걸을 요량으로 거꾸로 관음사 방향으로 올라간다.

으잉?? 가는 날이 장날이고, 노쳐녀 시집가는 날 등창난다고..ㅎ

길 공사중이다..애고..

이 사람들아!! 복사꽃 시즌이 끝나고 하던지, 그전에 끝내던지..ㅎ

 

어찌되었건, 꽃만 이쁘면 된다..

 

오매, 무릉도원은 쏴라있네..ㅎ

 

 

조팝도 소문듣고 나와부렀네..

뭐일이랴~ 일단 환영부터 해부러..ㅎ

 

사과꽃도 피었네..충주나 가야 볼 수있을 줄 알았는데..

참 반갑구마이..ㅎ

 

복사꽃 능금꽃이 피는 내고향..

이 노래 가사가 거짓말이 아님을 알겠다..

 

1600년전에 도연명이 무릉도원 피셜 한마디 한 이후로

얼마나 많은 글쟁이들이 풍류를 핑계로 봄빛 속을 쏘다녔던가??

 

날씨와 눈이라도 무릉도원을 즐기면서 세상시름을 잊으면 그것도 공덕이다..

복사꽃 뒤에 신록이 배경으로 서있지만, 그린매직이 더 신령스럽다.

그린은 언제나 옳다는 카피처럼..

 

다리 핑계 대신에 불쑥 쑥캐고 싶다는 이유를 대는 동행을 두고 나만 관음사로 간다..

 

꽃들의 공양을 받으셔서 그런지, 동전 공양을 받으셔서 그런지, 표정이 매우 좋으시다..

 

산철쭉은 아직이지만, 참철쭉이 제철이다..

그러나, 이것이 예고편인 줄 이때는 몰랐다..

 

예진아씨처럼 참 곱기도 하다..

너만은 마약하지 말그레이..ㅎ

 

탑등도 몰래 그녀를 연모하고 있다는..ㅎ

 

천년의 고생 끝에 등룡문에 올라 여의주를 입에 무신 이무기님 축하드립니다..ㅎ

용님들은 검수완박의 검사꼴나는 일은 없겠지요??

 

이번 꽃생의 마지막을 맞이한 개나리, 진달래, 벚꽃이 절집에 모여 극락왕생을 빌고 잇다..

니 인생도 얼마 안남았다..알간?? 

 

둘레길로 올라간다..

 

양지꽃이 넙죽 절하며 반긴다..

아! 이 친구야, 나는 부처가 아니여~

나도 맞절하며 얼릉 사진을 찍는다..ㅎ

 

둘레길을 걷다가 혼자 두고온 동행이 걱정되서 돌아선다..

 

도원으로 돌아오니  모두 봄놀이에 바쁜데, 민들레 집안만 출가 준비로 바쁘다..

키우긴 엄청 잘키웠네..

도원이 8학군일쎄..

 

이 노친 강아쥐..복사꽃이라도 따가는 줄 알고 엄청 짖는다..

야야, 그러다 목쉰다..타이르니

멀쓱하게 돌아선다..

 

동행은 좌이화 우도화 배석 시킨 쑥보살이 되었네

법력이 원만하여 봉지에 쑥이 가득하다...

"도적이야" 소리가 절로 난다.

 

동행왈,   

且夫天地之間(차부천지지간) 대저 천지 사이의 사물에는
 物各有主(물각유주) 제각기 주인이 있어,
 苟非吾之所有(구비오지소유) 진실로 나의 소유가 아니면
 雖一毫而莫取(수일호이막취) 비록 한 터럭일지라도 가지지 말 것이나,
...

들판의 쑥이라 하는 것은 
取之無禁 (취지무금) 이것을 가져도 금할 이 없고,
用之不竭(용지불갈) 이를 쓴다고 다함이 없으니,
是造物者之無盡藏也(시조물자지무진장야) 이것이야 말로 조물주가 주는 무진장이니
而吾與者之所共樂(이오여자지공락) 나와 그대가 함께 누릴 바로다."

 

헉.. 언제 이리 말빨이 늘었지..

 

이제 쑥으로 신통력이 쑥쑥 늘은 쑥보살이 이제 좀 걷자고 나선다..

모시고 내려오다보니, 처음 보는 자작나무숲길이 생겼네...

둘레길 중간으로 올라가는 길인 것 같아서 고고한다..

 

정말 자작나무숲이 잇다..

 

임도4거리가 나오는데, 우회전하여 임도 출구로 간다..

 

다람쥐도 봄소풍나왔다, 먹다 남은 과자 부시래기 주니 부끄러워 얼굴도 안 내민다..

음, 너 참 촌놈이구나?? ㅎ

 

낚시 인구가 천만이라더니, 여기 낚시터엔 아파트까지 생겻나베..ㅎ

 

내려오는 길에 쑥보살의 법력이 동하사 2차 무진장 채집소동을 벌인다..

나는 옆에서 자리 깔고 누워 송가인 3집 신곡 무한 재생으로 맞불을 놓는다..

서로 윈윈이니 불만은 없다.

https://youtu.be/lOy-v-OAkps

 

드디어 원만구족한 쑥보자기를 들고 부처미소를 지으며 일어서는 쑥보살을 

모과꽃이 환송한다..

내년에도 와서 쑥 한보따리 들고 가세요..

 

돌아오니 도원은 화가들이 차지햇다..

오늘의 도원은 그림 속에서 영원히 살겠다..

 

 

<오늘 걷기> 마을 문화회관 - 관음사, 자작나무 숲길 -임도 - 문화회관 약 5km

 

트롯의 전성시대가 저물고, 세미트롯이 득세하면서 트롯 난세가 찾아왔다.

아더왕의 원탁 기사 시절 마법사 멀린처럼 트롯 전성시대를 풍미하던 마법의 작곡가가 있었다.

백영호..

그는 부산에서 태어나 만주를 떠돌면서 작곡을 공부했다고 한다.

그는 1950년대 손인호의 해운대 엘레지 등을 작곡하고, 1960년대에는 이미자의 동백아가씨, 여자의 일생, 

 남상규의 고향의 강, 추풍령, 70년대에는 이미자의 아씨, 여로, 배호의 비내리는 명동, 문주란의 동숙의 노래 등 작곡하며 트롯 시대에 한 몫을 했다.

특히 그는 이미자를 위해 100여곡을 작곡한 여왕의 마법사였던 것이다..

그는 생전에 4000여곡을 발표하여 100여곡의 히트곡을 냈는데, 미발표곡도 1000여곡을 유족이 보관하고 있단다.

 

***

한시대를 풍미한 절정의 고수가 난세에 처하면 무공을 정리한 비급을 숨겨놓고, 후세 실력과 인성을 겸비한 강호의 실력자가 등장하여 기연으로 이를 찾아내어 한 시대를 평정하여 새시대를 여는 것이 무협의 세계관이다.

트롯의 세계관도 비슷하지 않을까?

백영호도 2003년에 귀천의 시기를 맞아 새로운 쟝르에 트롯이 밀리고 세미트롯으로 변질되어가는 세상을 관조하면서 비급 수준의 비곡(秘曲)을 남겨놓고 후세 언젠가 뽕끼와 가창력, 인성을 겸비한 실력자가 등장하면 물려주게 하려고 준비했는지 모른다.

 

***

그녀(송가인)의 3집 타이틀곡 "비내리는 금강산'은 백영호의 미발표 유작이다.

시작부터 터져나오는 '비에 젖은~~" 한소절은  

한 많은~ 이세상~(한오백년), 용두산아~ 용두산아~(용두산엘레지)에 필적할 만한 전통적인 한국 트롯의 뽕끼를 발사한다.

https://youtu.be/Fgw3ZXkHQ98

 

트롯난세에 전통 트롯의 새로운 맥을 잇는 여왕의 귀환을 알리는 소리로 들린다. 

아프리카에는 흑인이 없다.

미국에 와서 흑인이 되었을뿐..

 

- 이저벨 윌커슨, 카스트 -

 

***

인도의 카스트 제도는 결국 피부색에 따른 것이다.

흰색이 브라만이고, 가장 까만색이 불가촉 천민이다.

인도에서 불교가 소멸하고, 힌두교가 부활한 것은 결국 피부색 카스트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라는 주장이 잇다.

'활구(活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 명예, 덕망  (0) 2022.11.23
꽃이 고우면..  (0) 2022.10.29
인권이란  (0) 2022.04.23
단비  (0) 2022.04.12
평화  (0) 2021.11.05

인권이란 이념보다 상위 개념이다

남북이나 좌우보다 중요하다

 

-이장호-

'활구(活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이 고우면..  (0) 2022.10.29
흑인이란  (0) 2022.04.23
단비  (0) 2022.04.12
평화  (0) 2021.11.05
여든 살의 나에게  (0) 2021.07.30

 

우리 강쥐가 출연한 아는 형님을 보다가 한 글씨를 발견한다..

이 방송프로그램의 모토다..

이성상실, 본능충실

 

예능에서는 재미를 위해 미친척 웃겨야 살고, 시청률이 치솟는다..

다큐에서 이러면 뭐라고 할까?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젊잖게 하다가, 안되면 몽딩이로 패야겠지??

 

요즘 다큐보다 더 엄중한 민의의 전당이라는 국회에서 이런 짓이 벌어지고 있다.

나라의 대들보를 바꾸는 '검수완박'이라는 법안을 각계 법률단체와 시민단체, 국민의견을 수렴하는 청문회를 거쳐 해결하지 않고, 군사작전하듯이 더구나 위장탈당, 쪼개기 회기라는 편법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는 히틀러식 입법이고, 유신정권의 유정회식 입법과 다를바 없다.

민주당에 민주가 없다는 유머가 진담이었고, 못된 시어머니(유신정권)을 욕하면서 똑같이 닮아가는 며느리(민주당)의 조로남불이 기가 막힌다.

그런 짓을 주도하는 민주당 "처럼회'는 "하나회"처럼 단죄되어야 한다.

더구나, 이런 청문과 토론을 생략하고 여야가 얼렁뚱땅 합의하는 것도 야합(野合)에 불과하다.

이성을 상실한 채 청와대와 처럼회 20여명의 수사 피하기 본능에 충실한 국회의 입법농단을 국민은 투표로 응징해야 한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비어약(鳶飛魚躍)  (0) 2022.05.20
덕불고(德不孤)..덕은 외롭지 않다  (0) 2022.05.06
기쁘고 떳떳하게  (0) 2022.04.20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  (0) 2022.03.25
대원군의 석란도 (1892년작)  (0) 2022.03.17

클래식급 가요 7탄은 장미를 테마로 한다..
계절의 여왕 5월을 상징하는 꽃은 장미다.
화려한 칼러와 가시까지 갖춘 도도하면서 요염한 꽃..
전국에 장미축제도 많이 열리는데, 장미 종류도 참 많다.
어디 꽃 뿐이랴, 장미를 주제로 한 노래도 많다..
그중에 문리버 맘대로 클래식급 가요를 골라본다.
 
5위 : 사랑과 평화, 장미 한송이
  
https://youtu.be/S27BPf7eCPs?si=DShPNpafMYMuMqHp
 
 4위 : 4월과 5월, 장미
      https://youtu.be/4q7E74fLrZA
 
3위 : 이선희, 장미
      https://youtu.be/Qbq5plCpm6o  
 
2위 : 심수봉, 백만송이 장미
      https://youtu.be/MPCD3dIwfdI
 
두둥~
 
1위 : 송가인, 장미꽃의 전설
     https://youtu.be/2R7PQRY7vwI
 
***
2위와 1위 곡은 같은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그루지아(조지아)의 화가, 니코 피로스마니(1862-1918)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것이다.

상점의 간판이나 그리며 지내던 어느 날 프랑스 여배우 마그리타가 순회공연차 방문한다는 말을 들었다
자기 전재산을 팔아 많은 장미꽃을 사서 그녀가 묵는 호텔, 광장, 창문을 장식한다.
그러나 그 사랑은 해피엔딩은 아니었다. 
<백만송이 장미를 가격으로 따지면 얼마일까?
현재 인터넷 사에서 장미 50송이가 4만원에 팔린다.
따라서 백만송이는  8억원(= 40,000원/50X 1,000,000)이 된다. 
아마, 가난한 화가가 4000만원어치 5만 송이 장미로 장식해도 시골동네에서 유명해지겟다..> 
이 사연이 회자되어, 라트비아출신 작곡가가 "백만송이 장미"를 작곡하였고, 이 노래를 번안하여 부른 것이 2위 심수봉의 장미였다.
이 스토리를 바탕으로  최비룡이 작사하고, 최고야가 작곡을 하엿고, 호소력 짙은 송가인이 애틋하게 부른 노래 "장미꽃의 전설"을 1위로 꼽았다.
시비걸지 마시라, 여기는 송가인 홈그라운드니까..ㅎㅎ 
 
 
 
 

 

 

드디어 그녀(송가인)의 신곡 3집 "연가"가 출시되었다.

8곡 모두 이지 리스닝한 익숙한 곡조로 다가온다..

그중에 우선 월하가약을 듣자 한 그림이 더올랐다.

월하가약((月下佳約)..달빛 아래 맺은 사랑언약..

이 노래 분위기는 마치 정조시대 혜원 신윤복의 그림 월하정인(月下情人)..달빛 아래 연인..을 연상시킨다.

월하정인의 그림에 시가 적혀있다.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월침침야삼경 양인심사양인지)

달빛은 어둑 어둑, 밤은 삼경인데

두 사람의 마음이야 두 사람만 알겠지?

 

저 그림을 보면서, 두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 해피엔딩일까? 새드엔딩일까? 궁금했었다

혹시, 작사가도 저 그림을 보고 나와 같은 마음이 들어 두 사람의 마음을 표현해 본 것은 아닐까?

 

달래도 달래도 가슴이 우는 밤
뉘 어깨에 기대어 저 달을 보시오

내 님이여 내 님이여 어이하여 못오시요

달빛아래 사랑언약 고이 새겨주오

 

https://youtu.be/fNwnk5E_Iyo

 

****

말 나온 김에 위 그림 달 모양이 이상한데, 월식 장면을 그린 것이란다..

 실제 승정원일기에 보면, 1793년 7월 병오(15)일 (양력 8월 21일) 밤 2경에서 4경까지 월식(月食)이 있었다고 한다.
보름달이었는데 월식으로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 그런 모양이 되었다는거다

 

1793년이면..

정조 17년..중국 청나라 건륭제 58년..

중국 청나라는 최전성기를 맞았다.

그해 정조는 17년간 숨겨놓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금등문서를 공개한다 

2년뒤 을묘년(1795년) 수원 화성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 회갑연을 열기 위하여 한강 배다리를 건너 행차를 한다. 

프랑스에서는 혁명으로 루이 16세, 왕비 마리 앙투와네트가 처형된다

그해말에 나폴레옹 대위가 툴롱 포위전을 승리로 이끌어 역사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