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부동산이 폭등하자 집없는 서민들과 젊은이들은 벼락거지로 전락했다고 자조한다.

문통 정부는 23가지 대책을 발표하고도 부동산 폭등을 막지 못했다.

"집값"이 떨어지기를 바라는 시대에 "집"이 떨어지는 상황으로 패러디하는 영화..

12년만에 자기 집을 샀다고 좋아하는 부부, 그러나 그 집이 싱크홀로 추락해버린다.

비상대책본부라는 것들은 문통 정부처럼 무슨 구조 대책이 없이 무능력하다.

추락한 서민들은 자기 힘과 천우신조로 스스로 탈출해야 한다..

2021년 한국의 모습이다..

 

 

 

여류화가 캐서린 웰던이 인디언 추장 시팅불(타탕카 이요탕카, 응크린 황소)의 초상화를 그리기 위해 서부 사우스 다코다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찾아간다.

당시 시팅불은  미 정부에 항복하고 인디언 보호구역에 감자가 심으면서 지내고 있었다.

그녀는 백인 방해꾼을 견디고 냉담한 인디언을 설득해야 한다.

당시로서는 거금인 1000달러를 주고 시팅불의 초상화를 그리기로 한다.

시팅불의 운명을 바꿀 수는 없었지만, 그녀의 초상화는 박물관에 남아 그의 투쟁을 증거하고 있다.

시팅불( sitting bull)은 누구인가??

 

***

미국 서부의 개척 역사는 골드러쉬와 관련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땅을 빼앗긴 인디언의 고통과 투쟁의 역사이기도 하다.

첫번째는 1849년 켈리포니아에서 골드러쉬 바람이 불엇다..그때 서부에서 백인들 사이에서 불려진 노래가 "클레멘타인"이다.

두번째는 10년뒤 1859년 콜로라도주에 2차 골드러쉬 바람이 불었다..이때 백인들이 서부로 달려가면서 부르는 노래가 "오, 수재너"다..

3번째 1874년에 사우스 다코다 주 블랙힐스에서 금광이 발견되었다. 

블랙힐스는 인디언 수우(라코타) 족 등의 성지로 미 정부가 라라미 협약으로 인디언 거주지역으로 인정한 곳이다.

그런데, 그곳에서 금이 발견되자, 백인들은 협약을 무시하고 인디언들을 쫓아내려는 음모 그리고 전쟁을 벌인다.

먼저 제7기병대가 인디언 거주지를 공격하면서 리틀 빅혼 전투가 벌어진다.

그 때 수우족 인디언 추장 시팅불은  크레이지 호스(타슝카 위트코, 성난 말) 추장 등과 연합하여 카스터가 이끄는 제7기병대 일부 병력을 유인 포위하여 전멸시킨다.

그러나, 미군의 대대적인 반격에 직면하여 그는 캐나다 등지로 도피하다가 항복하여 인디언 보호구역에 지내다가 결국 미군에게 피살되었다.

마치, 김좌진 장군이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두었지만, 대대적인 반격으로 도피하다가 암살된 경우와 유유사하다..

 

***

그의  초상화 뿐 아니라 연설도 남아 있다.

 

"우리의 할아버지들이 그들을 처음 만났을 때 그들은 숫자가 적고 보잘것없었다. 

그런데 이제는 숫자가 많아지고 말할 수 없이 건방져졌다. 

이상하게도 그들은 땅을 파헤치기를 좋아하고 마치 병에 걸린듯이 소유에 집착한다. 

그들에겐 많은 법률이 있으나 가난한 자들만 할 수 없이 법을 지킬 뿐, 부자들은 법을 쉽게 어긴다. 

또한 그들의 종교(의 가르침)는 가난한 사람들만 따를 뿐, 부자들은 안하무인이다. 

심지어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에게서 십일조를 걷어서 돈 많고 권력 있는 자들의 배를 채운다.

....

  

불과 일곱 해 전에 우리는 조약을 맺었으며, 그들은 우리에게 들소들의 땅을 영원히 남겨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이제 또다시 그것들을 내놓으라고 협박하고 있다.

....

얼굴 흰 사람들이 지킨 조약을 우리 얼굴 붉은 사람들이 어긴 적이 있는가? 한 번도 없다. 

우리와 함께 맺은 조약을 얼굴 흰 사람들이 지킨 적이 있는가? 한번도 없다.

....

이번에 그들은 우리에게서 무엇을 원하는가? 우리 부족의 넓은 땅덩어리를 내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처음도 아니고 마지막도 아니다. 

그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마지막 한 뙈기까지 다 빼앗아 갈 것이다

...

나는 얼굴 흰 사람들이 가진 모든 것을 가지게 될지라도 자유로운 인디언으로서의 특권을 포기하기보다는 

사냥감 없는 천막에서 고기 없이 사는 쪽을 택할 것이다.

 

***

시팅불은 캐서린 웰던의 초상화 속에 영원히 살지만, 

그와 함께 싸웠던 성난말(크레이지 호스)는 한 조각가 패밀리에 의해 블랙힐스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다.

https://blog.daum.net/servan/6348548

 

 

 

 

 

 "한많은 대동강" 한 소절에 그녀(송가인)의 팬이 된 사람이 많다.

지금도 그녀를 상징하는 노래로 무대 첫곡으로 부른다.

많이 들으니 평양의 역사와 장소들이  궁금해진다.

 

가사에 등장하는 모란봉, 을밀대, 부벽루는 평양성의 북쪽(금수산) 북성 부근에 위치한다.

평양은 고구려 장수왕이 먼저 대성산성과 안학궁을 짓고 천도한 곳이다.

그러다가 100년후 양원왕 8년(552년)에 현 평양성 위치에 장안성을 짓기 시작해 아들인 평원왕 28년(586년)에 완공한다. 그리고 고구려와 운명을 같이한 수도였다. 

 

위 지도 을밀대 북쪽에 모란봉이 위치한다.

정상에 최승대라는 누각이 있다

 

을밀대는 북성의 장대로 평양성 전투시 지휘본부가 자리하는 곳이다.

높은 지대에서 성 전체를 내려다 보는 위치이다.

을밀대의 이름은 고구려 때 을밀선인이 수행하던 장소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을밀대 글씨는 19c 말 평양의 대표적 서예가 호정 노원상이 썼다.

 

을밀대 아래에 부벽루가 있다.

부벽루(浮碧樓) 이름은 대동강의 푸른 물결위에 떠있는듯한 누각이란 뜻이다.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더불어 조선 3대 누각으로 꼽혔단다.

이 누각을 모티브로 김시습이 금오신화 중 "취유부벽정기..취하여 부벽루에 노닐다라는 글을 썼다.

 

부벽루연회도..그림을 보면 좌측부터 모란봉, 을밀대가 보이고 부벽루와 대동강이 한눈에 조감된다. 

 

***

수심가는 무언가?

서도민요의 대표작이다. 

https://youtu.be/d7lm2y4cEBc

 

가사를 보면

약사몽혼으로 행유적이면 문전 석로가 반성사 로구나.
생각을 하니 님의 화용이 그리워 나 어이 할가나.

 

만약 꿈속의 제 영혼이 발자국을 남길 수 있다면 

당신 집 문앞의 돌길은 반쯤 모래가 되엇을 것입니다.

생각할수록 님의 얼굴이 그리워 나 어찌 할꺼나

 

조선중기 여류시인 이옥봉 작 "몽혼"의 귀절에서 따왔다

부벽루에서 평양기생이 이리 노래하면 고인들 애간장은 다 녹았으리라..ㅎ

 

***

한많은 대동강아, 변함없이 잘 있느냐

모란봉아, 을밀대야 네모양이 그립구나

...

대동강 부벽루야 변함없이 잘 있느냐

귀에 익은 수심가를 다시 한번 불러본다.

 

https://youtu.be/7GfY7af0w0I

 

 

 

지난주에 늦게 가는 바람에 임도길을 도중에 돌아왔는데, 궁금증이 다시 이곳으로 이끌었다.

이른 아침에 보니, 온빛의 뜻을 알것 같기도 하다..

 

주위는 무서리 하얗게 내렸다.

노래 가사 그대로..

 

국화 꽃 져버린 겨울 뜨락에

창 열면 하얗게 무서리 내리고

나래 푸른 기러기는 북녁을 날아간다 

아아 이제는 한적한 빈들에 서 보라

사진명소에선 아침부터 의상까지 챙겨온 커플이 사진 삼매경에 빠지고..

시리도록 푸른 하늘에 메타세콰이어는 무슨 이유로 얼굴을 붉히나?

 

드디어 등산로라 표시된 임도로 오른다.

 

억새가 기웃거리는데, 한순간 햇살을 받으니 아카데미상 레드카펫에 선양 눈부시다..

 

임도는 유장하게 구비 구비 올라간다.

어울릴듯한 풍입송이라도 듣고 싶은 마음이다..

 

초 겨울에 매화처럼 하얀 이것은 무엇인고??

 

 

이길에서 고스톱을 치면 오동나무가 똥 쌍피로 삼점을 내고 피박 씌려고 고를 부를 것 같다는...ㅎ 

 

도중에 내려오는 사람을 만났다

어디서 오는가 물었더니  임도 끝을 보지 못하고 도중에 돌아온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보았다.

길 중간에 서있는 표지판..

깃대봉 - 함박봉 - 황령재 - 천호산으로 이어지는 등산코스와 만난다.

이 능선은 1500년전 백제 계백 장군의 오천결사대가 지켜던 피의 능선이었다..

 

 

그래서 잠시 깃대봉 쪽으로 오르다가 황산벌을 쳐다본다..

다음에 이 능선길을 걸어보고, 또 황산성도 탐방해봐야겠다.

 

임도의 끝은 휴양림 출구와 만나는 것으로 추정은 되나, 제법 길 것으로 예상되어 

다음에 점심 준비까지하고 다시 오마 기약한다.

하지만, 오늘 새로운 코스 특템한 것으로 만족한다.

 

<오늘 걷기> 온빛 자연휴양림 주차장 - 등산로 표시 (임도) - 함박산 표지판 , 원점회귀 약 6km

폐광산에 세운 절..소문을 듣고 찾아간다.

논산시 가야곡면 반야사..

 

법당의 발원이 주련으로 걸렸다.

소멸무량중제장(消滅無量衆諸障)

획득무량대지혜(獲得無量大智慧)

 

한량없는 중생의 모든 장애를 소멸시키고

한량없는 큰 지혜를 모두 얻으시라..

 

페광산의 터에 지은 절이 갑자기 뜬 이유는 젊은이들이 이 묘한 굴 안에서 찍어올린 사진 때문이다..

 

실크로드 막고굴을 연상시키는 풍광..

이른 아침에 방문하니 선잠깬 하늘에 조각달이 비추고 있다.

 

낯설고 아름다운 풍광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받는다.

 

대웅전 뒤로 용궁회상이라 쓴 동굴법당이 있다.

이른 아침이라 문이 잠겼나 싶엇는데, 지름쇠를 옆으로 밀고 들어갈 수 있엇다..

참고로 이 절은 오후 6시이후에는 방문을 불허한다.

 

석회석 종유굴을 들어가는 느낌의 입구..

다시 내부 출입문을 여는 순간..짠하고 나타난 신비한 모습..

 

오색 휘황한 빛으로 장엄한 분위기 속에 천수관음이 계시다..

 

 

 

옆굴에 오묘한 공간이 이어진다.

언뜻보면 산신같기도 하고, 용왕 같기도 하다.

 

동굴안에 물이 흐르고..

코끼리를 탄 아기부처가 보인다..

 

동굴끝은 막혀있는데, 들여다 보니 깊이을 알수 없는 터널이 보인다..

 

동굴안에 물이 흐르고, 용궁회상이라 하엿으니 산신이 아니고 용왕을 모신 곳이라고 봐야겠지??

추운 날씨에 동굴안에 들어가니 안경이 김이 서릴 정도로 따뜻했다..

 

대웅전 외벽에 쓰여진 시들..

 

茫茫撥草去追尋(망망발초거추심) 
水闊山遙路更深(수활산요로갱심)
力盡神疲無處覓(역진신피무처멱) 
但聞楓樹晩蟬音(단문풍수만선음)

 

 

망망한 잡초를 헤치고 뒤쫓아 나섰는데
물도 산도 아득하고 길이 더욱 깊어지네
탈진하고 피로하여 찾을 길이 없는데
저문 날 매미 소리만 단풍 숲에서 들리네

 

무엇을 찾는다는 말인가?

소(牛)..

 

이시는 곽암화상 심우송 중 첫수 심우(尋牛, 소를 찾다)다..

 

이절 부처님이 좋아하는 귀절은 2수 견적(見跡, 소 발자국을 보다)이다..

 

水邊林下跡偏多(수변임하적편다) 
芳草離披見也?(방초리피견야마)
縱是深山更深處(종시심산갱심처) 
遼天鼻孔?藏他(요천비공즘장타)

물가의 숲 아래에 발자국이 유독 많은데
아름다운 풀 헤쳐본들 어찌 찾을 것인가?
하지만사 심산 속 더 깊은 곳소일지라도
하늘로 향한 콧구멍 무슨 수로 숨기랴?

 

소 찾는 일은 눈밝은 독수리에 맡기면 될터인데, 무슨 걱정이랴..ㅎ

하지만 요즘 소 찾는 사람도 없고, 소 키우는 사람도 없으니 , 독수리 할일도 없겠다..ㅎ

 

요사채에도 시한수 걸렸다..

 

蛾子搏燈火 (아자박등화)
忘生好自侵 (망생호자침)
莫言燈火惡 (막언등화악)
燈火本無心 (등화본무심) 
 
어린 나방이 등잔불에 부딪친다.   
살 길 잊어버리고 제 좋다고 스스로 침범하는구나. 
등잔불이 악하다고는 말하지 말라. 
등잔불은 본래 아무런 생각도 없었노라. 

 

모두 소걱정하는 절에서 돼지 혼자 웃고있다..

혼자 감잡았나??

 

때늦은 감만 중생 보시를 기다리고 잇다..

 

명색이 길꾼이라 주변 걸을 길없나? 둘러본다.

주변 길을 잘 다듬으면 멋진 둘레길 나올법 하다..

 

'방방곡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읍 동학농민혁명기념관  (0) 2022.03.13
대전 상소동 산림욕장, 얼음왕국  (0) 2022.02.07
논산 온빛 자연휴양림  (0) 2021.11.24
옥천 서화천 습지공원, 가을  (0) 2021.10.25
산청 수선사  (0) 2021.05.04

 

요즘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가 뜨는 것은 좋은데, 내용이 모두 잔인하다.

죽음을 콩 볶듯이 벌이니 보기도 끔찍하다.

우리 사회가 그만큼 각박했졌는가?

하긴, 유튜브를 보다 보면, 남의 사생활을, 그것도 거짓뉴스로 낚시질 하여 조횟수 올리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유튜버가 너무  많은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조회수에 중독된 아편쟁이 같은 유튜버도 눈에 띈다.

저들이 무슨 연예인 사생활 재판관이나 되는 것처럼 횡포가 심하다.

이런 거짓뉴스로 조회수 올리는 유튜버들을 정리하는 방법이 없을까?

 

이들 거짓뉴스 유튜버들을 모두 집합시켜 오징어게임으로 정리하면 어떨까?

우승한 1놈은 참회의 기회를 주고,

나머지 놈들은 지옥으로 보내 삼청교육대처럼 정신교육 좀 시켜서  복귀시키면 어떨까??

생각만 해도 통쾌하다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하에서 키이우까지  (0) 2022.02.28
우크라이나를 비웃는다면  (0) 2022.02.27
수서 비리 vs 대장동 비리  (0) 2021.10.25
대권 왕좌의 게임 (3) - 주역으로 보는 3강  (0) 2021.10.20
녹조 분쟁  (0) 2021.07.06

주말에 어디 가나하는 생각을 유튜브가 눈치채고 알아서 가까운 장소를 추천한다.

요즘 젊은이들이 sns에 올리는 사진맛집이란다..

안개 미세먼지 걷히기를 기다려 오후 늦게 출발한다

도착한 곳은 논산군 벌곡면 온빛 자연휴양림..

초입에 주차하고 느긋이 걸어간다.

가족단위, 연인들이 많이 온다.

 

조금 가자 연못이 나오는데, 메타세콰이어와 양옥 등 배경이 이국적이어서 그런지

줄서서 사진 찍으려고 대기한다.

코로나 때문에 외국여행 못가 안달나서 여기서 대신 한풀이 하는 건가??

 

메타세콰이어도 단풍이 드니 운치가 있다..

이곳에도 등산로 표시가 있어 좀 걸었으나 긴것 같지 않은데, 늦은 시간이란 도중에 돌아왔다.

 

웬 공룡들이 길을 막는다..

애기들 사진 찍느라 바쁘다..

 

걷기 명소는 아니지만, 매타세콰이어 단풍 구경하는 셈치고 "3보이상 승용차" 족들이 방문하기 적당한 곳이다..

 

 

유튜브가 나에게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이곳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았다..ㅎ

'방방곡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상소동 산림욕장, 얼음왕국  (0) 2022.02.07
논산 반야사 동굴법당  (0) 2021.11.28
옥천 서화천 습지공원, 가을  (0) 2021.10.25
산청 수선사  (0) 2021.05.04
대청호 드라이브 - 작은 용굴  (0) 2020.11.27

수암산에 접어들어 슬슬 오르다보면 뫼넘이 고개가 나온다.

 

2주만에 다시 만난 수암장군들은 여전하시네..ㅎ

이제 용봉산으로 간다..

 

좀 오르막에 투자를 해야한다. 

용봉산은 서해안에서 족보있는 산이니까..ㅎ

특히 공직자들이 틈틈히 오른다고 소문났다..용봉이 되는 지름길이라나..ㅎ

 

전망대에 서니 안개가 가득하여 전망이 없다.

나중에 알고 보니 안개와 미세먼지가 함께한 것이란다..헉..

용바위에 서니 비로서 용봉산 전모가 보인다..

 

병풍바위로 가다가 돌아보니 용바위가 우뚝하다..

동행이 용봉산이면 봉황바위는 어디있나? 하고 묻는다..

그때 좌측에 보이는 바위..기상이 상서롭다..

옛다..저기를 봉황바위라고 하자..ㅎ

 

음..실제 이름은 내남바위라고 하는 것 같다..

지금부터 개명이닷..ㅎ

잠시 쉬면서 바라보니 악귀봉, 노적봉, 고위봉이 나라비하고 섰다.

 

악귀봉에 악귀이빨 사이로 사람들 모습이 어른거린다..ㅎ

 

참 기암괴석이 즐비한 전시장 같다..

 

암릉을 이리저리 걸어 내려간다. 

길은 어렵지 않다..

 

병풍바위 표석은 있는데, 병풍이 없다..

아마 지금 병풍 꼭대기에 있나보다..

 

병풍바위를 끼고 용봉사로 내려간다..

 

절마당에서는 김장담는 중..

 

용봉사 주련이 경허선사의 선시를 툭 던진다..

世與靑山何者是  세여청산하자시
春光無處不開花  춘광무처불개화

 

세속과 청산 중 어느 것이 옳은가?

봄볕 없는 곳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네..

 

봄볕과 가을빛 어느 것이 옳은가?

빛이 오고 가면 저절로 붉어지는 것이 있느니라..

 

병풍바위 아래 용봉사는 마지막 불꽃을 붉게 태운다..

 

부처는 그저 모자리자를 연습할뿐..

 

청산을 나와 속세로 가는 길은 가을로 가는 길이다..

어텀립스가 굴러가며 음악이 되어 흐른다..

 

 

모처럼 장강선생 글씨를 여기서 만나네..ㅎ

 

여기서 1구간은 용봉초등학교로 가야하는데, 도로로는 가기 싫고,

지도상 산림휴양관 - 용봉폭포 - 미륵불 - 용봉초등학교로 가고 싶은데, 산림휴양관 뒷길 진입을 코로나 때문에 막아 놓아서 가지 못했다.

하여 오늘 1구간은 구룡대에서 마치고 후일을 기약한다..

 

<내포역사인물길 1구간> 충의사 - 뫼너미고개 - 용봉산전망대 - 병풍바위 - 용봉사 - 구룡대 약 6k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