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 놓인 글씨 도덕경 한귀절이네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무위로써 일을 처리하고
말함이 없이 가르친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른 못에 단풍이 (벽담풍동 碧潭楓動 ) (0) | 2016.01.07 |
---|---|
접인춘풍 (0) | 2015.11.18 |
중봉직필 (中鋒直筆) (0) | 2015.10.07 |
晩翠(만취) (0) | 2015.09.18 |
화정(華政) (0) | 2015.08.17 |
식당에 놓인 글씨 도덕경 한귀절이네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무위로써 일을 처리하고
말함이 없이 가르친다
푸른 못에 단풍이 (벽담풍동 碧潭楓動 ) (0) | 2016.01.07 |
---|---|
접인춘풍 (0) | 2015.11.18 |
중봉직필 (中鋒直筆) (0) | 2015.10.07 |
晩翠(만취) (0) | 2015.09.18 |
화정(華政) (0) | 2015.08.17 |
처음 붓을 잡을 때부터 중봉직필(中鋒直筆)이란 말을 수없이 들었다.
중봉은 붓끝 뾰족한 부분이 어느 방향이든 모든 획의 정중앙을 지나야 한다는 뜻이다. 직필은 붓대가 지면과 직각을 이뤄야 한다는 말이다. 손목이나 손가락으로 재주를 부릴 수 없다. 허리를 곧추세우고 필관을 야물게 잡아야 중봉직필이 된다. 반대로 측필편봉(側筆偏鋒)은 붓을 좌우로 흔들어 붓끝을 필획의 측면으로 쓸며 재주를 부리는 것이다. 눈을 놀라게 하는 획이 나오겠지만 정공법은 아니다.
상유현(尙有鉉·1844~1923)의 '추사방현기(秋史訪見記)'에 중국 사람 탕상헌(湯爽軒)이 추사의 글씨를 평한 대목이 있다. 중국 사람이 추사의 글씨를 값을 안 따지고 다투어 사가는데, 예서만 찾지 행서나 초서는 편획(偏劃)이 있어 높이 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서는 고기(古氣)가 넘치고 법식에 맞아 참으로 동방의 대가가 되나, 행초의 획은 편획이 많아 높은 점수를 줄 수 없다고 썼다.
진계유(陳繼儒)의 '진주선(眞珠船)' 중 다음 짧은 글이 인상적이다.
"강남의 서현(徐鉉)은 소전(小篆)체의 글씨를 잘 썼다. 햇빛에 비춰 살펴보면 글자마다 한 줄기 진한 먹이 모든 획의 정중앙을 지나고 있었다. 굽거나 꺾이는 획에서도 한편으로 쏠리는 일이 없었다." 구불구불 이어지는 작은 전서체를 쓰면서도 중봉직필(中鋒直筆)을 잃지 않았더라는 말이다.
정민의 世說新語] [335
灼灼園中花 작작원중화
早發還先萎 조발환선위
遲遲潤畔松 지지윤반송
鬱鬱含晩翠 울울함만취
찬란하게 핀 정원의 꽃은
일찍 피어 먼저 시들지만
더디게 자란 개울가의 저 소나무
울창하게 자라 늦게까지 푸르구나..
무위지사 (0) | 2015.11.05 |
---|---|
중봉직필 (中鋒直筆) (0) | 2015.10.07 |
화정(華政) (0) | 2015.08.17 |
너그럽게 (0) | 2015.03.24 |
수선화 곱게 핀 제주 추사관에서 (0) | 2015.03.17 |
장성한 아들 광해를 두고 새 장가를 든 선조의 심중은 무엇이었을까?
선조와 인목왕후 사이에 태어난 영창대군..
당연히 비바람이 예고되는 수순일터..
영창대군에게는 누나가 있었으니 정명공주...MBC 드라마의 주인공..
영창대군이 죽고 어머니 인목대비와 함께 서궁(경운궁, 현재 덕수궁)에 유폐되어 지내던 시절..
붓글씨가 위안거리였다..
그때 갈고 닦은 실력을 보여주는 글씨 "화정"
그러나 인조반정후 복권이 되었다가 다시 인조의 감시 속에 살게되면서 인조가 죽을 때까지 붓을 잡지 않는다..
파란의 인생 80여년 숙종 때 까지 산다..
그의 자손이 홍봉한, 사도세자의 빈이자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
글씨 한 점 속에 역사가 담겼다..
그의 바램은 빛나는 정치가 이루어 지는 세상에서 마음 편히 살기를 소원했는지 모른다..
중봉직필 (中鋒直筆) (0) | 2015.10.07 |
---|---|
晩翠(만취) (0) | 2015.09.18 |
너그럽게 (0) | 2015.03.24 |
수선화 곱게 핀 제주 추사관에서 (0) | 2015.03.17 |
장성 문화예술공원의 시비(詩碑) (0) | 2014.11.25 |
너그럽게..
관포선생의 글씨..
너그럽기 어렵다..
너그럽게 놔두면 버릇없어진다..
너그러운 것이 토탈 방임을 아닐 것이다.
매너있는 이의, 정당한 항변은 누구든지 폭 넓게 허용할 수 있겠다.
싸가지 없지만 정당한 항변은 어떤가?
정당하니까 너그럽게 받아 들일 수 있겠지..
싸가지도 없고 정당하지도 않은 것은 어떤가?
너그러움이라고 할 때 모두 받아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굳이 너그러움이라고 까지 말하지 않으리..
남들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받아 들이는 것, 그것을 너그러움이라고 하지 않을까?
晩翠(만취) (0) | 2015.09.18 |
---|---|
화정(華政) (0) | 2015.08.17 |
수선화 곱게 핀 제주 추사관에서 (0) | 2015.03.17 |
장성 문화예술공원의 시비(詩碑) (0) | 2014.11.25 |
달을 낚아 돌아오네.. (0) | 2014.11.14 |
제주 대정읍 추사관 앞에 수선화가 피었다..
추사의 적거지앞에 선 추사관..
거기서 보는 세한도..
글씨와 그림 그리고 제발시까지 붙은 그림..
제주에서 그려져 바다를 건너 한양에 당도하여 그림 주인 이상적이 소장하고 중국까지 가서 추사의 지인들의 감상 시를 붙엿는데...일본인이 소장하여 일본에 갔다가
다시 우리나라에 돌아와 오세창 등의 감상시를 추가하여 장대한 여행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추사 최후의 글씨 "판전"위에 둥근 창은 세한도에 그려진 그 창이다..
완당선생해천일립상..초의와 추사가 키워낸 제자 소치 허련이 소동파를 닮은 추사를 그렸다..
이 모습은 추사관에 전시된 휴상이고,. 아래는 판플릿에 그려진 모습이다..
과연 추사의 진면목은 무엇일까?
추사의 증조부는 영조의 사위 월성위 김한신이다..
예산 추사고택이 그의 집이다..
화순옹주가 가지고 있던 영조의 입춘방...춘축..오는 봄을 축하하다...
아래 글씨가 경주 김씨로 고관벼술을 하고 청국물(요즘으로 하면 미국물)을 먹어 콧대 센 시절에 쓴 글씨고...
위에 글씨는 제주에서 고생하면서 기름끼를 뺀 글씨란다..구별이 되는가?
소창다명 사아구좌(小窓多明 使我久坐)
작은 창이 밝으니 나로 하여금 오래 머물게 하네..
소, 명, 좌는 사람 얼굴 같은 모습 같다..
본가즉전..본가 집안사람에게 보내는 편지..
오랫동안 멀리 떨어져 간절히 기대하기 때문에 편지한통으로 기운이 일어나기도 하고 사그러들기도 하는듯하다..
수선화를 노래함
조이재가 쌍구법으로 그린 수선화 그림을 보고 다시 그리다..
"연못에 얼음이 얼고 뜨락에 눈쌓일 무렵
모든 화초가 말라도 너는 선화처럼 향기를 발산하여 옥반의 정결을 펼치고 금옥의 아리따움을 간직한다.
꽃망울 노랗게 터지고 조밀한 잎 파릇이 피어나면 고운바탕에 황금이 어리네"
공산무인 수류화개..
빈산에 사람 없어도 물 흐르고 꽃피네..
소동파의 나한송에서 나온 귀절..
추사의 스승 옹방강은 소동파를 존경해서 서재이름을 보소재(寶蘇齋)했는데
추사는 담계 옹방강을 존경해서 보담재(寶覃齋)라는 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추사의 뿌리는 소동파요, 그가 추구했던 세계 "수류화개"를 초의와 함께 즐겼다..
화정(華政) (0) | 2015.08.17 |
---|---|
너그럽게 (0) | 2015.03.24 |
장성 문화예술공원의 시비(詩碑) (0) | 2014.11.25 |
달을 낚아 돌아오네.. (0) | 2014.11.14 |
대통령의 글씨 (0) | 2014.10.24 |
장성관광지 내에 임권텍 테마파크와 문화예술공원이 잇다..
문화예술공원에는 고금의 시,서, 화를 조각과 같이 전시하고 있다..
중국 서안에 비림이 있다면, 이곳은 시림(詩林)이라 불러도 좋으리라..
다산이 귀양을 내려갈 때 삼남길을 따라 내려갔으리..
위 시에는 갈재를 거쳐 갔다고 써있는데, 다음에 걸을 길이 갈재길이다..
다산은 장성 갈재길을 걷고 영암 누릿재를 넘어 강진으로 갔다..
이노래는 "아가야 나오너라 달맞이가자"와 좀 비슷하지 않나..
봉래 양사언의 초서
山水情懷老更新 산수정회노경신
如何長作未歸人 여하장작미귀인
산수정회는 늙을수록 더욱 새로우니
어찌 오래동안 돌아가지 않으리오..
왕희지 필체라고 알려진 신라의 김생의 글씨다..
장성의 자존심..하서 김인후의 초서체
추사의 글씨가 있다..
추사는 불교에도 조예가 있어 백파선사와 불교논쟁을 하기도하였는데..외국물 좀 먹은 잘나고 까칠한 추사가 백파를 면박줄 정도였는데..
그가 백파에게 3개의 법호를 써서 건네주었다..자신이 쓰던지 아니면 나중에 훌륭한 선지식이 나거든 전해주라고 했다..
그중 하나가 만암(曼庵)이다..
天花不染獅子頻申轉
此義者如意法輪
伊闇
하늘 꽃에 물들지 않고
사자는 자주 기지개를 펴니
이 뜻을 아는 이
불법을 뜻대로 펴리라.
이암(추사 별호)
뭐 이런 뜻이 아닐까??
장성의 은둔 도학자..하사 김인후의 자연가..
장성호도 시를 아나? 연무로 시심(詩心)을 그리는갑다..
장성군 삼계면에 지지당(知止堂) 송흠이 중종때 지은 관수정이 있다.
관수정은 ‘맑은 물을 보고 나쁜 마음을 씻는다’는 의미
위 시는 송흠이 지은 시..
물을 바라보고 우뚝하게 지은 집 여름에도 시원한데
노부는 날마다 난간에 기대어 선다.
골짜기는 두 시냇물이 모두 차지하니
어찌 용문의 팔절탄을 부러워하리.
고요한 그림자 물에 잠기니 참으로 즐기만 하고
날 개이면 비에 씻긴 모습 즐겨보리
천만가지 모습들이 모두 눈을 어지럽게 하는데
맑은 물결 떠다가 내 속마음을 씻고 싶네.
원교 이광사의 글씨..
筆法以用筆爲主, 用筆以筋骨爲本
“필법은 용필을 위주로 하고, 용필은 근골을 근본으로 한다.
그는 소론집안에 태어나 영조가 즉위한 이후 벼슬을 못하다가 역모사건에 휘말려 50세에 신지도에 귀양가서 23년간 풀려나지 못하고 섬에서 일생을 마쳤다..
추사보다 더 박복한 인생이었으나 추사처럼 글씨로 인고의 세월을 보내며 일가를 이루었다..
중국 유학물을 먹은 추사가 우습게 알고 괄시하였으나 제주도 귀양살이를 마치고 나온 후에는 추사도 원교의 글씨의 진가를 인정하였다..동병상련이랄까?
너그럽게 (0) | 2015.03.24 |
---|---|
수선화 곱게 핀 제주 추사관에서 (0) | 2015.03.17 |
달을 낚아 돌아오네.. (0) | 2014.11.14 |
대통령의 글씨 (0) | 2014.10.24 |
내 아들을 (0) | 2014.10.15 |
중식당에 갔다가 그림에 필이 꽃혔다..
醉漁釣月歸[취어조월귀] 술취한 어부 달 낚아 돌아오네.
***
군자가 구름 갈고 달을 낚으며 산다(耕雲釣月)고 하니
술 취한 어부도 달을 낚아 돌아오는가?
권호문(權好文, 1532-1587)은 시조를 읊기를
출(出)하면 치군택민(致君澤民)
처(處)하면 조월경운(釣月耕雲)
명철군자(明哲君子)는 이럴사 즐기나니
하물며 부귀(富貴) 위기(危機)라 빈천거(貧賤居)를 하오리다.
기회를 얻어 세상에 나가면 나라와 백성을 위해 내 한 몸 헌신하고,
초야에 묻혀 지내면 구름갈고 달 낚으며 유유자적 지낸다.
훌륭한 군자는 이처럼 즐기며 사나니,
부귀는 위험을 불러오는 기틀일 뿐이니 빈천(貧賤)의 삶을 기쁘게 살겠노라.
**
송나라 인종이 와운(臥雲)선생이라 불리는 관사복에게 물었다..
"경이 얻은 경지는 무엇인가"
" 滿塢白雲耕不盡 “둔덕에 가득한 흰 구름은 갈아도 끝이 없고,
一潭明月釣無痕 못 속의 밝은 달은 낚아도 흔적이 없는 것이
臣所得也 신이 얻은 것입니다.
수선화 곱게 핀 제주 추사관에서 (0) | 2015.03.17 |
---|---|
장성 문화예술공원의 시비(詩碑) (0) | 2014.11.25 |
대통령의 글씨 (0) | 2014.10.24 |
내 아들을 (0) | 2014.10.15 |
가을 들녁에 서서 (0) | 201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