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시즌이다..

남쪽 매화를 찾아가는 남도 탐매(探梅) 여행을 계획한다.

작년 화엄사 홍매를 만난 즐거운 추억을 새기며 다시 3월 3째주에 남도 매화구경을 떠나기로 한 것이다.

10일전에 날씨예보를 보니 금요일 오전에 비가 개는 것으로 나와 자신있게 순천의 비지니스 호텔을 예약했다. 

그런데, 주초반부터 토요일이 비예보로 바뀌어 마음이 심란해진다.

하지만, 설중매도 보는데, 우중매는 또 어떠랴~~ 

 

탐매순서는 인터넷과 유튜브의 AI 알고리즘의 도움으로 다음과 같이 정해졌다.

1. 순천 복음교회 매화정원

2. 선암사 선암매

3. 송광사 불일암 걷기 - 무슨 매화가 기다릴까??

4. 금둔사 납월매 - 아직도 피어있을까?

5. 순천 탐매마을 - 스트리트 오브 홍매 

6. 쌍계사 불일폭포 걷기

 

출발일 아침 강원 산간은 눈이 내리고, 충청 이남은 비가 내리는 날..

정치는 아직이지만, 날씨는 이제 대국의 풍모를 닮아간다..ㅎ

빗속을 얌전히 달려 순천 왕지동 "순천복음교회"(내비입력)로 간다.

1700평의 정원에 20년간 가꾼 각종 매화로 유명해져간다.

선암사의 매화에 대해 교회가 출사표를 던진 것일까?? ㅎ

 

도착하자 비가 멈추었다.

빗방울을 머금은 우중매((雨中梅)..

사워를 막 마치고 머리카락 물방울을 닦는 미인의 모습이랄까?

 

물론 허리에 타월만 두른 모습으로 다가오는 것 같아 놰쇄적이다..

음..넘 야한가??

정신차리고 자세히 보니,

홍매, 청매, 백매, 겹매, 능수홍매 등등 온갖 매화 미인 다 집합했다..

 

그동안 부처님과 공자님만 매화를 사랑했나 햇더니 예수님도 매화를 사랑하는 것을 알겠다..

 

이 이쁨, 이 즐거움을 어이 표현할꼬?

말문이 막히고 숨이 멎는 듯한 것이 진정한 감동이다..

 

 

 

첫사랑이 강렬하고 영원히 기억에 남는 것은 순수한 시절 처음 다가왔기 때문아닐까?

긴 겨울을 지내고 처음 만난 남도의 매화..

군입대후 첫 외출 때 눈에 들어오는 여인처럼 그저  보기만 해도 흐뭇하다..

 

내가 첫사랑인디유~

동백의 외침이 들려온다..ㅎ

 

사무실 그림을 재배치 하면서 그림을 자세히 보니

대원군 이하응이 73세(1892년) 임진년에 그린 석란도다.

이하응은 추사 김정희로부터 난을 배워, 추사로부터 "압록강 동쪽에서는 따를 자가 없다"는 평을 받았다.

(물론 왕족이니 립서비스가 포함되었겠지만..ㅎ)

그는 이미 67세에 수전증이 있어서, 왼쪽 그림에는 손 떨린 흔적이 있다는데 내눈에는 다 잘 그린 것같다.

 

 

外山大雅淸覽(외산대아청람)
산밖에서 크고 맑은 마음으로 바라본다.

 

壬辰末庚節 石坡 七十三歲 病夫作(임진말경절 석파 73세 병부작)

1892년말 庚(경)자 간지 날 석파가 73세의 병든 몸으로 그렸다.

 

이어서 대원군장(大院君章) 석파(石坡)라고 낙관하였다

 

그 아래  好花看到半開時(호화간도반개시) 도장이 찍힘

"예쁜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러간다"

 

소강절의 시귀다..

 

美酒飮敎微醉後  (미주음교미취후)

好花看到半開時  (호화간도반개시)
這般意思難名狀  (저반의사난명상)

只恐人間都未知  (지공인간도미지)
 
맛있는 술 마시고 약간 취한 뒤
어여쁜 꽃 반쯤 피었을 때 보러간다
지난 번 뜻은 형상을 말로 나타내기 어려운데 
다만 사람들이 모두 알지 못할까봐 두려울 뿐

 

왼쪽 그림 아래에는  일실지내유이자오(一室之內有以自娛)라는 도장이 찍힘

"방안에서 하는 내 오락거리"라는 의미로 보인다..

 

***

저 그림을 그린 1892년 그는 병든 몸이라 겸사를 하지만, 마음 속에는 불이 타고 있었다.

그해 봄 운현궁에 폭탄테러가 있었다. 그는 민비 세력의 자객과 폭탄테러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는 고종과 민비를 쫓아내고 장남 이준용을 왕으로 세울 생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1890년 - 1892년에 전봉준이 운현궁에 식객으로 잇었다.

전봉준과 대원군 사이에 무슨 이야기가 오갔을 것으로 추측한다.

실제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고 일본군이 경복궁을 침범하여 장악하자, 대원군은 전봉준에게 봉기하여 상경하라고 밀지를 보낸다..

그러나 우금치에서의 패전으로 대원군의 꿈은 사라졌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쁘고 떳떳하게  (0) 2022.04.20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  (0) 2022.03.25
여산진면목  (0) 2022.02.22
차외무타도(此外無他道), 이밖에 다른 길이 없으니  (0) 2022.02.21
왕희지의 친필일까??  (0) 2022.02.19

새끼들에게 줄 풀벌레 잡아오던

지빠귀를 새매가 나꾸어 갔다

가까스로 허물 벗고 날개 말리던

잠자리를 물총새가 꿀꺽 삼켜 버렸다

오전에 돋은 새싹을 다람쥐가 갉아먹는다

그러나 어느 유족도 복수를 꿈꾸지 않는다

다 먹은 죄가 있기 때문이다

한없이 슬퍼도 적막한, 푸른 숲 속의 일이다.

 

- 반칠환, 먹은죄-

갑천 산보하다 강물을 걷는 이상한 놈이 눈에 들어왔다.

어??

고라니??

두마리다..ㅎ

지난번에 냅다 뛰던 그넘이 아직도 잘 살고 잇나보다..ㅎ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16945635?

 

 

 

 

'갑천별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엔딩은 비에 젖어  (0) 2022.04.08
봄이 왔네, 봄이 와  (0) 2022.03.31
갑천 갈매기  (0) 2022.03.06
갑천자전거 3 - 리틀보이로 한 걸음 더 가다  (0) 2022.03.01
갑천 자전거 2  (0) 2022.02.21

중국 광저우 선전시

한 건물에 코로나 의심환자 1명이 왔다고 건물을 봉쇄하고 5만명을 코로나 검사한다고 난리블루스..

인권은 안중에 없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china/2022/03/15/RTQT3B4TZFC6JILCAZP55KZUY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오랜만에 대청호 끝자락 둔주봉을 걸으로 안남면사무소에 도착..

일부 구간 통제안내가 눈길을 끈다..

 

또한가지는 새로운 조형물이 생겼다. "소녀와 배"

배바위라는 지명과 등주봉(둔주봉)의 이름을 형상화한 것..

원래 이 동네에 배바위(舟巖)가 있었는데, 일제시대 바위는 깨져 지금은 사라졌단다..

 

이 길도 대청호 오백리 13구간 한반도길의 일부이다..

 

자전거꾼이 올라온다..

어디로 가냐 물었더니 오대리로 가서 배를 타고 넘어간다고 한다..

 

이 길은 4-5번은 온 것 같다.

지도에 나오는 전 구간을 다 가봤다..

오늘은 전망대- 정상- 고성- 독락정- 주차장으로 가려고 하는데, 길이 폐쇄된 것은 아닌지??

 

전망대 새로 잘 정비해놨다..

고성에서 독락정 가는 길이 여전히 잘 있구나..

혼자서 잘 논다는 독락정을 모시고 있는데 어련할까..ㅎ

 

전망대에 서면 한반도는 어디에?? 라고 묻는다..

마음 속에서 볼 수 없는 사람은 돌아서면 보인다.

반사경 안에...ㅎ

 

면사무소 엄포 표지판과는 달리 정상으로 가는 길은 폐쇄되지 않았다..

기분좋게 간다..

언젠가 봄날 금정골에서 진달래 꽃 화전을 부쳐 안주 삼아 막걸리를 거나하게 먹고

노래 한곡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구스타프 말로의 "청춘에 관하여"라는 노래라고 서두에 구라를 치고 불렀던 노래가 생각났다.

청춘은 봄이요

봄은 꿈나라

언제나 즐거운 노래를 부릅시다..

 

모두 빵터졌다..

그런데, 동행은 오늘 이 노래를 듣더니, "정말 서양 노래야? " 묻는다..

이번엔 내가 빵터졌다..ㅎㅎ

 

고성가는 갈림길을 지나 정상을 올라간다..

 

등주봉(登舟峰)..배에 올랐다..

북서쪽으로 피실을 지나 금강이 흘러간다..

 

내려오는 길에 고성으로 하산하렸더니 동행이 싫단다..

굳이 우길 필요도 없이 온 방향대로 돌아가다가 전망대 아래 벤취에서 자리깔고 누웠다..

단체 걷기를 따라가지 않을 때의 장점은 이렇게 언제나 자유롭게 자리를 깔고 누울 수 있다는 것이다.

자리 깔고 누우면 항상 하늘의 안색을 살필 수잇다.

그래야 마음이 평화롭다..

 

매화 몽오리가 봉긋하다..

초경이 얼마 남지 않았다.

자작나무는 낌새를 알아채고 슬슬 뒷자리로 물러난다. 

 

양기가 푸른 싹으로 올라온다..

 

한반도에 사는 모두가 행복해지는 그날 까지..

불을 밝히고 저어가리라..

 

<오늘 걷기> 안남면사무소 - 점촌고개 - 전망대 - 정상 - 원점회귀 약 6km 

정읍사 오솔길을 걷고나서 동학운동기념관을 가려고 내비를 쳤더니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뜬다.

거기로 목적지를 설정하고 갔다.

그런데, 그 외관이 내 예상과는 전혀 다른 규모와 외관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황토현 전적지 인근에 대규모로 기념관부지를 확보하고 새로 지었다..

 

기념관 앞 큰터에 흰 기둥이 줄지어 서있다.

흰 기둥이 죽창을 상징하나 했는데, 해설사 말로는 당시 봉기한 90개 지역을 상징하는 기둥이란다.

기둥 광장 건너편 솔밭과 기와건물 부근이 황토현이다..

 

동학..

서세동점의 시대, 서학(전주교)의 포교, 서양과 일본의 세력이 몰려오는데, 나라와 백성은  양반 세력의 갑질에 거덜 나고 있었다.

그때 수운 최제우는 동학을 창시한다. 동학의 포교는 착취가 가장 심했던 전라도에 많은 포교소를 만든다. 

 

최시형..

교주 최제우의 순교후에 함백산 자락에 은거하며 교세를 확장한다..

 

손병희..

최시형의 휘하에서 동학군 북접의 대장을 맡았다.

 

전봉주..녹두장군..

30대에 동학 접주가 되앗고, 한때는 2년간 대원군의 식객으로 지낸 적이 있었다.

고부 군수 조병갑의 학정에 대항하여 최초 동학군 봉기를 이끌어 조병갑을 쫓아냈는데, 

나중에 조병갑이 동학군 재판을 맡고, 최시형에게 사형선고를 내렸다는 아이러니..헐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간다.

 

녹두장군 전봉준의 죽음을 애도하는 동요가 불려졌다..

 

금수저 탐관오리 조병갑

영의정 조두순의 조카.. 고부군수로 부임하여 모친 조의금을 2000냥을 강요하다가 이에 항의하는 전봉준의 부친 전창혁을 곤장을 쳐서 죽게한다.

그리고 동진강변에 만석보를 만들고 물세를 강제징수하다가 백성들의 분노가 폭발한다..

 

전봉준 등은 사발통문을 돌리고 사람을 규합하여 봉기를 준비한다.

사발통문에는 "조병갑을 처형하고 전주성를 점령하고 한양으로 상경한다"고 나온다.

 

1894년  2월 15일(음력 1월 10일) 전봉준은 농민 1000명을 이끌고 만석보를 허물고 고부관아를 점령한다.

조병갑은 도주했다..

2006년 조병갑의 증손녀 조기숙이 노통의 홍보수석으로 취임한다. 그리고는 증조부 조병갑을 변명하다가 역풍을 맞는다..

 

 

조정에서는 서둘러 안핵사 이용태를 파견하여 고부민란을 수습하려고 하였으나, 안핵사가 동학교도 탄압 등 강경책을 쓰자, 관망하던 동학 무장접주 손화중, 태인 접주 김개남 등이 합류하여 전면 봉기한다.

1894년 5월 1일(음 3월 26일) 동학교도, 농민 1만명이 백산에서 집결했다.

"앉으면 죽산, 서면 백산"이라는 말이 나왔다.

왜 백산이냐고?? 

그당시 백성들 옷이 흰색이어서 일어서면 들판이 하얗게 보였단다..

그러자 안핵사 이용태는 도주한다..

 

조정에서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삼아 신무기로 무장한 800명의 군사를 파견하여 군산을 통해 전주로 향할 즈음 전주 감사 김문현이 감영의 군사를 동원하여 단독으로 토벌을 감행한다.

 

5월 10일(음 4월 6일) 감영군이 황토재(현)에 진을 치고  동학군과 대치하고 잇었다.

다음날 새벽 감영군이 기습을 하자, 대비하고 있던 동학군이 삼면으로 포위하여 괴멸시킨다..

 

동학군은 사거리 100보(60m) 정도의 화승총을 보유하고 있었고,

홍계훈의 경군은 독일제, 미제 소총, 쿠르프 야포, 개틀링 기관총를 보유하고 잇었다.

 

황토재(현) 전투 승리후 동학군은 바로 전주로 향하지 않고 남하하자, 홍계훈의 경군 300명이 추격한다.

5월 27일(음 4월 23일) 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동학군은 경군을 격파하고 지휘관도 전사시킨다..

기세를 몰아 전주로 진격하여 5월 31일(음 4월 27일) 무혈 입성한다.

이때 홍계훈은 전주 외곽 완산에 진을 치고, 기회를 노리고 잇었다.

6월 1일(음 4월 28일)- 6월 5일(음 5월 3일) 까지 양군은 치열한 전투를 벌인다.

홍계훈이 최신식 쿠르프 야포를 동원하여 동학군 500여명을 사살하는 등 동학군의 파상 공격을 격파한다.

 

 

 

완산전투후 동학군이 전주에서 후퇴하고 전선이 소강상태에 빠진 사이

고종이 청나라에 원병을 청하자, 6월 8일 청군에 이어 일본군이 조선에 진주한다..

상황변화에 자극을 받아 홍계훈과 동학군은 6월 11일(음 5월 8일) 전주화약을 맺는다..

이때 폐정개혁12개조를 제시한다.

동학교도와 정부는 서정(庶政)에 협력할 것
탐관오리 숙청

노비문서 소각
7종의 천인에 대한 대우 개선, 백정이 쓰는 평량갓(平凉笠)을 없앤다.
과부 재가 허락

인재 등용, 문벌 타파
일본과 간통하는 자 엄벌

 

8월 6일(음 7월 6일) 동학교도들은 호남 53곳에 자치행정기관인 집강소를 설치한다.

 

국내 사정이 안정이 되어 청일양국의 공동철병을 요구하나, 일본이 이를 거부하고 내정에 간섭하기 시작한다.

7월 23일(음 6월 21일) 일본군은 경복궁을 장악하고 쿠르프 기관포 8문, 개틀링 기관포 8문, 소총 3000정을 탈취한다. 

그리고 친일내각을 수립한뒤, 7월 25일 청일전쟁을 일으키고, 김홍집내각으로 하여금 7월 27일 갑오개혁을 추진하자 전국이 술렁거린다. 

9월 15일 청일간의 평양성 전투에서는 조선 관군이 양쪽에 붙어 서로 총질을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8월 25일 정국을 관망하던 대원군이 자신의 식객이었던 전봉준에게 거병하여 일본군을 무찌르라는 밀지를 내린다.

일본군의 만행에 분개하던 동학 남접과 북접이 9월에 봉기한다.

전봉준의 남접 동학군 1만과 손병희의 북접 동학군 1만 등 2만명이 논산에서 집결하여 12월 5일(음력 11월 9일) 공주 우금치를 공격한다.

우금치에는 관군 1800명과 일본군 200명이 쿠르프 야포와 개틀링 기관포를 배치하고 대기중이었다.

최신무기의 위력에 동학군은 괴멸되고, 후퇴한다.

 

<개틀링 기관총>

https://blog.daum.net/servan/6350429

 

동학군 진압에 동원된 관군은 3200명, 일본군은 2000명이었으나, 최신 야포와 개틀링 기관포로 무장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구사하여 농민이 주력인 동학군은  패퇴를 거듭하면서 무너졌다..

 

한편, 김개남이 이끄는 동학군은 금산 - 신탄진을 거쳐 청주로 진격햇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고 후퇴한다.

전봉준은 12월 28일(음력 12월 2일) 순창에서, 김개남은  12월 27일(음력 12월 1일) 태인에서 각 체포되고, 처형된다.

 

 

 

'방방곡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성 고암 이응노 생가에서  (0) 2022.04.21
세종 금락정 벛꽃구경  (0) 2022.04.10
대전 상소동 산림욕장, 얼음왕국  (0) 2022.02.07
논산 반야사 동굴법당  (0) 2021.11.28
논산 온빛 자연휴양림  (0) 2021.11.24

 

전세계 온라인 서비스 넷플릭스는 2억 가구가 시청한다.

거기에 트롯가수인 그녀(송가인)의 영화가 론칭되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한국 트롯에 관심있는 사람은 전세계 누구라도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영화의 내용은 2019년 말 단독콘서트와 신곡에 관한 에피소드를 그녀가 설명하는 방식이다.

그해 그녀의 목이 무척 고생했다..

https://blog.daum.net/servan/6351322

 

미스트롯 경선 과정에서부터 성대결절로 고생했다.

우승이후 뽕따로가세 프로그램에서 혼자 50여곡을 부르며 녹화하기를 몇개월하였다. 

또 틈틈히 전국 순회공연을 하고, 지역행사에 출연했다.

그리고 연말 단독콘서트와 신곡준비를 하느라 바빴다.

영화에서도 목 상태가 안좋아서 고생하는 장면이 나온다.

 

2019년 그녀를 알게 된후 나는 1년 내내 그녀가 부르는 "정말 좋앗네"를 무슨 배경음악처럼 듣고 다녓다.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 사태가 그녀의 목에 휴식을 주었다.

그로부터 2년간 제대로 공연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2019년의 '정말 좋았네"가 무슨 계시처럼 되었다.

2022년 그녀는 싱싱한 목으로 신곡을 준비한다. 

그녀는 대박을 칠 것이다. 시간 문제일 뿐이다..

 

***

넷플릭스에서 그녀의 영화를 보고, 우연히 영화 주디도 보앗다.

오즈의 마법사 주인공역을 맡았던 주디 갈란드의 말년을 그린 영화다..

어린 나이에 오즈의 마법사 영화와 노래 "오버 더 레인보우"로 대박을 친다. 

그녀는 엄마와 영화사에 의해 쉴틈없이 혹사당하고, 체중조절을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하고, 식욕억제약도 복용하고, 약물과다로 불면증에 시달리며 산다.

더구나 4번의 결혼과 이혼으로 재산은 다 사라지고, 아이들마저 부양할 수 없는 형편이 된다.

마지막으로 아이들과 살 돈을 마련하러 영국공연을 떠난다..

 

***

가수도 참 힘든 직업이다.

히트곡에 대한 부담, 인기관리, 인맥관리, 재산관리가 쉽지않다.

하지만, 그녀(송가인)는 심신 건강을 유지하면서

"송가인 장르(트롯+국악)"를 브랜드로  해마다 신곡을 내고, 롱런할 것이라고 믿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