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시인 소동파가 여산을 구경하고 내려와 서림사의 벽에 시한수(제서림벽)를 썼다.

일필휘지.. 그림은 아니지만 일종의 그래피티가 아닐까?

 

橫看成嶺側成峰(횡간성령측성봉)
遠近高低各不同(원근고저각부동)
不識廬山眞面目(불식여산진면목)
只緣身在此山中(지연신재차산중)

가로로 보면 고개요 세로로 보면 봉우리라

멀고 가까움, 높고 낮음에 따라 그 모습이 제각각이다.
여산의 참모습을 알지 못하는 까닭은
단지 이 몸이 산 속에 있기 때문이다.

 

***

소동파는 불교에도 심취한 사람이다.

그는 "부모미생전 본래면목(父母未生前 本來面目)"이라는 공안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본래면목"이 시인의 안목으로 "진면목"으로 재탄생한다..

여산진면목은 서림사의 벽의 낙서에서 화두급 선시로 살아남았다.

어느 날 서지환이라는 사람이 찾아와 말하기를, 송나라 탁계순이라는 사람이 혜주에 유배된 소동파를 찾아가 뵙고 돌아갈 때 글씨를 요구하면서, 그 옛날 당나라 때 채명원이 안진경의 글씨를 갖고 있어서 세상에서 이름을 얻었듯이 저도 공의 글씨를 얻는다면 이름이 묻히지 않을 것이니 이로써 만족하겠습니다라고 말하여 소동파가 기꺼이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써주었듯이 저도 선생님의 글씨를 하나 받아 세상에 이름을 남기고 싶습니다라며 청했다.

 

 그래서 완당은 서지환에게 글씨를 한 폭 써주며 이렇게 덧붙였다.

지금 서지환이 천리길 멀리 와서 나를 용산(龍山)의 병사(丙舍)로 방문하여 · · · · · · 탁계순의 고사를 이끌어 글씨를 요구하니 내 써주기는 써준다. 그러나 내 글씨로 인해 (그대의) 이름이 세상에 전해지고 전해지지 못하는 것은 (내게) 따질게 아니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하제일강산  (0) 2012.02.22
봉선사 큰 법당  (0) 2012.02.19
맑고 한가로운 집  (0) 2012.01.28
愛자 투구  (0) 2012.01.21
관맹자재  (0) 2011.12.28

 

한동안 소동파에 빠져 적벽부를 썼다..

그를 다룬 책 "소동파, 선을 말하다"를 읽다가 무릎을 탁쳤다..

"덕은 아무리 지나쳐도 나쁘지 않지만,  정의는 너무 지나치나면 잔인해진다.."

이 문장을 읽고 당대의 시인 구양수가 자신의 시대가 지났음을 선언하였다던가..

 

그는 시, 서, 화, 문장에 두루 능해 천년에 한명  나올 천재란 소리를 들었다..

시인으로는 도연명을 사모하여 도연명이 살았다는 "동파"를 따서 자신이 사는 곳을 동파라도 명명하고 호로 삼있다..

정치적으로는 왕안석의 개혁파에 반대하는 보수파로 귀양살이에 시달렸다..

정신적으로는 선불교에 귀의하여 심오한 정신적 경지을 읊는다..

 

후에 송설체로 유명한 조맹부가 그를 추모하고 추종하엿단다..

우리나라 조선 전기의 관용서체가 송설체인데..

송설체는 소동파의 글씨를  추종하엿고 소동파가 촉 출신이라 송설체를 촉체라고도 한다.

그 소동파는 왕희지를 추종하였다..

 

내가 서예를 배우면서 우연히 왕희지의 난정서를 쓰고, 조맹부가 쓴 "조식의 낙신부"를 쓰다가

소동파의 적벽부를 쓰는데..

이들의 관계가 이렇게 맺어진 것을 알고는 묘한 인연을 느낀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흠휼이란  (0) 2011.09.15
법이란 귀한자라고 아첨 하지 않고..  (0) 2011.09.15
국방의 초석  (0) 2011.09.15
손해보는 것이 곧 복이다..  (0) 2011.09.14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0) 2011.09.10

 

 

내 서탁 위에 소동파가 쓴 이백의 "촉도난"의 탁본이 걸려 있다..

중국 낙양에 갓다가 용문석물 부근에서 구입하였다..

소동파는 도연명을 사모하여 그가 살던 지명을 따서 호를 동파라고 하였다

소동파는 왕희지의 서체를 배웠으므로

그의 글씨를 보다보니 이백, 도연명, 왕희지와 모여 탁배기 한잔하며 고담 준론을 나누는듯..

 

시 촉도난(蜀 道 難)은 촉 즉 사천성 가는 길의 험난함을 읊은 작품이다..

 

***

              촉도난/이백

 

아, 아, 위태롭기도 위태롭고 높기도 높은지고!

촉도(蜀道)의 어려움-

푸른 저 하늘 오르는 그것보다 더 어려워라.

잠총(蠶叢)과 어부(魚鳧)의

개국(開國)은 또 얼마나 아득함이랴.

그로부터 4만 8천년

진(秦)의 변경관 왕래 없었나니,

서쪽으론 태백산(太白山) 새들만 넘는 길

굽이 굽이 돌고 돌아 아미산(峨眉山) 꼭대기와 겨우 통하고,

땅 무너지고 뫼 부서져 장사 죽으니

그 뒤에야 높다란 하늘사다리

절벽에 걸린 잔도만이 고리처럼 이어졌구나!

위로는 태양 실은 육룡(六龍)의 수레조차 되돌아서는 높은 봉우리,

아래론 부딪히고 꺾이어서 소용돌이치는 골짜기의 물!

황학(黃鶴)도 여기는 지나지 못하고

잔나비도 잡고서 오를 일을 근심하누나.

청니(靑泥) 길은 얼마나 돌고 돎이랴.

백 걸음에 아홉 번은 꺾이어서 바위산 휘돌아라.

삼성(參星) 어루만지고 정성 곁 지나 숨 헐떡이고.

손으로 가슴 쓸며 쓸며 주저앉아 탄식 하놋다.

묻노니 한번 가면 그 언제 돌아오리?

바위투성이의 길 오를 바 없어라.

보이는 것, 고목(古木) 에서 새들도 슬피 울며,

쌍쌍이 숲 사이를 날으는 모습.

그리고 달밤이면 소쩍새 울음, 공산(空山)에서 피를 토해 우는 그 소리.

촉도(蜀道)의 어려움-

푸른 저 하늘 오르는 그것보다 더 어렵거니

소문만 들어도 웬만한 청춘쯤 금시에 시들어 버리리.

봉우리들은 하늘에서 한 자도 떨어지지 않고

절벽에 거꾸로 매달려 시든 소나무!

여울지고 폭포 되어 물 소리 요란하고,

벼랑을 치고 돌을 굴리니 만학(萬壑)의 우레!

이같이 험하거니

아, 먼 타관 사람이여, 어찌 여기에 왔는다?

검각(劍閣)은 험하고 높기도 높아

한 사람 관문 지키면 만 명이 밀려와도  뚫지 못하니

지키는 이 심복 아니면 이리 늑대로 금시 변하리.

아침이면 호랑이 피해야 하고 저녁엔 또 큰 뱀을 피해야 하느니

이 갈고 피를 빨아 사람 죽임이 삼단 같도다.

금성(錦城)이야 즐겁긴 즐겁기로니

일찍 돌아감만 같지 못하리.

촉도(蜀道)의 어려움-

푸른 저 하늘 오르는 그것보다 더 어렵거니.

몸을 펴 서녘 하늘 바라보며

나 여기에 길이 탄식하여라.

 

***

蜀 道 難

 

  - 李 白

 

噫 吁 戲,危 乎 高 哉!

蜀 道 之 難 難 於 上 青 天!

蠶 叢 及 魚 鳧,開 國 何 茫 然。

爾 來 四 萬 八 千 歲,

始 與 秦 塞 通 人 煙。

西 當 太 白 有 鳥 道,

可 以 橫 絕 峨 眉 巔。

 地 崩 山 摧 壯 士 死,

 然 後 天 梯 石 棧 方 鉤 連。

上 有 六 龍 回 日 之 高 標,

 下 有 衝 波 逆 折 之 迴 川。

 黃 鶴 之 飛 尚 不 得,

 猿 猱 欲 度 愁 攀 援。

青 泥 何 盤 盤,

 百 步 九 折 縈 巖 巒,

 捫 參 歷 井 仰 脅 息,

 以 手 撫 膺 坐 長 歎。

 問 君 西 遊 何 時 還?

 畏 途 巉 巖 不 可 攀。

 但 見 悲 鳥 號 古 木,

 雄 飛 雌 從 繞 林 間;

 又 聞 子 規 啼,夜 月 愁 空 山。

 蜀 道 之 難 難 於 上 青 天!

 使 人 聽 此 凋 朱 顏。

 連 峰 去 天 不 盈 尺,

 枯 松 倒 掛 倚 絕 壁。

 飛 湍 瀑 流 爭 喧 豗,

 砯 崖 轉 石 萬 壑 雷。

 其 險 也 如 此!

 嗟 爾 遠 道 之 人,

 胡 為 乎 來 哉?

 劍 閣 崢 嶸 而 崔 嵬,

 一 夫 當 關,萬 夫 莫 開;

 所 守 或 匪 親,化 為 狼 與 豺,

朝 避 猛 虎,夕 避 長 蛇,

磨 牙 吮 血,殺 人 如 麻。

 錦 城 雖 云 樂,不 如 早 還 家。

 蜀 道 之 難 難 於 上 青 天,

 側 身 西 望 常 咨 嗟。

 

촉도의 모습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 못 이룰 때..  (0) 2011.09.02
천천히 홀로 자유롭게..  (0) 2011.09.01
집필  (0) 2011.09.01
우아함에 관하여..  (0) 2011.09.01
악비가 쓴 출사표  (0) 2011.08.31

 

조맹부가 그린 소동파

 

소동파에 빠져 적벽부를 쓴 적이 있다.

그를 다룬 책 "소동파, 선을 말하다"를 읽다가 무릎을 탁쳤다..

"덕은 아무리 지나쳐도 나쁘지 않지만,  정의는 너무 지나치나면 잔인해진다.."

이 문장을 읽고 당대의 시인 구양수가 자신의 시대가 지났음을 선언하였다던가..

 

그는 시, 서, 화, 문장에 두루 능해 천년에 한명  나올 천재란 소리를 들었다..

시인으로는 도연명을 사모하여 도연명이 살았다는 "동파"를 따서 자신이 사는 곳을 동파라고 명명하고 호로 삼있다..

정치적으로는 왕안석의 개혁파에 반대하는 보수파로 귀양살이에 시달렸다..

정신적으로는 선불교에 귀의하여 심오한 정신적 경지을 읊는다..

 

후에 송설체로 유명한 조맹부가 그를 추모하고 추종하엿단다..

우리나라 조선 전기의 관용서체가 송설체인데..

송설체는 소동파의 글씨를  추종하엿고 소동파가 촉 출신이라 송설체를 촉체라고도 한다.

그 소동파는 왕희지를 추종하였다..

 

내가 서예를 배우면서 우연히 왕희지의 난정서를 쓰고, 조맹부가 쓴 "조식의 낙신부"를 쓰다가

소동파의 적벽부를 쓰는데..

이들의 관계가 이렇게 맺어진 것을 알고는 묘한 인연을 느낀다..

 

****

적벽부(赤壁賦)
 
임술(壬戌-1082년. 작자 나이 47세) 가을 7월 기망(기望-음력 16일)에 소자(蘇子-소식 자신)가
손[客]과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 노닐새, 맑은 바람은 천천히 불어 오고 물결은 일지 않더라.
 
술을 들어 손에게 권하며 명월(明月)의 시를 외고 요조(窈窕)의 장(章)을 노래하더니, 이윽고 달이 동쪽 산 위에 솟아올라 북두성(北斗星)과 견우성(牽牛星) 사이를 서성이더라. 흰 이슬은 강에 비끼고, 물빛은 하늘에 이었더라.

 한 잎의 갈대 같은 배가 가는 대로 맡겨, 일만 이랑의 아득한 물결을 헤치니, 넓고도
넓게 허공에 의지하여 바람을 타고 그칠 데를 알 수 없고, 가붓가붓 나부껴 인간 세상을 버리고 홀로 서서, 날개가 돋치어 신선(神仙)으로 돼 오르는 것 같더라.
 
이에 술을 마시고 흥취가 도도해 뱃전을 두드리며 노래를 하니, 노래에 이르기를 "계수나무 노와 목란(木蘭) 상앗대(삿대)로 속이 훤히 들이비치는 물을 쳐 흐르는 달빛을 거슬러 오르도다. 아득한 내 생각이여, 미인(美人)을 하늘 한 가에 바라보도다."
 
 손 중에 퉁소를 부는 이 있어 노래를 따라 화답(和答)하니, 그 소리가 슬프고도 슬퍼 원망하는 듯 사모하는 듯, 우는 듯 하소하는 듯, 여음(餘音)이 가늘게 실같이 이어져 그윽한 골짜기의 물에 잠긴 교룡(蛟龍)을 춤추이고 외로운 배의 홀어미를 울릴레라.

소자(蘇子)가 근심스레 옷깃을 바르게 하고 곧추앉아 손에게 묻기를 "어찌 그리 신통한 소리를 내는가? " 하니,

손이 말하기를 '달은 밝고 별은 성긴데, 까막까치가 남쪽으로 난다.' 는 것은 조맹덕(曹孟德-조조)의 시가 아닌가 ?
서쪽으로 하구(夏口)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무창(武昌)을 바라보니 산천(山川)이 서로 얽혀 빽빽이 푸른데, 예는 맹덕이 주랑(周郞-주유)에게 곤욕(困辱)을 받은 데가 아니던가 ? 바야흐로 형주(荊州)를 깨뜨리고 강릉(江陵)으로 내려갈 제, 흐름을 따라 동으로 감에 배는 천 리에 이어지고 깃발은 하늘을 가렸어라.
술을 걸러 강물을 굽어보며 창을 비끼고 시를 읊으니 진실로 일세(一世)의 영웅(英雄)이러니 지금 어디에 있는가?
 하물며 나는 그대와 강가에서 고기 잡고 나무하며, 물고기와 새우를 짝하고 고라니와 사슴을 벗함에랴

낙엽같은 작은 배를 타고서 술을 들어 서로 권하며, 하루살이 같은 삶을 천지(天地)에 부치니 아득한 넓은 바다에 한톨의 좁쌀이로다. 우리 인생의 짧음을 슬퍼하고 장강의 끝없음을 부럽게 여기노라.

신선과 함께 즐겁게 노닐며 밝은 달을 품고 영원히 살고 싶으나 이는 쉽사리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아는지라 여운이 긴 소리를 쓸쓸히 바람에 실었다오”

 

소자 말하되 "손도 저 물과 달을 아는가 ? 흘러가는 것은 이와 같으되 일찍이 가지 않았으며, 달이 차고 비는 것이 저와 같으되 마침내 줄고 늚이 없으니, 변화라는 점에서 보면 천지(天地)도 한 순간일 수밖에 없으며, 불변이라는 점에서 보면 사물과 내가 다 다함이 없으니 또 무엇을 부러워하리요?

 

또, 천지 사이에 만물에는 제각기 주인이 있어, 나의 소유가 아니면 한 터럭이라도 가지지 말 것이나, 강 위의 맑은 바람과 산간(山間)의 밝은 달은 귀로 들으면 소리가 되고 눈으로 보면 풍광을 이루어서, 가져도 금할 이 없고 써도 다함이 없으니, 조물주(造物主)가 무진장 베푼지라 그대와 내가 함께 누릴 바로다."

손님이 기뻐하며 웃고, 잔을 씻어 다시 술을 드니 안주가 다하고 잔과 쟁반이 어지럽더라. 배 안에서 서로 팔을 베고 누워 동녘 하늘이 밝아 오는 줄도 몰랐어라.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시일번(不是一番)..  (0) 2011.05.17
청산이 내마음을 맑게 한다..  (0) 2011.05.15
오수당(午睡堂)..낮잠 즐기는 집..  (0) 2011.04.01
사발체 - 선교유거  (0) 2011.03.14
열화당(悅話堂)  (0) 2011.0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