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를 골라 번역한 책..

그의 평이 모두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지만 그중에 연암 박지원이 쓴 누나의 묘지명을 읽다가

이덕무처럼 나도 눈물이 났다..


***


유인(孺人) 휘(諱) 모(某)는 반남 박씨인데, 그 동생 지원(趾源) 중미(仲美)가 다음과 같이 묘지명을 쓴다.

유인은 열여섯에 덕수 이씨 택모(宅模) 백규(佰揆)에게 시집가 딸 하나와 아들 둘을 두었으며 신묘년 9월1일에 세상을 뜨니 나이 마흔셋의 나이를 얻었다. 지아비의 선산이 아곡이라장차 그곳의 서향 언덕 묏자리에 장사 지내려한다.

(자형) 백규가 어진 아내를 잃고 가난하여 살아갈 도리가 막막해 어린 자식들과 계집종 하나를 이끌고 솥단지 옷가지상자 따위 짐 궤짝을 끌고 배를 타고 산골짝으로 들어가 살겠다고 상여와 함께 출발하였다.

나는 새벽에 두뭇개 나루(斗浦)에서 전송하고 통곡하다 돌아왔다.

 

아아! 누님이 시집가던 날 새벽 얼굴을 단장하시던 일이 어제 일만 같구나.

나는 그때 막 여덟 살이었는데 (누나가 시집가는 것이 서운하고 분해서) 벌랑 드러누워 발버둥을 치면서 새신랑의 말투를 흉내내 말을 더듬거리고 점잖을 빼니, 누님은 부끄러워하다 그만 빗을 내 이마에 맞추었다.

나는 성이나 울면서 먹을 분통에 붓고 침을 거울에 뱉었다. 그러자 누님은 옥오리 금별 따위의 노리개를 꺼내주면서 나를 달래 울음을 멈추게 했다.

지금으로부터 스물여덟 해 전의 일이다.

 

말을 세우고 멀리 강위를 바라보니, 붉은 명정이 펄럭이고 배 그림자는 아득히 흘러가는데, 강굽이에 이르자 그만 나무에 가려 다시는 보이지 않았다.

그 때 문득 강 너머 멀리 보이는 산은 검푸른 빛이 마치 누님이 시집가던 날 쪽진 머리 같고, 강물 빛은 당시의 화장거울 같았으며, 새벽달은 누님의 눈썹 같았다.

울면서 그 옛날 누님이 빗을 떨어뜨리던 걸 생각하니, 유독 어릴 적 일이 생생하게 떠올라 기쁨과 즐거움이 많았으며 세월도 느릿느릿 흘렀었다.

그 뒤 나이 든 긴 세월을 이별과 슬픔에 괴로워하고 가난과 곤궁을 근심하다 훌쩍 시간이 지나갔거늘 덧없기가 마치 꿈결만 같구나.

형제로 지낸 날들이 어찌 이다지도 짧았더란 말이더냐.


떠나는 이 정녕코 뒷 기약을 남기지만       (去者丁寧留後期)

오히려 보내는 자 눈물로 옷깃을 적시거늘 (猶令送者淚沾衣)

저 조각배 이제가면 언제나 돌아올꼬        (片舟從此何時返)

보내는 자 하릴없이 언덕 위로 돌아오네    (送者徒然岸上歸)


***

위 묘지명을 처음 지을 때는 제목이  "백자 유인 박씨 묘지명"이었다.

위 글에서 보듯이 남편은 벼슬을 못하고 가난하게 살아다가 누나가 죽었다.

벼슬없는 사람의 부인은 유인(孺人)이러고 표시한다..

그러나, 누나 사후 남편이 벼슬을 하게되어 그 벼슬에 맞춰 누나는 정부인으로 추증된다..

그래서 다시 고쳐쓰고 제목이 "백자 증정부인 박씨 묘지명"이 되었다..


**

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와 쌍벽을 이루는 명문이다..

스님과 선비의라도 혈육의 정은 다를 게 없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프렌드 위드 베네핏  (0) 2018.11.17
<책촌평>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0) 2018.11.16
<책촌평> 문학속의 철학  (0) 2018.11.07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문학속 스토리를 철학적으로 분석해보는 책..

 그 중에 와 닿는 부분..


##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가 아니라 부조리한 존재라는 인식...

토스토에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에 등장하는 인간상을 이렇게 분석한다..


"나"라는 자의식은 언제 생겨나는가?

내가 어떤 고통의 주체일 때 자의식은 구체적으로 존재한다..

****

인간에게 모든 행복조건을 충족 시켜줘라. 부족한 것이 없도록

그러면 그는 행복 속에서 도덕적, 이성적으로 살까?

아니다. 배은망덕한 습성때문에, 배배꼬인 습성 때문에 추잡한 짓을 저지른다.

인간은 자기 삶을 합리적으로 , 건설적으로 잘 꾸려가려고 계획하지만, 한편으로는 망치고 싶어 한다.

인간은 자기 이익에 반하여 행동할 수 있는 부조리한 존재다.

이성은 거기에 비하면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

그러고 보니 안나 카레리나도 그런 인간상인 것 같다..

성 아우구스투스의 고백록도 그런 인간성을 고백한 것이고, 실존주의 소설도 그런 부조리를 다룬다..


###

깨달음은 무엇인가?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로 시작한다.


"우리가 열반이라고 부르는 것, 그런것은 존재하지 않아

다만 열반이라는 단어만이 존재할 뿐이지"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이 세계는 매 순간 순간 완성된 상테에 있으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완성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

그렇다면, 깨달음은 없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완성된 존재"임을 아는 것이 깨달음이 아닐까?

그러면 그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일어나 비추어라

뿌린 물처럼 흘러가리라"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0) 2018.11.16
<책촌평> 한시에 마음을 베이다  (0) 2018.11.09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불운하게 상어에게 한팔을 잃은 소녀..

밀려오는 좌절감..

끝이라고 생각한 곳에서 다시 시작되는 도전..

좌절감을 극복하고 프로 서퍼로 성장한다..

실화다..

오른 손을 다친 서예가가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 보다 더 힘든 거 같다..

그녀는 이제 서퍼뿐 아니라 육아에도 도전중이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한시에 마음을 베이다  (0) 2018.11.09
<책촌평> 문학속의 철학  (0) 2018.11.07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공부(수양)를 통하여 성인이 될 수있을까?

될 수 있다는 것이 불교와 성리학이다..

실제로 방법론이 비슷하다..

차이라면 불교는 허심(虛心)을, 성리학은 실심(實心)을 추구한다고 할까?

하지만, 성리학자들은 불교를 배척한다..

거경을 바탕으로 궁리 실천 체인의 방법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여 진리와 자연과 합일이 되는 경지에 이른다..

거경이란 주일무적..선정, 화두삼매의 경지와 비슷하다..

하나에 집중, 몰입하여 마음을 다스려 수신하면 자신의  본성을 알게 된다..

그런 연후에 제가와 치국, 평천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성리학의 나라였던 우리나라의 말로가 어찌되었는가?

퇴계 이황이 탁마 숙고하여 성리학의 엑기스를 성학십도로 요약했다..

그런데, 너무 쉽게 학문의 정답을 알려주었기에 후학들은 정답만 외우다가 정작 문제푸는 방법론을 잊어버리고

빈 껍데기만 숭상하는 예론으로 흘러가다가 성리학의 나라는 망해버렸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문학속의 철학  (0) 2018.11.07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영화단상> 아델과 어니스트  (0) 2018.10.06



역마살과 도화살이 함께 낀 남 녀의 만남..

플레이맨 독신주의 남자와 플레이 우먼의 만남..

우여곡절 끝에 독신을 깨고 싶은 유혹으로 달려갔지만..

플레이 우먼의 정체는??

여주인공 같은 플레이 우먼이 점차 늘어간다는 신문기사가  실감이 가는 영화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영화단상> 아델과 어니스트  (0) 2018.10.06
<영화단상> 쓰리 빌보드  (0) 2018.09.27



악인이 있다..

그로 인해 인생이 뒤틀린 사람이 있다..

아버지는 아들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하고, 알더라도 인정할 수 없었다..

아들은 그런 아버지를 미워햇다..

전쟁 통에 얼굴을 잃어버린 아들은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전사자로 처리하고 사는 삶

변검은 아니지만 복면가왕처럼 마스크를 쓰고 살아간다.

전쟁기념물 공모전으로 사기치다가 아버지와 조우한다..

그리고 뒤늦게 후회 처럼 듣는 아버지의 고백..

"너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한 내가 바보다..

너를 사랑한다"

그런데, 아들의 반응은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악인의 단죄는 시원하다..

원제의 뜻은 작별인사할 때 쓰는 " 또 만나요"란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영화단상> 아델과 어니스트  (0) 2018.10.06
<영화단상> 쓰리 빌보드  (0) 2018.09.27
<영화단상> 샤인  (0) 2018.09.25




화가 이야기인 줄 알고 선택했는데..

어렵쇼?? 만화영화네??

황당..

알고보니 동화작가 레이먼드 브릭스가 부모의 평범한 이야기를 자신의 그림으로 만들었다..

배달부와 가정부가 만나 가정을 꾸리고 대출받아 집을 장만하고, 전화 달고, Tv 달고, 차 사고, 전쟁 치루고, 아들의 성장을 보며 알콩달콩 살다가 이야기..


이 영화 보다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년의 코메디언 서영춘의 개그송 "시골영감 기차놀이"(서울구경) 원작이 서양노래였다는 거..

그 원곡이 이 영화에 나온다..1920년대 배경에서..


이 노래의 원곡은 19세기말 미국의 조지 존슨이 처음으로 발표했는데

1920년대 영국의 희극배우 찰스 펜로즈가 'Laughing Policeman'라는 제목으로 음반을 취입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우리나라에는 1936년 강홍식이 '유쾌한 시골 영감'으로 처음 불렀다


https://youtu.be/hI1nPd7hezM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영화단상> 쓰리 빌보드  (0) 2018.09.27
<영화단상> 샤인  (0) 2018.09.25
<영화단상> 세잔과 나  (0) 2018.09.25



딸이 강간당하고 살해되어 고통받는 여자..

사건 전 딸의 부탁을 거절하고 악담을 하여 더 고통스럽다..

사건후 남편이 딸 같은 여자애와 바람나서 더 더 고통스럽다..

그녀가 빈 간판에 딸의 수사를 촉구하는 광고를 한다..

광고의 비난 대상이 된 경찰서장은 췌장암으로 시한부 인생이다..

그는 고통의 시간에 직면할 아내를 배려하여 스스로 죽음을 앞당긴다..

그리고 보내는 유서..

그 유서로 얼음과 불 같은 두사람이 변한다..

인생, 함부로 단정짓고 막 살지 말라고 한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영화단상> 아델과 어니스트  (0) 2018.10.06
<영화단상> 샤인  (0) 2018.09.25
<영화단상> 세잔과 나  (0) 2018.09.25
<영화단상> 러덜리스  (0) 2018.09.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