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진제형이 벼슬을 그만두고 촉으로 돌아가는 길에 산중을 지나다가

오조스님에게 도를 물었는데 이야기 끝에 오조스님이 말하였다.

 

"제형은 어린 시절에 '소염시(小艶詩)’를 읽어본 적이 있소?

그 시 가운데 다음 두 구절은 제법 우리 불법(佛法)과 가까운 데가 있습니다. "

 

"소옥아!  소옥아! 자주 부르지만 볼 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단랑(낭군)이 내 목소리를 알아줬으면 함이다."

빈호소옥원무사(頻呼小玉元無事) 지요단랑인득성(祗要檀郞認得聲)

 

위 시는 당 현종 때 양귀비와 안록산의 밀회를 빗댄 시다..

양귀비가 소옥아 소옥아 하고 부르면 진짜 소옥을 부른 것이 아니라 안록산이 듣고 오라는 뜻이다..

 

그러나 제형은 연신 "네!” "네!” 하였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오조(법연)스님은 자세히 생각해 보라고 하였다.

때마침 시자인 원오가 곁에 섰다가 물었다.

"제형 거사가 그 말을 알아들은 것입니까?”

"그는 소리만을 알아들었을 뿐이지.”

"단랑이 나의 목소리를 알아줬으면 하였는데 그가 그 소리를 들었다면 어찌하여 깨닫지 못했습니까?"

그러자 오조 스님이 크게 할을 외쳤다. 

 

원오은 이 말끝에 문득 느낀 바가 있어 방문을 나서는데, 닭이 홰에 날아올라 날개를 치며 우는 모습이 보였다.

이에 다시 혼자 말하기를, "이것이야 말로 바로 그 소리가 아니겠는가!"

 

그리고 오도시를 지었다.

 

金鴨香銷錦繡幃  笙歌叢裏醉扶歸

금압향소금수위  생가총리취부귀
少年一段風流事  只許佳人獨自知
소년일단풍류사  지허가인독자지


비단 휘장 안 금압(金鴨) 향 스러지고
추한 몸 부축하여 노래 속에 돌아가네
총각의 첫날밤 풍류사는
오직 같이한 여인 홀로 알겠지.

 

***

요새말로 풀면 스님이 장윤정의 "어머나" 가사 한귀절을 읊었더니

제자가 깨달았다는 것이니 이 도의 경지는 시적이면서도 농염하다..^^

 

 


노자는 말한다..

화혜복지소의, 복혜화지소복(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행복 속에 불행이 숨어있고 불행 속에 행복이 있다..

행복이 불행이 되기도 하고, 불행이 행복으로 바뀌기도 한다는 것이다..

  

퇴계 이황은 자신의 묘갈명에 이렇게 썼다..

 낙중유우, 우중유락(樂中有憂 憂中有樂)

즐거움 가운데 근심이 있고, 근심 가운데 기쁨이 있다..

 

불문에의 요체는 불이사상이다..

즉 번뇌와 보리는 둘이 아니다(菩提煩惱不二)는 것이다..

리틀부다라는 영화를 보면 

마군의 군대가 부타께  해를 가릴 정도로 화살을 쏘는데 부타의 미소 지음에 모두 꽃이 되어 떨어지는 장면이 연상된다..

 

인생사 세옹지마라는 고사성어도 이런 진실을 품고 있다..

 

생활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 하거나 노하지 말라 

설움의 날을 참고 견디면 

머지 않아 기쁨의 날이 오리니

 ****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고

'큰 지혜'와 '바보'가 다르지 않다.

어찌 밖을 향하여 보배를 구하랴.

신전(身田)에 원래부터 '밝은 구슬'이 있다.

'바른 길', '삿된 길'이 둘이 아니니,

'범부'와 '성인'이 같은 것임을 알라.

미혹'과 '깨달음'이 본래 차별이 없고

'열반'과 '생사'는 한결같은 것이다.

끝끝내 공적(空寂)함을 사무쳐서

오직 뜻과 생각이 맑기만을 구하라.

한 법도 얻을 것이 없으면

잠깐 사이에 저절로 '남음 없는 도'(無餘道)에 든다.

온갖 것이 불사(佛事) 아님이 없으니

어찌 생각을 거두면서 좌선(坐禪)을 하랴.

'망상'이 본래 공적한 것이니

'반연'(攀緣)을 끊으려 할 것이 없다.

지혜로운 이가 도무지 '얻을 마음'이 없이 되면

자연히 시끄러움도 다툼도 없어진다.

'무위의 대도'(無爲大道)를 알지 못하면

언제 깊고 현묘(玄妙)함을 증득하랴.

부처와 중생은 한 종류이니

중생이 그대로 세존(世尊)이시다.

범부는 허망하게 분별을 내어

'없음' 가운데서 '있음'을 집착하며 어지럽게 설친다.

성문(聲聞)은 시끄러움을 피하고 고요함을 구하니

마치 떡가루를 버리고 떡을 찾는 것과 같다.

'번뇌'가 그대로 '보리'(菩提)이니

'마음'이 없으면 '경계'도 없다.

지혜로운 이는 '부처'를 구할 마음이 없거늘

어리석은 사람은 사됨(邪)과 바름(正)에 집착한다.

음욕(淫慾)의 성품이 원래 공한 줄 알면

'불가마 지옥'이 저절로 식는다.

 

― 지공(誌公)선사의 십사과송(十四科頌) 중에서―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을 행복하게 할 책임  (0) 2013.11.26
소옥아..  (0) 2013.11.09
겨울이 없으면 꽃도 없다..  (0) 2013.10.28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  (0) 2013.05.16
깨달음이란  (0) 2013.03.11

 

 

"따뜻한 실내에서 물과 거름을 잘 주면 난(蘭)은 꽃을 안 피운다. 굳이 꽃을 피울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런 난을 영하 2~3도가 되는 겨울날 바깥에 사나흘 내놓으면 꽃을 피운다.

겨울이 없으면 꽃도 없다."

―겨울이 없으면 꽃이 없는 게 아니라, 겨울에 꽃이 없는 것이 아닌가?

"겨울에도 가지에는 꽃눈이 달려있다. 사람이 겨울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꽃눈을 잘라 보면 여섯 벌 내지 일곱 벌을 입고 있다.

 그 속에 꽃잎, 암·수술, 씨방이 다 준비돼있다. 봄꽃은 봄을 맞아서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그 전해 여름과 가을에 이미 꽃을 만들어놓고 겨울을 날 뿐이다.

 

―가을꽃에 대해 얘기하자. 산야를 다녀보면 가을꽃은 보라색 계통이 많은 것 같다.

"곤충 눈으로 보는 자외선 사진을 찍어보면 분명해진다. 보라색 가을꽃은 노란 봄꽃보다 꿀샘이 상대적으로 선명하다. 벌·나비들에게 '생식할 시간이 얼마 안 남았으니 빨리 여기로 오라'는 절박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한라구절초는 생식 전후로 꽃 색깔이 바뀌기도 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0/27/2013102702045.html?news_Head1

 

<문리버 생각>

 

겨울이 없으면 꽃이 없다는 말..

어디 꽃 뿐이랴

도전과 시련없이 어떻게 성공이 있고

죽음이 없다면 어찌 삶이 찬란할 것이며

번뇌 아니면 어디서 보리를 구할 것인가?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옥아..  (0) 2013.11.09
번뇌와 보리는 둘이 아니다..  (0) 2013.11.02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  (0) 2013.05.16
깨달음이란  (0) 2013.03.11
꾸베씨의 행복여행  (0) 2013.03.11

나이든 스님 뵐 때마다 궁금했는데, 그냥 묻겠습니다. 스님은 깨달으셨나요.

“나는 가짜 중이야. 개인적으로는 도(道)도 깨달음도 없다고 생각해. 이렇게 얘기하면 몇 놈 죽자고 달려들 거다. 잘 써라. 서부영화 보면 카우보이가 황금을 평생 찾다 결국 못 찾고 죽잖아. 깨달음이란 게 그런 것 아닐까. 내게 이 세상에서 가장 기쁘고 좋은 날은 죽는 날이야.”

―부처님이 바라는 세상은 어떻게 이뤄질 수 있습니까.

“남편을, 아내를, 직장 상사를, 동료를 부처님이다 이렇게 여기면 되지. 꼭 절에 가서 절하고 보시하고 이래야 하는 게 아니야. 바로 옆에 있는 사람들을 부처님으로 생각하고 공들이고 눈물 나지 않게 하면 되는 거지. 이게 사람들이 태어난 목적 아니겠나. 이걸 잊으면 안 돼. 또 경전은 여행을 위한 일종의 안내서나 가이드북이야. 깨달음 자체와 경전 자구에 집착하면 사람이 구속돼. 강을 건넜으면 뗏목은 버려야지.”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난 윤회라는 게 죽어서가 아니라 살아서 윤회를 받는다고 생각해. 그러니 살아 있는 한 순간 한 순간이 중요한 거지.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 하루 사이에 만 번 죽고 만 번 사니, 얼마나 열심히 살아야겠어.

―아이들 때문에 고민하는 가정이 많습니다.

“정주영 책 한번 봐라. 정주영이 도망가니까 아버지가 쫓아가 잡았는데도 그 뜻을 꺾지 못하잖아. 그때 정주영이 ‘예’ 하고 아버지 뜻대로 살았으면 나중에 천하의 정주영이 됐겠나. 부처도 처자식 버리고 가출하잖아. 봐라, 김 기자야, 아들이 네 뜻대로 살면 잘해 봐야 잘난 기자밖에 더 하겠나.(웃음)”

그러면서 스님은 말을 보탰다.

“30여 년 전 내가 미국 구경 갔다 돈 떨어져 식당에서 접시를 닦았어. 근데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다니는 여학생이 우연히 부자인 아버지와 마주치는 것을 봤어. 짧은 영어로 ‘부자인데 왜 딸을 안 돕느냐’고 물었지. 그랬더니 그 아버지가 ‘사람은 돈 버는 재미로 사는데, 그걸 뺏으면 딸은 어떻게 사느냐’는 거지. 그리고 자기 돈은 학교나 교회, 단체에 기부하면 된다고 하더라. 귀한 자식이면 세상 공부를 시키면서 기다려야지.”

- 오현 스님-
://news.donga.com/East/3/all/20130516/55185436/1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뇌와 보리는 둘이 아니다..  (0) 2013.11.02
겨울이 없으면 꽃도 없다..  (0) 2013.10.28
깨달음이란  (0) 2013.03.11
꾸베씨의 행복여행  (0) 2013.03.11
마음의 평화..  (0) 2013.03.03

 

1984년부터는 아침저녁으로 108배(拜)를 하고 '금강경(金剛經)'을 읽었다. 마음공부에 집중해야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어쩌면 출가(出家)한 거나 마찬가지였다. 결혼과 가정이 귀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다. 하지만 내게는 마음을 닦는 것이 더 귀했다.

 

 ―결국 깨달았다는 건가?

"깨칠 게 없다는 걸, 길이 있는 줄 알았는데 따로 길이 없다는 걸 깨쳤다."

―그 오랜 세월에 걸쳐 수행하고서 겨우 '없다'는 걸 깨달은 것인가?

"금강경을 2만 번 넘게 읽고서 그걸 알았다. 우리는 완전한 세상에 대해 꿈을 꾼다. 하지만 그런 세상은 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다. 이 자체가 부족함이 없는 세상이다. 지금 일어나는 순간 순간에 있어야 될 것이 있고 이뤄져야 할 것이 이뤄져 있다. 더 완전한 세상이나 더 큰 깨달음으로 가는 길은 없다는 걸 깨달은 것이다."

―당신이 깨달았다고 전제하고, 그전의 삶과 그 뒤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나?

"무엇이 달라졌느냐고? 세상에 궁금한 게 없어지고, 불만이 없어지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무엇보다 내가 못 깨쳤다는 생각이 없어진 것이 달라졌다고 할까."

-한국출판인회의' 회장… 박은주 김영사 대표-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이 없으면 꽃도 없다..  (0) 2013.10.28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  (0) 2013.05.16
꾸베씨의 행복여행  (0) 2013.03.11
마음의 평화..  (0) 2013.03.03
누에 고치  (0) 2013.02.04

성공한 정신과 의사 꾸뻬는 성업 중인 진료실 문을 닫고 세계 여행을 떠난다. 그를 찾아오는 환자들을 이해하기 어려웠고, 스스로도 행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명예와 권력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자유로운 삶까지 누리고 싶어하는 사람들. 꾸뻬는 이 여행을 통해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하고, 불행하게 만드는지를 하나씩 수첩에 적어 나간다.

①행복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는 것

②행복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 등 23가지 행복의 발견이다.

여행에서 돌아온 꾸뻬는 이제 '불행하지 않은데도 불행하다 느끼는' 환자들에게 시인 알프레드 디 수자의 경구가 적힌 카드를 선물한다.

"춤추라, 아무도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살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일일야 만사만생(一日一夜 萬死萬生)  (0) 2013.05.16
깨달음이란  (0) 2013.03.11
마음의 평화..  (0) 2013.03.03
누에 고치  (0) 2013.02.04
아이젠과 화장지  (0) 2013.01.10

 

내 몫인 것을 그저 있는 그대로 내 것으로 받아들이라..

그러면 마음에 평화가 온다..

나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니고, 세상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때 평화가 찾아 온다..

- 손우배 신부 -

 

###

 

자기 중심적 집착을 내려 놓을 때 무쟁삼매가 시작된다..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이란  (0) 2013.03.11
꾸베씨의 행복여행  (0) 2013.03.11
누에 고치  (0) 2013.02.04
아이젠과 화장지  (0) 2013.01.10
마음이 믿는대로..  (0) 2012.11.19

 

누에가 제입에서 나온 실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 갇히듯

내가 일으킨 생각에 사로잡혀 스스로를 구속한다.

 

고정관념으로 만들어진 온갖 상(相)을 깨드리면

나비가 고치를 뚫고 나와 창공을 훨훨 날듯

자유로운 세상이 활짝 펼쳐진다..

 

-법륜-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꾸베씨의 행복여행  (0) 2013.03.11
마음의 평화..  (0) 2013.03.03
아이젠과 화장지  (0) 2013.01.10
마음이 믿는대로..  (0) 2012.11.19
야부송 2  (0) 2012.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