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가양동 우암사적공원내 남간정사의 현판

위  현판을 쓴 사람은 곡운  김수증(金壽增)이다..

곡운은 3학사 김상헌의 손자로 김수항의 형이다..

그들 형제는 우암의 제자로서 우암과 같은 노론으로 정치적 부침을 같이한 사람이다. 

동생과  스승이 유배가자, 강원도 화천에 은거하면서 조세걸로 하여금 곡운구곡도를 그리게 한다.

조세걸은 평양출신 문인화가로 달마도로 유명한 김명국으로부터 그림을 배운 사람이다..

그는 성리학 개조 주자의 삶을 흠모하여 은둔 속에서 멋을 추구하여 주자의 무이구곡도를 모방하여 화천의 경치를 곡운구곡도에 담게하였다.

그림을 그릴 당시 조세걸과 계곡의 경치를 직접 보고 어땋게 그릴지 상의하여 그리게 했다.

우리나라 진경산수화의 단초를 여는 계기가 된다. 

 

김수항의 아들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등 6형제는 백악산(북악산) 아래 살면서 후학들인 겸재 정선, 관아재 조영석, 사천 이병연 등을 지도하고 백악사단을 형성하여 풍류를 즐기면서 진경시와 진경산수화를 개화시키고 이른바 영,정조의 진경문화시대를 열었다..

 

그들이 추구하는 정신세계는 청에 멸망한 명을 계승한 것은 성리학의 나라 조선이라는 "소중화주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우리 산하를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관점을 일깨웠다는 점은 높이 평가해야할 것이다.

 

 김창집은 숙종시 영의정을 지내면서 겸재 정선에게 도화서 벼슬자리를 마련해주어 안정적인 경제기반을 제공하고 후원했다.

한데, 그의 5대손 김조순은 순조의 장인이 되면서 유명한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시대를 열었으니 과연 노론의 핵심들이다.. 

 

우암의 정자의 현판은 자신의 추종세력이 쓸 밖에..

 

남간정사의 글씨에서 조선의 인맥과 역사를 바라본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수래 공수거  (0) 2011.01.13
친구에게 술 한잔 권하노니  (0) 2011.01.12
유수체 - 창암 이삼만  (1) 2010.12.30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부유하면..  (0) 2010.09.12

 

 

 

창암 이삼만이 쓴 산광수색(山光水色)..

산의 빛과 물의 색..

물처럼 흐르고 바람처럼 부는 ‘유수체(流水體)’

 

창암은 조선후기 서울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 평양의 눌인(訥人) 조광진(曺匡振·1772~1840)과 함께 당대 ‘삼필(三筆)’로 불렸다. 호남 서단에서 활동하며 문자 그대로 물처럼 흐르고 바람처럼 부는 ‘유수체(流水體)’로 이름을 떨쳤으나, 각지고 모난 건축적 아름다움을 뽐낸 추사체 그늘에 가려 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바둑으로 치면 일본 바둑을 배워온 조훈현이 추사라면, 순 국산 서봉수가 창암에 비유할 수 있겟다..


http://news.joinsmsn.com/article/aid/2010/12/28/4516872.html?cloc=olink|article|default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은 1770년(영조 46년)에 전주 자만동(현 교동)의 넉넉한 가정에서 태어나 한때 정읍 불무곡에서도 거주한 것으로 전하고 있으나 글씨 쓰기에만 몰두하여 가산을 돌보지 아니하였으므로 점점 살림이 치폐되어 중년에는 전북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공기골들어가서 처사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엿다.

 그의 부친이 독사에 물린 여독으로 작고하게 되자 그는 뱀이란 뱀은 눈에 띄는대로 잡아 죽이었으니 뱀막이로 이삼만이라 써 붙이면 뱀이 끓지 아니했다는 일화도 남아 있다.
그는 학문, 교우, 취처가 늦어서 삼만이라 했다던가.. 자는 윤원이요, 호를 창암이라고도 하였고, 젊었을 적에는 강암(强巖)으로도 불리웠다

77세 때 쓴 그의 서첩(書帖)에 의하면 우리나라 명필인 김생(金生)과 한호(韓濩) 같은 분을 추켜 올렸으니 그의 주체성을 살필 수 있는 것이요, 글씨의 변천된 과정과 더불어 글씨쓰는 법통을 밝혀냈고, 글씨쓰는 자세를 구명했다.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의하면 그는 병석에 누워 있었을지라도 하루에 천자를 썼으며 늘 말하기를 벼루 세 개를 구멍내지 아니하고는 글씨는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했다. 글씨를 배우러 찾아오면 한획 한점을 각각 한달씩 가르쳤다.

어느 분이 소장한 서첩에 의하면 해서(楷書)를 쓰는데 숙달하게 되면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는 절로 이뤄진다는 것을 강조하여 글씨는 해서에 기초를 둬야 한다고 되풀이 했다. 또한 글씨쓰는 사람들의 폐단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옛날 장해동이란 사람이 글씨로 당대에 이름이 났으나 그가 죽고나서 배척된 고사(古事)를 들어 글씨쓰는 법도에 있어 후진들을 경계했다.

글씨는 도(道)의 경지에서 다뤄져야 하는 것으로 인품이 고결한 연후에야만 묘경(妙境)에 들 수 있다고 했다. 또한 글씨는 기교를 부리지 말아야하고 소박한 기풍을 본받아야만 될 것으로 속기(俗氣)에 접어드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1847년에 향년 78세의 고령으로 일생을 마치고 구이면 평촌 하척부락에 묻혔다.

 

 

 

 안분와(安分窩)..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지키며 사는 집...

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에 있는 홍기웅의 가옥(중요민속문화재 제151호)안에 있는 편액

 

 

임지관월..연못 속에서 달을 본다..

 

 

***

 

 

추천책 : 원교.창암 글씨에 미치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에게 술 한잔 권하노니  (0) 2011.01.12
남간정사에서 진경문화를 바라보다..  (0) 2011.01.05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부유하면..  (0) 2010.09.12
비 내리는 새벽에는..  (0) 2010.09.11

 

 

서성 왕희지의 난정서를 3000번 쓰기로 정한이후

어제 200번을 썼다..

달팽이보다 느린 굼뱅이 속도로 3년이나 지났다..

 

 

 

마침 내 사부 현강선생의 현강연서회 정기 전시회가 열렸다..

저 유려한 현강선생의 글씨를 배웠는데..

어째 나는 항상 제자리인지..

 

 

 

 

하여 무릎팍 도사에게 물었다..

써도 써도 제자리인 경우 어떻게해야 합니까?

 

도사 가라사되..

 

글을 좋아하는 그대여!! 그저 즐겨라!!

 

홀로

천천히

자유롭게..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간정사에서 진경문화를 바라보다..  (0) 2011.01.05
유수체 - 창암 이삼만  (1) 2010.12.30
부유하면..  (0) 2010.09.12
비 내리는 새벽에는..  (0) 2010.09.11
뜻한 바를 추구하고..  (0) 2010.09.10

 

 

남의 종중과 종손의 분쟁에 종손을 훈수하러 갔다.

임야라는 것이 값이 나가지 않던 시절에 시제에도 나오지 않던 사람들이 "행복"도시 발표로 땅값이 폭등하자 서로 주인이라고 싸우니 집안에  불행의 조짐이 보인다..

하여간, 그날 잘 타협이 되지 않았는데, 방을 나오다 보니..

내 사부 현강의 글씨가 걸려있다..

 

 富潤屋 德潤身 心廣體반

 

부유하면 집이 윤택해지고,

덕은 자신을 윤택하게 하니,

마음이 넓으면 몸이 편안해진다.


 
이말만 잘 새겨도 잘 해결될텐데..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수체 - 창암 이삼만  (1) 2010.12.30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비 내리는 새벽에는..  (0) 2010.09.11
뜻한 바를 추구하고..  (0) 2010.09.10
백범선생께  (0) 2010.04.20

 

오늘 새벽에 옥녀봉 걷기에 나섰다가 비가 구진 구진 내려 포기하고 돌아왓다..

두터운 구름장과 거미줄처럼 흐르는 빗줄기를 바라보며 아침부터 따스한 찬 한잔이 생각난다..

 

어제 공주에 갓다가 어느 건물에 붙어잇는 글씨..

서예가 이름을 보다..반가움이 인다..화전선생 글씨..

내 사부의 제자로 서실의 총무로 여류 서예가로 입신한 사람..

홀로 아들을 키우다가 고교시절 아들의 귀가를 기다리며 한자씩 쓰다가 프로페셔널이 되었다..

 

그녀는 단아한 예서풍의 한글로 유안진의 설록차란 시를 썼는데..

오늘 같은 날..설록차 갈증을 느끼게 하기에 좋은 시다..

첫귀절을 "비내리는 새벽에는"으로 바꿔서..

한번 감상하시라..

 

 

설록차

 

눈 내린 한밤중은

설록차를 마실시간


옥잔에 흘러드는 대닢푸른 숨결
고독도 그 얼마나 호강스런 향기인가....

 

진실은 외로울밖에
순수도 눈물의 길...


 
달빛이 별빛이 괴어
이 호젓한 한 두 모금

 

산수화 한 폭 속에
선녀처럼 내 사는 듯....  

 

 

         ㅡ유안진 ㅡ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부유하면..  (0) 2010.09.12
뜻한 바를 추구하고..  (0) 2010.09.10
백범선생께  (0) 2010.04.20
한식 날에 - 황주한식시첩(소동파)  (0) 2010.04.06

 

건물 계단에 걸린 글씨..

많이 본 필적이라 했더니 내 사부 현강의 글씨다..

 

隱居以求其志  (은거이구기지)               

行義以達其道   (행의이달기도)                 

 

숨어 살 때는 자기의 뜻한 바를 추구하고,

세상에 나아가면 천하에 자신의 도를 이루게 한다..

 

 

논어 계씨편에 나오는 귀절..

 

이와 비슷한 말로

窮則 獨善其身 (궁즉 독선기신)

通則 兼善天下 (통즉 겸선천하) 도 있다..

 

헌데..논어 위 귀절 다음 구가 걸작이다..

 

(공자) 나는 그런 말을 듣기는 했으나 그렇게 하는 이는 아직 보지 못했다..

 

 

수단 방법 안가리는 출세주의자가 판치는 세상에

분수도 모르고 청문회에 나와

망가지는 사람이 어디 한둘이어야지...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유하면..  (0) 2010.09.12
비 내리는 새벽에는..  (0) 2010.09.11
백범선생께  (0) 2010.04.20
한식 날에 - 황주한식시첩(소동파)  (0) 2010.04.06
자유를 향한 붓사위  (0) 2010.03.25

 

 

요즘 내가 가끔 가는 찻집..떼아뜨르에 앉아  카페인 성분이 적다는 에디오피아산 원두 예르가체프를 한잔 마신다..

마침 배경음악으로 내가 좋아하는 문리버가 흐른다..

 

주인장이 맞은편 벽에 걸린 서에작품을 가리키며 한마디한다..

저 글씨는 국전에 입상한 분이 쓴 작품인데..윤봉길의사가 백범선생에게 써준 한시를 쓴 것이라..

뭐? 백범선생??  그 말에 필이 꽃혔다..   

 

 

 

카메라 폰이라 사진이 잘나오지 않았는데..테두리에 한시가 써잇다..

 

 

白凡 先生

 

巍巍靑山兮(외외청산혜) 載育萬物(재육만물)

杳杳蒼松兮(묘묘창송혜) 不變四時(불변사시)

濯濯鳳翔兮(탁탁봉상혜) 高飛千仞(고비천인)

擧世皆濁兮(거세개탁혜) 先生獨淸(선생독청)

老當益壯兮(노당익장혜) 先生義氣(선생의기)

臥薪嘗膽兮(와신상담혜) 先生赤誠(선생적성)

 

높고 큰 푸른 산이여! 만물을 품어 키우고

울울한 푸른 소나무여! 사철 변함이 없네.

초탈한 봉황의 비상이여! 천길 드높게 날아오르고

온 세상의 혼탁함이여! 선생만이 홀로 맑으시네.

늙을수록 더 정정함이여! 오직 선생의 의기 뿐이로다

와신상담이여! 선생의 붉은 정성이로세.

 

윤봉길의사는  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 生不還)이라 써 놓고 집을 떠낫다..

백범선생을 만나 상해홍구 공원 거사를 게획하고 2일전 현장을 답사하였다..

 

그리고 자식들에게 유서를 썼다..

 

강보(襁褓)에 싸인 두 병정兵丁<모순(模淳)과 담(淡)>에게"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갓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한 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아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어머니의 교육으로 성공하여라.
동서양 역사상 보건대 동양으로 문학가 맹가가 있고 서양으로 불란서혁명가 나폴레옹이 있고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있다.
바라건대 너의 어머니는 그의 어머니가 되고 너희들은 그 사람이 되어라."

 

그리고 백범선생에게 위 한시를 써서 헌정한다..

 

저 시를 보며 가슴에 짜릿한 전율을 느낀다..

이완용의 글씨를 보고 그런 기분을 느끼겠는가?

 

차를 마시며 저 서예가는 왜 한시를 테두리에 쓰고 가운데는 문고리..시계..매미..로 장식했을까?

궁금증이 화두가 되어 떠나지 않는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내리는 새벽에는..  (0) 2010.09.11
뜻한 바를 추구하고..  (0) 2010.09.10
한식 날에 - 황주한식시첩(소동파)  (0) 2010.04.06
자유를 향한 붓사위  (0) 2010.03.25
난득호도(難得糊塗)  (0) 2010.01.13

 

한식행사를 일요일로 당겨 치르기 하였다..

걷기 약속을 모두 물리고 고향 선영에 형제들이 모였다..

따뜻한 햇살아래 잡초를 뽑으며 이런 저런 이야기..

 

저 묘소 아래 우리 형제들 자리도 준비는 해놓았는데..

그뒤에 아들..조카 시대에도 이런 한식모임이 이루어 질까도 생각해본다..

 

퇴계선생의 유언 중 절차는  "지금 실정에 맞도록 하되 옛법도에 멀어져서도 안된다" 말씀<의어금이(宜於今而) 불원어고지(不遠於古)>..변화하는 시대 속에 지켜야할 것은 무엇인지..

 

 

묘소 정비후 제사를 올리고 음복을 한다...

사업이 안되면 조상묘소가 잘못되었나 돌아보러 온다는 사람 얘기도 들었지만..

그저 형제끼리 집안 땅가지고 소송안하고 서로 음복하며 덕담하는 것이 그야말로 조상의 큰 음덕이다..

 

(소동파의 황주한식시첩)

 

송나라 문인 소동파..

그는   황주에 좌천된 후 3년째 되던 해의 한식날 인생에 대하여 느낌을 시로 썼다...

시는 처량하면서 다정하게 썼고, 소식의 슬프고 고독한 심경이 잘 나타나 있다.

시로서 뿐만 아니라 행서체로서도 3대 걸작에 들어가는 글씨다..

 

 自我來黃州 已過三寒食

年年欲惜春 春來不容惜

今年又苦雨 兩月秋蕭瑟

臥聞海棠花 泥汚燕指雪

暗中偸負去 夜半眞有力

何殊病少年 病起頭已白

 

내가 황주에 온 이래로 세 번째 한식이 지나가는구나.

해마다 봄을 아끼려고 하지만

봄은 그냥 지나가버릴 뿐, 나의 아끼는마음을 용납해주지않내 그려.

올해도 또 괴롭게 내리는 비는 계속되어

벌써 두 달 째 가을 못지않는 소슬한 날씨

시름에 젖어 자리에 누운 채로 듣자니 벌써 해당화가 다 지고 있다는데

진흙탕 위에 떨어진 그 꽃잎은 연지 색갈많큼이나 붉으리라

한 밤중에 진짜 큰 힘을 가진 자가(自然)

어둠 속에서 봄과 꽃을 업어 가 버린다면

꽃잎이 떨어져버린 해당화와 병든 소년과 그 무엇이 다르랴?

병상에서 일어나 보면 머리가 이미 세어 버렸을 텐데.

 

春江欲入戶 雨勢來不已

小屋如漁舟 濛濛水雲裏

空庖煮寒菜 破竈燒濕葦

但見烏銜紙 君門深九重

墳墓在万里 那知是寒食

也凝哭窮途 死灰吹不起

 

불어난 강물이 집안으로 들이닥치려하는데도

비의 기세는 꺽이지 않고

내 작은 집은 이미 고기 배인 양

희뿌연 비와 물 속에 잠기어있네.

텅 빈 부엌에서 찬 나물을 데우려

갈라진 부뚜막에 젖은 갈대로 불을 지펴보는데

오늘이 한식날인줄은 어떻게 알겠는가

한식날이라고 사람들이 날려보낸 지전(紙錢)을 물고다니는 까마귀를 보고서 알았지.

임금 계신 곳은 구중궁궐 깊어서 내 마음을 알릴 길이 없고

조상님들의 분묘가 있는 고향은 만리 밖이어서 가 볼 길이 없네.

그 옛날 완적(阮籍)이 그랬던 것처럼 길 다한 곳까지 갔다가

길이 끊기면 주저앉아 통곡이라도 하고 싶지만

내 마음은 이미 스러져 죽어버린 재인가?

아무리 불어도 살아나지 않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뜻한 바를 추구하고..  (0) 2010.09.10
백범선생께  (0) 2010.04.20
자유를 향한 붓사위  (0) 2010.03.25
난득호도(難得糊塗)  (0) 2010.01.13
책읽는 집에서...  (0) 2009.07.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