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맑고 한가로운 집 2012.01.28
- 임도 걷기 - 남이 자연휴양림 2012.01.28
- 충청 걷기 - 갑사 2012.01.23
-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2012.01.22
- 愛자 투구 2012.01.21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2012.01.18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2012.01.15
-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2012.01.09
맑고 한가로운 집
임도 걷기 - 남이 자연휴양림
임도 걷기에 나섰다..
구비 구비 산길을 돌아 도착한 곳..금산군 남이면 건천리..남이 자연휴양림..
걷기 좋은 오솔길을 따라가고..
아이들 썰매장도 있고..
선녀탕을 들여다보니 맑은 얼음이 유리 같다..
3km 남짓한 오솔길은 사방댐에서 끝나고 등산길이 시작된다..
선야봉은 7백미터급..중간에 내려오다 생태탐방로 접어든다..
반나절 걷기 정도의 코스..총 8km
소원탑에 소원을 빌다 보니..
어머니 시가 붙어 있네..
가장 약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기대고 살았구나..우리는..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맷길 걷기 - 삼포가는 길, 두번째 (0) | 2012.02.06 |
---|---|
임도 걷기 - 대아자연휴양림 (0) | 2012.01.30 |
충청 걷기 - 갑사 (0) | 2012.01.23 |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0) | 2012.01.22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0) | 2012.01.18 |
충청 걷기 - 갑사
설날..계룡산 갑사로 향햇다..
갑천을 지나 갑동을 거쳐 갑하산 옆 삽재를 넘어 창벽을 스치며 갑사가는 길은 한가롭기 그지없다..
설날 할인 없느냐고 한마디 하면서 입장권을 사서 들어가니 다리건너 십이간지 돌탑에서 임진년의 상징 용에게 눈도장을 찍는다..
관찰로 속은 갈색 세상..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때 창건되었다는 오랜 터전..
계룡갑사의 현판은 조선말기 충청 병마절도사 홍재희가 쓴 글씨..
그는 동학혁명당시 양호초토사로 조정의 군대를 지휘하여 출진하였으나 전봉준과 전주화약을 체결한 사람..
그뒤 명성황후 시해 사건인 을미사변때 훈련대장으로 광화문을 수비하다가 일본군 총탄에 전사한 사람이다..
갑사 강당의 주련..
갑생삼각법문개(甲生三角法門開)
세봉우리(수정봉) 아래 갑사를 창건하여 법문(法門)을 열었다..
임진년 설날..용의 눈빛이 형형하니 금년 운세 잘 풀릴 듯하다..
산사의 아름다움이 으뜸이라 갑사인가..
조선 선조때 만들어진 갑사 동종에는 지장보살이 있다..
절 구경을 끝내고 등산로로 접어든다..
뒤늦게 대한 추위가 닥쳤는데 대나무는 청청하다..
돌 몇개 얹힌 이끼낀 바위가 그대로 스투파라네..
여기가 갑사9곡 중 8곡 용문폭이다..
폭포라고 하기에 작고 수량도 적지만..용문이라는 말이 솔깃하다..
이젠 신흥암 천진보탑을 향해 오른다..
잠시 숨을 돌리고 오르자..임도와 만난다..
신흥암 산신각 뒤로 수정봉이 빛난다..
그리고 천진보탑이 보인다..
석가모니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다는 설화를 가진 기암..
1950년대 미군병사가 천진보탑이 방광하는 장면을 찍어 유명해진 신비의 바위..
천진보탑옆 소나무도 기품이 대단한 소나무다..
마치 용이 승천하듯..요동치는 듯한 기상..
하산 길은 임도를 따라 내원암을 거쳐 갑사로 향한다..
사천왕문에서 옆으로 오솔길로 좋다..
개울 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길..
임진년 설날..
돌룡의 영접을 받고 두마리의 아름다운 용을 접견한 후 용문을 지나 천진보탑에 이르러 욱일 승천하는 용송을 보고 왔으니..
이런 행운으로 금년에도 행복이 누리에 가득하기를...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도 걷기 - 대아자연휴양림 (0) | 2012.01.30 |
---|---|
임도 걷기 - 남이 자연휴양림 (0) | 2012.01.28 |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0) | 2012.01.22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0) | 2012.01.18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0) | 2012.01.15 |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임도걷기에 나섰다..설연휴..더이상 망설이다가는 뱃살이 굳은 살이 되겟다..
충북 청원군 미원면 미동산 수목원..
입구에서 만나는 MTB도로 겸 임도 8KM.. 그곳을 걸어간다..
8부능선을 따라 S라인과 V라인 지데루 갖춘 임도가 숨어 있다..
금년 대한인 어제는 우수인양 비가 내리더니..
오늘은 햇살이 봄볕처럼 양양하고 바람도 잔다..
고라니 쉼터에서 따스한 물로 목을 적시고..
정상향해 600미터 오른다..
정상 쉽터에서 바라보는 능선은 푸른 연꽃이 겹겹이 에워싸고 있다..
따스한 햇살바라기 할양으로 누웟는데..끝없이 투명한 푸른 하늘에 마음이 물들다..
오늘 이곳 통째로 전세 낸것 처럼 정말 고요하다..
MTB 길이라해도 벼루길 까정 준비된 은밀하고도 정겨운 길에서 내 발들이 호강한다..
오늘 걸은 거리..임도 8KM + 정상 왕복 1.2KM = 9.2KM
이어 부근 옥화자연휴양림에 들렀다..
여기도 임도가 잇다..우선 맛보기로 작은 코스로 돌았는데..기대 밖의 만족..
조금 걸어 들어가니 심심산골 느낌이 강력하게 다가온다..
산림욕장에 한아름이 넘는 나무들이 내뿜는 수향에 잠시 단전을 가다듬고..
언제 다시 이곳을 주테마로 걸어야 겠다..
멋진 길을 만나면 즐겁다..
세상은 길로 이어진 소통의 마당..오늘 이 길로 세상과 소통한다..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도 걷기 - 남이 자연휴양림 (0) | 2012.01.28 |
---|---|
충청 걷기 - 갑사 (0) | 2012.01.23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0) | 2012.01.18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0) | 2012.01.15 |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0) | 2012.01.09 |
愛자 투구
모략과 배신이 횡행하는 일본 전국시대..
애(愛)자 투구를 쓰고 싸우던 장수가 있었다..
우에스기 카게카츠의 가신 나오에 카네츠구..
다른 사람에게는 불교의 애염명왕에서 따왔다고 보였지만,
그에게는 고향, 백성,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이 우선이었다..
사람이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을 지키려고 하였던 사람..
전국을 통일한 히데요시에게 항복하여 상경하는 길에 애자기를 펄럭이며 애자투구를 쓰고 연도의 백성들의 시선을 잡으며 행군한다..
통일된 일본에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며..
하지만, 히데요시는 그 창끝을 조선으로 돌려 무고한 생명을 도륙하였으니..
난세인 전국시대..삼국지의 관우처럼 비견되는 인물이 에치고의 영주 우에스기 겐신..
그가 내세운 의(義)..
그의 생전에 오다 노부나가의 군대에게도 승리하였으나, 그의 사후 그의 후계자 카게카츠에 이르러 오다 노부나가의 공격으로
멸망이 예견되었으나,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반란으로 사망하자, 기적적으로 살아남아 히데요시와 맹약을 체결한다..
히데요시 사후 이에야스 반대편에 가담하였다가 항복..그로 인해 닥친 시련..
새로운 세상에 우리의 의가 어떻게 통할 지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이 방식외엔 살아 갈 방도가 없다.
인생은 어차피 잠시동안의 꿈이다..
이에야스가 카네츠구에게 2대 쇼군 히데타다에게 의와 애를 가르쳐달라고 하자..
"우리의 사랑과 의를 가르 칠수있으나 뜻은 빌려드릴 수 없습니다.. "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씨 청탁 (0) | 2012.02.16 |
---|---|
맑고 한가로운 집 (0) | 2012.01.28 |
관맹자재 (0) | 2011.12.28 |
쌍백당..두그루 잣나무의 집.. (0) | 2011.12.18 |
바위솔의 꽃바람 전시회 (0) | 2011.12.11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금강걷기에 나섰다..
오늘은 부여 수북정에서 강경 황산대교까지..
금강은 지금 수술중이다..
코도 높이고..주름도 잡고..앞으로 붓기도 빠지고 상태가 좋아질 때 까지 시간이 걸리겟지..
서둘러 공사구간을 빠져나간다..
강..
예전에 고속도로, 물류, 소통의 장이었는데, 이젠 소통없는 토론의 주제로 전락했다..
그렇게 걸어 파진산을 지나며 백제의 마지막으로 수다를 떨어본다..
1) 당나라 군은 주력이 이 강을 통해 수군으로 부여를 공격햇을까, 육로군는 어느 방향으로 진군했을까
- 유력설은 당군이 기벌포(기벌포, 현 장항제련소) 건너편 군산(당시 갯벌)에 최초로 상륙하였을 것으로 본다..
군산의 오성산 전설에 의하면 부여로 가는 길을 묻는 당군에게 일부러 허위로 알려주어 순사하였다는 5성인의 설화가 전해온다..
그뒤 당군은 금강을 따라 웅포, 강경, 석성(위 파진산 부근)을 통과한다..파진산이라는 지명도 백제의 진이 깨졌다는데서 유래한다..
결국 기벌포도 함락되고 당군은 수군과 함께 금강 양안으로 진군하였다고 보아야 하리라..
파진산을 통과한 당군은 황산벌 싸움에서 신승한 신라군과 합류하는데, 신라군이 하루 늦었다는 이유로 신라 참군 김문영을 참수하려다 김유신의 반발로 그만 두엇다는 이야기는 역사책에 맡긴다..
2) 의자왕은 공주로 피신한뒤 왜 급히 항복했을까, 공주 성주에게 체포되어 자의반 타의반 항복했는가..
파진산을 지나니 나무테크 길이 시작된다..
예전 벼루길의 흔적을 보니 진작에 걸어보지 못한 아쉬움이 피어오른다..
강은 그 많은 역사를 삼키고도 꿀먹은 벙어리다..
버스를 강경으로 돌려 법원부근 식당에서 젓갈백반을 들었다..
일제시대 삼남 제일의 상권을 자랑하던 이곳의 쇠퇴는 서비스의 몰락에서 실감한다..
어쨋거나 시장한 배는 젓갈이 재촉하는 밥에 만족했다..
오후엔 강경 옥녀봉에서 6키로 남짓한 거리에서 출발한다..
강엔 철새가 동동..
강길을 걸으며 생각한다..
제행무상(諸行無常)..모든 형상은 일정함을 유지할 수 없다..
모든 것이 변한다..
성주괴공(成住壞空) 생주이멸(生住異滅)..
생기고 머물다가 무너지고 사라진다..
태어나고 머물다가 변하고 소멸한다..
강길의 운명도 그와 같으니 누구를 욕하고 누구를 원망하랴..
멀리 옥녀봉이 보인다..
우리나라 산 이름 빈도 중 랭킹 3위 안에 드는 이 이름은 바가지 모양의 산모양을 따서 지은 것이다..
특이하게 옥녀봉 정상에는 큰 나무가 우산이나 양산처럼 서잇다..
옥녀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금강..
대붕이나 금시조의 착륙이라도 기다리는 공항 활주로 같은 모습이다..
강경포구..
한때는 금강의 하구 역할을 하면서 온갖 바다 배가 짐을 부리던 곳인데..
이제는 하구둑으로 막혀 불임의 강이 되었다..
언제 다시 배가 다니는 소통의 강으로 부활할 수 있으려나...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 걷기 - 갑사 (0) | 2012.01.23 |
---|---|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0) | 2012.01.22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0) | 2012.01.15 |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0) | 2012.01.09 |
눈길 걷기 - 정초 (0) | 2012.01.02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단재 신채호 생가에 갔다..
대전 중구 어남동 도리미 마을..
단재...붉은 마음을 가슴에 품고 살았던 사람..
지금도 외진데..조선 말기엔 정말 심심산골이었으리..
산으로 둘러싸인 분통만한 이곳에 도리산 정기를 타고 났단다...
하여 세수할 때도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니 그 기개 그대로 일생을 살았다..
단재가 8살까지 이곳에 살다가 부친 사망후 청원군으로 이사갔다..
생가에 예서로 쓴 단재의 시가 걸렸다...
人生四十太支離(인생사십태지리) : 인생 사십 년이 너무도 지리하여
貧病相隨暫不移(빈병상수잠불이) : 가난과 병 잠시도 날 떠나지 않는구나
最恨水窮山盡處(최한수궁산진처) : 한스러워라, 물 다하고 산 다한 곳
任情歌曲亦難爲(임정가곡역난위) : 내 마음대로 노래부르기도 어렵구나
- 백두산도중(白頭山途中 -
또 한쪽엔 "가을 밤에 읊다" (추야술회秋夜述懷)의 시가 행서로 써있다..
孤燈耿耿伴人愁 고등경경반인수 가물거리는 등불아래 근심만 가득하여
燒盡丹心不自由 소진단심부자유 일편단심 다 태워도 자유롭지 못함은
未得天戈回赫日 미득천과회혁일 하늘이 준 창으로도 밝은 해 되돌리지 못했으니
羞將禿筆畵靑丘 수장독필화청구 몽당붓으로 청구강산의 역사를 끄적임이 부끄럽구나
殊方十載霜侵鬢 수방십재상침빈 이역 땅 방랑십년 귀밑머리 서리내려
病枕三更月入樓 병침삼경월입루 병들어 누운 베갯머리 삼경의 달빛만 비쳐드네
莫說江東鱸膾美 막설강동노회미 말하지 말게나! 강동의 농어회 맛이 좋다고
如今無地繫漁舟 여금무지계어주 지금은 고깃배 맬 땅 한뼘도 없다네
저 앞산이 도리산인가..
외가인 안동권씨의 터전에서 태어나 초년을 보냈다..
생가를 나오다 옆 임도로 접어 들었다..
응달의 눈길 오르막을 지나니 어쭈..제법 그듯한 임도가 전개된다..
생각지도 않게 진흙 속에서 진주알을 줏은 양 즐겁다..
단지 좀 짧은게 흠이다..
돌아오는 길에 언덕에서 바라보는 생가..양지바른 곳이다..
정류장 건너 동네 뒷길을 가서 걷기도 하고..
돌아오다가 무수마을 안동권씨 유회당을 방문한다..
부모를 생각하는 그 마음을 간직한다는 집..
정갈한 동네..소나무처럼 청청하다..
겨울엔 이런 담벼락이 해바라기 하기 좋은 곳이지..
겨울에도 붉은 것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있다..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도 걷기 - 미동산 수목원, 옥화자연휴양림 (0) | 2012.01.22 |
---|---|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0) | 2012.01.18 |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0) | 2012.01.09 |
눈길 걷기 - 정초 (0) | 2012.01.02 |
겨울 걷기 (0) | 2011.12.25 |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충청걷기..태안 노을길이다...
졸다가 내린 곳..안면도 백사장 해수욕장..
흰모래 대신 하얀 눈이 가득..
해변길을 따라 걷는다..
이코스의 특징은 밀물때와 썰물때 코스가 달리 설정되었다는거..
밀물이 시작되어 갯바위길을 걷다가 이 구간에서 바닷물이 들어와 뒷팀은 웅덩이를 건너뛰다 바닷물에 신발이 젖었기도...
하지만 아직도 이쪽은 밀물 들어오기 멀었다..
물론 퇴로도 있으니 안전하고.. 그래서 S자 싸인을 보내나 보다..
조개..불가사리..생동하는 바닷가..
마음속 갈등은 바다에 새겨두고 그렇게 해변을 걷는다..
사구 지역을 지나면 기지포..
여기서 일단 식당에 들러 큰조개 칼국수로 점심요기..
다시 걷기..
오늘 코스: 백사장해수욕장 - 기지포 - 두여전망대 - 밧개 - 방포 - 꽃지 12km ..
너무 짧아 노을 시간 까지 여유를 피워야 된다고 엄포를 놓아 다시 백사장에서 재출발한다..
그 덕에 이번에 해송숲길로 걷는다..
다시온 기지포..
철지난 바닷가를 걷는다..
다행히 아직 망령은 안난 바다..
바람도 없이 포근하다..
이 사구지역에서 나무테크길로 걷고..
하얗게 햇살 부서지는 바다가에 하얗게 내려 앉은 백설..눈이 시리다..
창정교에서 두여 전망대로 이르는 길..
하늘과 바다와 눈의 조화..
그 하얀 속살을 살그머니 밟으며 걷는 기분이란..
갯길에는 조개 부서지는 소리가 가득하다..
조개들의 옛이야기는 사라지고..
어느 연인이 그리고 갔을까? 눈에는 조개깍지가 씌였네...
오래 오래 행복하기를...
밧개에서 방포해변으로 간다..만작의 활시위 같은 해변을 따라...
방포 전망대로 오르면..
쪽빛 푸른 바다..
그대들 행복하신가?
방포를 지나고..
이름도 특이한 두에기 해변를 지나면 산길로 접어들고..
꽃지 앞 할미 할애비 섬이 보이고..그새 썰물이 시작되어..
모세의 허락을 받았는지 바다를 가른다..
5시무렵 해도 적당히 기울어 노을 길의 아름다움이 시작된다..
새해도 별수 없이 바다로 들어간다는 평범한 진리..
하지만 해가 져도 외롭지 않다..
왜냐하면 내일 다시 떠오르리라는 단순한 명제 외에도...
돌아서면 미소르 맞아주는 둥근 달이 기다리고 있으므로...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걷기 - 부여에서 강경까지 (0) | 2012.01.18 |
---|---|
임도 걷기 - 단재생가 (0) | 2012.01.15 |
눈길 걷기 - 정초 (0) | 2012.01.02 |
겨울 걷기 (0) | 2011.12.25 |
갈맷길 걷기 - 기장해안따라 용궁으로 가는 길.. (0) | 201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