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슈 엔젠 에린지(惠林寺)

 

이절은 전국시대 가히, 시나노의 영주 다케다 신겐의 위패를 안치한 절..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신겐의 아들 가츠요리가 토벌되면서 이절의 주지 가이센도 불에 타 숨졌다..

가이센이 그때 남긴 말이 주련에 붙었다..

 

멸각심두화자량(滅却心頭火自凉)

마음 번뇌 없어지면 불 속도 서늘하다...

 

위 시의 원전은 중국 선시..

 

三伏閉門披一衲   삼복 무더위에 문 걸어 닫고 기운 옷 한 벌

兼無松竹蔭房廊   방 뜰엔 송죽 그 림자 하나 없다지만

安禪不必須山水   하필이면 편안하고 시원해야 참선일까

滅得心中火自凉   마음 번뇌 없어지면 불 속도 서늘한 것을.

 

두순학이 여름 어느 날 오공(悟空) 선사의 거처를 찾았다가, 선사가 참선하는 모습을 보고 읊은 시이다.

오공 선사는 찌는 듯한 삼복 무더위에 문을 꼭 걸어 닫고 누더기 승복을 걸친 채 참선하고 있다.

밖에는 소나무와 대나무도 자라지 않아 뜰에는 한 점 그늘도 없다.

하지만 참선이라고 해서 꼭 시원하고 편안한 곳에서 해야만 제 맛이겠는가.

아무리 무더운 곳에 있어도 마음의 번뇌만 없애면 저절로 시원하고 서늘해지니, 편안하고 자유자재한 삶이 마음 밖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두순학이 "마음 번뇌만 없애면 불 속에 있어도 저절로 서늘해진다"고 읊은 것도 이 때문이다. 진정한 깨달음의 경지를 읊은 시로, '멸득심중화자량'을 간단히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멸각심두화자량(滅却心頭火自凉), 멸득심두화자량(滅得心頭火自凉), 멸각심두화역량(滅却心頭火亦凉)도 같은 뜻이다.

'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평불류(水平不流), '인평불어(人平不語)  (0) 2012.03.16
인간 오십년  (0) 2012.01.29
감사하는 법  (0) 2011.12.19
꽃을 바라보는 마음  (0) 2011.12.15
산산조각  (0) 2011.12.01

 

 

정초에 걷기에 나선다..

눈이 탐스럽게 내린다..

 

 

눈길을 걸으며 옛일을 생각한다던 유행가 가사만 입에 맴돌뿐..

머리 속도 순백의 눈밭이다..

 

 

밝은 길을 가는 자를 위하여는  그 길에 드리운 그림자를 짊어지고 가는 자가 필요하다는데..

눈이 모든 것을 순백으로 덮어 그림자는 없엤으되, 인간으로 하여금 흑백의 분별을 없애지는 못하는구나..

 

 

홀연히 한풍이 몰아치니..여기가 소백산인지..태백산인지..

 

 

발의 노고로 손이 녹고 가슴이 더워진다는 이치..

 

 

정초에 서설을 맞으며 걷는 길..

부디 금년에도 밝고 행복한 기운이 누리에 가득하기를...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도 걷기 - 단재생가  (0) 2012.01.15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0) 2012.01.09
겨울 걷기   (0) 2011.12.25
갈맷길 걷기 - 기장해안따라 용궁으로 가는 길..  (0) 2011.12.25
걷는 자에게   (0) 2011.12.23

 

관맹자재..

관대함과 엄정함을 적절히 구사하는 것..그것이 정치라는 이야기..

어디 정치 뿐이랴..교육도 외교도 마찬가지다...

공명의 갈림길이라는 일본 드라마에 나오는 저 글씨..

화해의 글씨였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맑고 한가로운 집  (0) 2012.01.28
愛자 투구  (0) 2012.01.21
쌍백당..두그루 잣나무의 집..  (0) 2011.12.18
바위솔의 꽃바람 전시회  (0) 2011.12.11
살아가면서 그리운 사람이 있다는 것은  (0) 2011.12.08

 

 

날이 추워지니 아침 강길 걷기도 빼먹기 일수다..

이 몸의 주재가 누구냐에 관하여는 오랜 세월 논쟁이 있었지만..

잠시만 방심하면 노예처럼..돼지처럼 살게 되는 요즘이다..

 

 

아침부터 요란을 떨어 몸에게 군기를 잡고..핑계거리만 있으면 꽁무니 빼려는 정신도 다그친 연후에야.. 

산길 걷기에 나선다..

 

 

올해 처음 보는 고드름..그로 인해 하늘은 더욱 푸르다...

 

 

응달에 쌓인 눈을 밟으며 자신을 칭찬한다..

마음이란 어린아이 같아서 어르고 달래야 하나보다.. 

 

 

사철 푸르름을 간직하고 사는 존재도..계절따라 멋지게 변용하는 존재도 모두 옳다..

 

 

내려오는 길...간이 식당에서 양미리와 만났다..

연탄물 위에 오글 오글 익으며 추억을 이야기한다..

그옛날 한풍을 막아주는 햇볕 가득한 담벼락 앞에서 들려주던 맛있는 이야기 잊었느냐고..

문득..과거로의 백일몽을 꾼다..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걷기 - 태안 노을길  (0) 2012.01.09
눈길 걷기 - 정초  (0) 2012.01.02
갈맷길 걷기 - 기장해안따라 용궁으로 가는 길..  (0) 2011.12.25
걷는 자에게   (0) 2011.12.23
금강 걷기 - 백마강길  (0) 2011.12.18

 

 

갈맷길 걷기에 나섰다..

KTX에서 설핏 잠들었다가 설국에 다녀온 꿈을 꾸었나 보다..

눈길을 엉금 엉금 기어서 역에 도착한 꿈을...

 

 

부산역에서 지하철로 1시간걸려 장산역에 하차..

기장가는 180번 버스를 기다리는데 소식이 없어 주변에 물어보니 그런 버스는 안다닌다나..

소개 책자의 정보는 잘못되었나 보다..

택시타고 1만원을 투자하여 죽성리 황학대에 도착..

오늘 걷기 시작..

 

 

황학대는 고산 윤선도가 7년간 유배살던 곳이다..

황학대에 올라 고인이 보던 바다를 느껴본다..

 

 

오늘의 코스는 기장읍 죽성리 황학대 - 월전리- 대변항- 연화리- 오랑대- 수산과학관- 해동 용궁사 - 공수리 - 송정해수욕장에

이르는 14KM..

 

 

자유...

내가 부산 갈맷길을 찾는 이유..툭터진 공간에서 느끼는 자유,,해방감..

 

 

믿음, 소망, 사랑 가운데  그중의 제일이 사랑이듯이

자유, 정의, 진리 가운데  그중에 제일은 자유다..

 

 

설국의 꿈이 여기서는 푸른 남국의 꿈으로 변환된다..

나는 지금 여기를 꿈꾸고 있는가?

 

 

굴껍데기처럼 단단히 감싸고 나온 길..

양양한 햇살이 몽롱한 바다빛깔로 유혹하며 나를 벗게 만든다..

 

 

하지만, 가끔은 찬바람이 불어와 정신을 들게하고..

돌아보는 현실은 아스팔트길이다..

이 포장길은 황학대에서 오랑대까지 쭉이어진다는 현실을 감내해야한다..

 

 

그런데, 월전리를 지나자 순복이가 주인의 부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우리를 앞서 가며 길을 인도한다..

저 바다에서 불어오는 자유의 향기가 가출을 유혹하였으리..

한참을 따라오던 순복이 떼어놓느라 고생..

 

 

대변항에서 풍기는 오징어 냄새에 평정심을 잃고 한마리 매수..

녹신한 살맛에 입안 풍기는 은근한 그 냄새..좋다..

 

 

점심은 대변항 짚불 곰장어 구이..

주인에게 물엇다..

왜 기장에 와서는 짚불 곰장어를 먹으라 하는지..

못살던 시절..싸구려 곰장어를 흔한 짚불에 구워먹던 싼티의 향수아니던지..

모습이 흉칙하다고 동행은 한점 먹고 멸치찌게를 시켜버리고..

나는 혼자 2인분을 해결하느라  배가 두둑..

맛있다..얼릉 불소주 1잔 반주 삼아..오찬의 즐거움을 만끽하고..

 

 

 

연화리로 가면서 갈매기 희롱하며 룰루라라 걷는다...

뭐 갈매기가 나를 희롱하는지도 모르지만..

 

 

 

속도를 늦추면 아름다운 세상을 그저 지나치지 않고 좀더 바라볼 수있다..

세상을 들여다 보는 것은 바쁜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대변항에서 연화리 가는 길도 계속 아스팔트 찻길..

군부대 옆 길로 들어 갔다가 나오는 길을 못찾고 철조망을 넘다가 사타구니가 걸려 고생.. 

 

 

연화리 포구 애기등대가 이쁘다..

부산의 해안은 노다지다..포구에.. 횟집에..

 

 

드디어 찻길에서 벗어나는 길로 접어든다..

자유는 너저분과 혼돈을 동반자로 하는지...해안도 널린 쓰레기로 몸살이다.. 

 

 

오랑대..

선비 5명이 풍광에 취해 음주가무를 즐겼다던가..

 

 

오랑대 옆으로 길다운 길이 전개된다..

 

 

백수 갑장..갈대들이 반겨주는 해변길..

속도를 늦추고(Slow down), 음미하고(Taste), 관찰하고(Observe), 깊이 생각하라(Ponder)..

이 해변에서 나는 STOP이다..

 

 

길은 수산과학원 옆길로 이어진다..그 길 끝에 용궁사가 보인다.

 

해동 용궁사가 보인다..

중턱에 해수관음이 동해를 관조하고..

 

 

용궁사에서 만나는 동승..원만구족..

 

 

축원대로 모두들

날마다 좋은 날이 되기를 바라오..

 

 

용궁단...

여기가 용궁 입구인가 보다..

 

 

용궁사에서 바다쪽으로 시랑대로 가라고 하는데..길은 보이지 않고..

그저 다시 산길로 접어 들어 공수포로 넘어간다...

 

 

기우는 햇살에 길은 보석처럼 빛난다..

 

 

멋진 갈대 숲길도 만나니.. 오늘 길 중에 가장 고요하고 편안한 곳이라..

의자를 펼치고..잠시 따스한 차를 마시며 바다를 바라본다..

 

 

공수포를 돌아서면 죽도공원과 송정해수욕장이 기다리고..

오늘 걷기는 막바지..

 

 

삼포길의 끝자락에서 만났던 송정을 오늘 다시 만났다..

송정 갈매기는 여전히 즐겁다..새우깡 하나에 춤추면서..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길 걷기 - 정초  (0) 2012.01.02
겨울 걷기   (0) 2011.12.25
걷는 자에게   (0) 2011.12.23
금강 걷기 - 백마강길  (0) 2011.12.18
충청 걷기 - 서화천 구진벼루  (0) 2011.12.17

 

문경의 명주 호산춘

 

술이름에 특이하게 춘자가 붙엇다..

세 번 덧술한 술은 깊고 그윽한 맛을 내고, 주도를 높인다하여 주를 고상하게 춘주라 부른다.

술이름에 ‘춘’이 붙는 이유는 여기서 유래하며 술 가운데 가장 좋은 특품을 의미한다.

서울의 약산춘, 평양의 벽향춘 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문경의 호산춘만이 춘주의 명맥을 잇고 있다.

 

기생 입술처럼 부드럽게 넘어가는 술이다..

호산춘 마신 상주목사가 밤에 요강을 들이켰다는 취하면 대책 없게 만드는 술..

 

솔잎은 호산춘에 없어서는 안 될 재료 중 하나다. 은은한 솔 향이 술에 스며들고 술을 짤 때 완충역할까지 한다.

18도.. 황갈색.. 

 

호산춘 마시며 고담준론하다가 졸던 생각이 아련하다..


'풍류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꽃기약  (0) 2012.04.21
옥녀봉 아래에서  (0) 2012.04.14
풍류(風流)  (0) 2011.11.26
충무공의 활쏘기 실력  (0) 2011.11.05
단소 배우기  (0) 2011.11.05

믿는 자에게 복이 있고..

걷는 자에게 힘이 생기나니..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걷기   (0) 2011.12.25
갈맷길 걷기 - 기장해안따라 용궁으로 가는 길..  (0) 2011.12.25
금강 걷기 - 백마강길  (0) 2011.12.18
충청 걷기 - 서화천 구진벼루  (0) 2011.12.17
둘레 걷기 - 용호교  (0) 2011.12.11

 

부부모임에 갔다..

나오는 길에 글씨에 필이 꽃힌다..

 

사랑한다..고맙습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게해준 당신은 제게 너무 소중한 사람입니다..

당신과 영원히 함께 하고 싶습니다..

 

멋진 글 그림이다..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순잔치에 가서..  (0) 2012.05.13
부처, 법원 그리고 산  (0) 2012.04.22
듣는 마음  (0) 2011.12.20
장사익..  (0) 2011.12.09
레슬링은 쇼다!  (0) 2011.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