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구 선생이 최후의 휘호를 서각한 것..


백범이 암살당하기 4개월 전인 1949년 2월 독립운동가 손정채(1947년 타계)의 딸 손승월 씨에게 써 준 글씨로, 지금까지 알려진 백범의 글씨 중 최후의 것이다.


‘月到千虧餘本質 柳經百別又新枝(월도천휴여본질 유경백별우신지) 대한민국 31년 2월 74세 백범 김구’로 크기는 세로 83cm, 가로 33cm.

 

‘달은 천 번 이지러져도  근본은 그대로이고, 버들은 100번 부러져도 새 가지가 돋는다.."

*** 

행서체는 인쇄체 같은 해서체와 자유분망한 초서체의 중간 정도의 여유를 보여주는 서체이다..

흔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하게 마음가는데로 쓰는 글씨랄까?

옷으로 따지면 의식용도 아니고 잠옷도 아니고 평상복이라고 할까?

 

백범의 글씨체의 특징은 떨리는듯한 필체이다..

수전증 때문이 아니고 왜경에 맞은 총알이 박혀 있어서 글씨를 쓸 때 특정부위의 통증으로 자연히 떨리게 되었단다..

 생전의 백범은 유머러스하게 자기 글씨는 총알체라고 하였다..

 

정말 존경스런 글씨라 아니할 수 없다..

 

***

위 글귀의 시는 조선조 상촌(象村) 신흠(申欽·1566~1628)의 작이다..

 

桐千年老恒藏曲 (동천년노항장곡)

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휴여본질)

柳經百別又新枝 (유경백별우신지)

 

오동나무는 천년을 묵어도 본래의 곡조를 간직하고

매화는 일생 동안 춥게 살아도 제 향기를 팔지 않으며
달은 천 번 이지러져도 그 본질은 그대로이고 

버드나무는 100번 꺾여도 새 가지가 돋는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림에서  (0) 2011.01.21
흠휼이란(전서체-정향)  (0) 2011.01.18
공수래 공수거  (0) 2011.01.13
친구에게 술 한잔 권하노니  (0) 2011.01.12
남간정사에서 진경문화를 바라보다..  (0) 2011.01.05

 

 

한참 웃엇다..ㅎㅎㅎㅎ

눈물이 빠지게..ㅠㅠㅠㅠ

'웃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은 얼마나 웃었나요  (0) 2011.08.19
인생 종 칠뻔  (0) 2011.05.20
4자성어 넌센스 퀴즈  (0) 2011.01.10
박근혜 유머  (0) 2011.01.06
반기문 유머  (0) 2010.12.17

 

 

 

어느 음식점에 갔다..

술을 마시다 쳐보니 웬 사람 둘이 쳐다보고 잇다..

자세히 관찰하니 글씨 해제가 써있다..

空자를 사람 얼굴 처럼 썼다..

일종에 전서체라고 할까..

 

공수래 공수거..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글의 출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득의 양양한 맹상군을 울렸다는 시귀..

 

空手來 空手去   공수래 공수거

世上事 如浮雲   세상사 여부운

成墳墓 人散後   성분묘 인산후

山寂寂 月黃昏   산적적 월황혼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나니

세상사 모든 일 뜬구름과 같도다

죽은 뒤 무덤에 들어가고 사람들이 가고나면

적적한 산 속에 달빛만 외로울테지..

 

 

솔로몬이 다윗왕의 반지에 새겼다는

" 그것 또한 지나가리니"와 같은 정서랄까?

 

큰틀의 사람은 기쁨의 절정에서도 감정을 조절하여 방심을 경계하였나 보다..

점심에 후배들과 점심을 하고 먼저 보내고 느긋하게 계산하려보니..아풀싸..

지갑이 없네..

곰곰히 생각하니

지갑을 집에 두고 나왔네..

하여..직원을 오라 부르고 홀로 룸에 앉았는데  눈에 들어오는 시귀..

 

 

중국 당나라 중기의 시인 왕유..

 

 그대에게 술한잔 권하노니

 마음편히 지니시게


 세상인정이란 물결같이 뒤집히는 것

 백수되도록 사귄 벗도 칼을 겨누고
 성공한 이도 후배의 앞길을 막나니


 풀빛은 비에 젖어 푸르름 짙어져도
 봄바람 차가와 꽃은 피지 못하거늘


 뜬구름 같은 세상 말을 해 무엇하랴
 누워서 배불리 지내는 게 제일이지

 

 

 

그 옆에는 행서체로 한문을 써놓앗다..

 

酌酒與君君自寬  작주여군군자관 
人精蒜覆似波瀾  인정산복사파란 
白首相知猶按劍  백수상지유안검 
朱門先達笑彈冠  주문선달소탄관 
草色全經細雨濕  초색전경세우습 
花枝欲動春風寒  화지욕동춘풍한 
世事浮雲何足問  세사부운하족문 
不如高臥且加餐  불여고와차가찬 

 

원제목은 酒與裵迪(작주여배적)"으로서, 불우한 친구 배적에게 술을 권하며 위로하는 내용이다..

 

이렇게 술한잔 따라주면 시한수 읊어주는 멋진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니

내가 그런 친구가  되어주려고 하나..

시상은 천박하고 글씨는 비루하니..

백년하청(百年何淸)이라..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총알체)  (0) 2011.01.14
공수래 공수거  (0) 2011.01.13
남간정사에서 진경문화를 바라보다..  (0) 2011.01.05
유수체 - 창암 이삼만  (1) 2010.12.30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1. 현금 1억을 네 글자로 뭐라고 할까?

 

2.엄마는 하난데 아버지가 둘이면 뭐라고 할까?

 

3. 엄마가 길을 잃고 헤매고 있다면 뭐라고 할까?

 

 

 

 

 

 

 

 

 

 

 

 

 

 

 

 

 

1. 파란만장

2. 두부한모

3. 맘마미아

'웃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종 칠뻔  (0) 2011.05.20
순위권 밖  (0) 2011.01.14
박근혜 유머  (0) 2011.01.06
반기문 유머  (0) 2010.12.17
추장보다 높은 것  (0) 2010.12.12

 

 

충청걷기에 나섰다..

오늘은 청주 상당산성-우암산-31.공원-수암골..10KM

 

 

상당산성 남문인 공남문의 현판..

힘찬 예서체..

공남문이란 당길 공..두두릴 공자를 썼으니 아마 남쪽을 제압한다는 의미로 작명한 것 아닐까?

 

 

공남문 문루에서 성밖을 바라본다..

 

산성의 이름인 상당은 청주의 옛이름..

사극을 볼 때 계유정난으로 공신이 된 한명회의 공신군호가 상당군이라..지명이 귀에 익은 곳이었다..

한명회는 청주 한씨의 후손..청주시 상당구  방서동..속칭 대머리가 불리는 곳이 씨족의 세거지..

 

 

공남문에서 서쪽 성벽으로 걷기 시작한다..

어느 분이 성벽의 높이 낮아서 적을 어찌 방어하였을까 걱정한다..

산성은 성벽자체는 낮아보이지만 산 정상부위에 경사를 이용하여 지어져 실제 공격측에서 보면 몇배의 높이가 느껴지고..

축성에 따라 외부의 적은 대병력을 포진 시킬 수없어 숫적 우위를 허용치 않고 싸울 수 있다..

더구나 우리의 주력 무기는 활..사거리가 100여터 되니 투지만 있다면 쉽게 함락되지 않는다..

 

 

치성에 선 사람들..

성을 지키기에는 너무 화려한 복장이다..

 

 

서문이 보인다..

눈 덮힌 미호문 가는 길..한폭의 그림..

 

서문 미호문의 현판..

호랑이 같은 기상을 두루 펼치라는 뜻인지..

 

 

미호문의 문루에서 걸어온 길을 바라보니 감쪽 같이 고요하다..

 

 

저멀리 연무가 가득하여

한남 금북정맥의 산줄기가 섬인양 떠다닌다..

 

 

동문을 향해가는 길..

 

삶에 여유가 있는 사람에겐 "이 멋진 세상"이지만,

삶이 팍팍한 사람에겐 "이 풍진 세상"이란다..

이 풍진 세상을  멋진 세상으로 만드는 키워드는 바로 걷기가 아닐까?

 

 

동문인 진동문을 휘돌아가는 성벽길..

아름다운 풍광을 보랴..눈길 살피랴..

아이젠을 하고도 조심스럽다..

아이젠 하고도 미끄러지는 분에겐  액체치즈와 아몬드를 권한다..ㅎㅎ

 

 

산성마을 식당에 점심을 한다..

막걸리 한잔하면서 저 고드름 뚝 따 고추장에 찍어 먹어도 되겠다..

정말 고추 같네..

 

 

 

성안저수지..

원래 용도는 유사시 급수, 소화용.. 겨울에는 오락용으로 변신..

즐거운 부자의 썰매 놀이..부자가 저렇게 친하면 마음이 부자인게다..

 

 

 

상당산서에서 우암산으로 가는 길..

얼음골 우체통..행복한 예솔이네 가족에게 보내는 엽서는 아예 직접 써놨네..

 

아직 예고편인데도..

힘들지만 그래도 자랑스럽다고 위로한다..

저 글씨 쓰는 동안 거친 숨은 정돈되었겟지..

 

 

우암산 계단 쉴새없이 오른다..

숨이 턱에 차면 슬쩍 카메라를 꺼내드는 슬기로움..ㅎㅎ

 

 

방송사 송신탑을 지나면 우암산 길은 끝난다..

우암산.. 소가 누운 형상이라하여 와우산이라고 햇다던..

오늘 소 옆구리..안창살 부근으로 해서 등심쪽으로 맛잇게 잘 넘엇다..ㅎㅎ

 

 

 

정상..휴식처에 대 훌라후프를 돌리는 달인..작은 에펠탑도 보이구.."당신의 해"라는 축원도 받는 즐거운 겨울 걷기..

 

 

우암산에서 청주시내를 굽어보며 3.1공원으로 내려간다..

전에는 조용한 교육도시로 알려진 곳이 이젠 대처의 형국으로 변해간다..

 

 

삼일공원 주차장에 내려오니 해는 뉘엿뉘엿..

벽화마을 수암골은 가지못하고 김탁구내 팔봉빵집에서 배달한 빵냄새만 맡아보고 차에 오른다..

 

인연따라 살고 인연에 따라 걷는 것..

또다른 인연을 기대하면서 오늘을 마무리한다..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맷길 걷기 - 삼포 가는 길  (0) 2011.01.19
둘레산 걷기 - 구봉산  (0) 2011.01.17
눈길 걷기 - 연화사  (0) 2011.01.02
눈길 걷기 - 도솔산  (0) 2011.01.01
눈길 걷기 - 요산여호  (0) 2011.01.01

 

“지하철에서 경상도 학생들이 사투리로 얘기하자 서울 학생들이 ‘거기 좀 조용히 해주세요’라고 했어요.

그러자 경상도 학생들이 ‘이칸이 마 니칸이가’(이 지하철 칸이 너희들 것이냐)라고 받아쳤어요.

그러자 서울 학생들이 ‘거봐, 한국 사람 아니라고 했잖아’라고 했대요.”

 

***

 

 “경상도 학생들이 커닝을 하기에 서울 선생님은 ‘경상도 학생들이 왜 커닝을 많이 하니’라고 야단을 쳤대요.

그러니까 경상도 학생들이 ‘천지삐까리(‘많다’의 경상도 사투리)예요’라고 했대요.

서울 선생님이 무슨 말인지 몰라 다른 선생님에게 물어보니까 ‘쎄삐렀다(‘많다’의 또 다른 경상도 사투리)’라고 했대요.”

***

 

“개미와 코끼리가 결혼한 첫날밤에 코끼리가 개미 귀에 대고 뭐라 속삭이자 개미가 졸도를 했어요.

그 속삭인 말은

 

 

 ‘나 같은 아들 하나 낳아줘’였답니다.”

 

 

'웃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위권 밖  (0) 2011.01.14
4자성어 넌센스 퀴즈  (0) 2011.01.10
반기문 유머  (0) 2010.12.17
추장보다 높은 것  (0) 2010.12.12
나쁜 개..  (0) 2010.11.09

 

 

대전 가양동 우암사적공원내 남간정사의 현판

위  현판을 쓴 사람은 곡운  김수증(金壽增)이다..

곡운은 3학사 김상헌의 손자로 김수항의 형이다..

그들 형제는 우암의 제자로서 우암과 같은 노론으로 정치적 부침을 같이한 사람이다. 

동생과  스승이 유배가자, 강원도 화천에 은거하면서 조세걸로 하여금 곡운구곡도를 그리게 한다.

조세걸은 평양출신 문인화가로 달마도로 유명한 김명국으로부터 그림을 배운 사람이다..

그는 성리학 개조 주자의 삶을 흠모하여 은둔 속에서 멋을 추구하여 주자의 무이구곡도를 모방하여 화천의 경치를 곡운구곡도에 담게하였다.

그림을 그릴 당시 조세걸과 계곡의 경치를 직접 보고 어땋게 그릴지 상의하여 그리게 했다.

우리나라 진경산수화의 단초를 여는 계기가 된다. 

 

김수항의 아들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등 6형제는 백악산(북악산) 아래 살면서 후학들인 겸재 정선, 관아재 조영석, 사천 이병연 등을 지도하고 백악사단을 형성하여 풍류를 즐기면서 진경시와 진경산수화를 개화시키고 이른바 영,정조의 진경문화시대를 열었다..

 

그들이 추구하는 정신세계는 청에 멸망한 명을 계승한 것은 성리학의 나라 조선이라는 "소중화주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우리 산하를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관점을 일깨웠다는 점은 높이 평가해야할 것이다.

 

 김창집은 숙종시 영의정을 지내면서 겸재 정선에게 도화서 벼슬자리를 마련해주어 안정적인 경제기반을 제공하고 후원했다.

한데, 그의 5대손 김조순은 순조의 장인이 되면서 유명한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시대를 열었으니 과연 노론의 핵심들이다.. 

 

우암의 정자의 현판은 자신의 추종세력이 쓸 밖에..

 

남간정사의 글씨에서 조선의 인맥과 역사를 바라본다..

 

 

 

'쓰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수래 공수거  (0) 2011.01.13
친구에게 술 한잔 권하노니  (0) 2011.01.12
유수체 - 창암 이삼만  (1) 2010.12.30
쓰고 쓰고 이백번 고쳐써도..  (0) 2010.12.21
부유하면..  (0) 2010.09.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