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를 골라 번역한 책..

그의 평이 모두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지만 그중에 연암 박지원이 쓴 누나의 묘지명을 읽다가

이덕무처럼 나도 눈물이 났다..


***


유인(孺人) 휘(諱) 모(某)는 반남 박씨인데, 그 동생 지원(趾源) 중미(仲美)가 다음과 같이 묘지명을 쓴다.

유인은 열여섯에 덕수 이씨 택모(宅模) 백규(佰揆)에게 시집가 딸 하나와 아들 둘을 두었으며 신묘년 9월1일에 세상을 뜨니 나이 마흔셋의 나이를 얻었다. 지아비의 선산이 아곡이라장차 그곳의 서향 언덕 묏자리에 장사 지내려한다.

(자형) 백규가 어진 아내를 잃고 가난하여 살아갈 도리가 막막해 어린 자식들과 계집종 하나를 이끌고 솥단지 옷가지상자 따위 짐 궤짝을 끌고 배를 타고 산골짝으로 들어가 살겠다고 상여와 함께 출발하였다.

나는 새벽에 두뭇개 나루(斗浦)에서 전송하고 통곡하다 돌아왔다.

 

아아! 누님이 시집가던 날 새벽 얼굴을 단장하시던 일이 어제 일만 같구나.

나는 그때 막 여덟 살이었는데 (누나가 시집가는 것이 서운하고 분해서) 벌랑 드러누워 발버둥을 치면서 새신랑의 말투를 흉내내 말을 더듬거리고 점잖을 빼니, 누님은 부끄러워하다 그만 빗을 내 이마에 맞추었다.

나는 성이나 울면서 먹을 분통에 붓고 침을 거울에 뱉었다. 그러자 누님은 옥오리 금별 따위의 노리개를 꺼내주면서 나를 달래 울음을 멈추게 했다.

지금으로부터 스물여덟 해 전의 일이다.

 

말을 세우고 멀리 강위를 바라보니, 붉은 명정이 펄럭이고 배 그림자는 아득히 흘러가는데, 강굽이에 이르자 그만 나무에 가려 다시는 보이지 않았다.

그 때 문득 강 너머 멀리 보이는 산은 검푸른 빛이 마치 누님이 시집가던 날 쪽진 머리 같고, 강물 빛은 당시의 화장거울 같았으며, 새벽달은 누님의 눈썹 같았다.

울면서 그 옛날 누님이 빗을 떨어뜨리던 걸 생각하니, 유독 어릴 적 일이 생생하게 떠올라 기쁨과 즐거움이 많았으며 세월도 느릿느릿 흘렀었다.

그 뒤 나이 든 긴 세월을 이별과 슬픔에 괴로워하고 가난과 곤궁을 근심하다 훌쩍 시간이 지나갔거늘 덧없기가 마치 꿈결만 같구나.

형제로 지낸 날들이 어찌 이다지도 짧았더란 말이더냐.


떠나는 이 정녕코 뒷 기약을 남기지만       (去者丁寧留後期)

오히려 보내는 자 눈물로 옷깃을 적시거늘 (猶令送者淚沾衣)

저 조각배 이제가면 언제나 돌아올꼬        (片舟從此何時返)

보내는 자 하릴없이 언덕 위로 돌아오네    (送者徒然岸上歸)


***

위 묘지명을 처음 지을 때는 제목이  "백자 유인 박씨 묘지명"이었다.

위 글에서 보듯이 남편은 벼슬을 못하고 가난하게 살아다가 누나가 죽었다.

벼슬없는 사람의 부인은 유인(孺人)이러고 표시한다..

그러나, 누나 사후 남편이 벼슬을 하게되어 그 벼슬에 맞춰 누나는 정부인으로 추증된다..

그래서 다시 고쳐쓰고 제목이 "백자 증정부인 박씨 묘지명"이 되었다..


**

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와 쌍벽을 이루는 명문이다..

스님과 선비의라도 혈육의 정은 다를 게 없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프렌드 위드 베네핏  (0) 2018.11.17
<책촌평>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0) 2018.11.16
<책촌평> 문학속의 철학  (0) 2018.11.07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문학속 스토리를 철학적으로 분석해보는 책..

 그 중에 와 닿는 부분..


##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가 아니라 부조리한 존재라는 인식...

토스토에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에 등장하는 인간상을 이렇게 분석한다..


"나"라는 자의식은 언제 생겨나는가?

내가 어떤 고통의 주체일 때 자의식은 구체적으로 존재한다..

****

인간에게 모든 행복조건을 충족 시켜줘라. 부족한 것이 없도록

그러면 그는 행복 속에서 도덕적, 이성적으로 살까?

아니다. 배은망덕한 습성때문에, 배배꼬인 습성 때문에 추잡한 짓을 저지른다.

인간은 자기 삶을 합리적으로 , 건설적으로 잘 꾸려가려고 계획하지만, 한편으로는 망치고 싶어 한다.

인간은 자기 이익에 반하여 행동할 수 있는 부조리한 존재다.

이성은 거기에 비하면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

그러고 보니 안나 카레리나도 그런 인간상인 것 같다..

성 아우구스투스의 고백록도 그런 인간성을 고백한 것이고, 실존주의 소설도 그런 부조리를 다룬다..


###

깨달음은 무엇인가?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로 시작한다.


"우리가 열반이라고 부르는 것, 그런것은 존재하지 않아

다만 열반이라는 단어만이 존재할 뿐이지"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이 세계는 매 순간 순간 완성된 상테에 있으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완성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

그렇다면, 깨달음은 없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완성된 존재"임을 아는 것이 깨달음이 아닐까?

그러면 그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일어나 비추어라

뿌린 물처럼 흘러가리라"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0) 2018.11.16
<책촌평> 한시에 마음을 베이다  (0) 2018.11.09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책촌평> 성학십도  (0) 2018.11.01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공부(수양)를 통하여 성인이 될 수있을까?

될 수 있다는 것이 불교와 성리학이다..

실제로 방법론이 비슷하다..

차이라면 불교는 허심(虛心)을, 성리학은 실심(實心)을 추구한다고 할까?

하지만, 성리학자들은 불교를 배척한다..

거경을 바탕으로 궁리 실천 체인의 방법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여 진리와 자연과 합일이 되는 경지에 이른다..

거경이란 주일무적..선정, 화두삼매의 경지와 비슷하다..

하나에 집중, 몰입하여 마음을 다스려 수신하면 자신의  본성을 알게 된다..

그런 연후에 제가와 치국, 평천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성리학의 나라였던 우리나라의 말로가 어찌되었는가?

퇴계 이황이 탁마 숙고하여 성리학의 엑기스를 성학십도로 요약했다..

그런데, 너무 쉽게 학문의 정답을 알려주었기에 후학들은 정답만 외우다가 정작 문제푸는 방법론을 잊어버리고

빈 껍데기만 숭상하는 예론으로 흘러가다가 성리학의 나라는 망해버렸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촌평> 문학속의 철학  (0) 2018.11.07
<영화단상> 소울서퍼  (0) 2018.11.02
<영화단상> 인 디 에어  (0) 2018.10.22
<영화단상> 맨 오브 마스크  (0) 2018.10.14
<영화단상> 아델과 어니스트  (0) 2018.10.06



<책촌평> 바쇼 하이쿠선집


그는 17세기 일본의 하이쿠 시인이다..

김삿갓 처럼 일본 천지를 걸으며 하이쿠를 남겼다..

31세에 스승으로부터 하이쿠 작법서를 전수 받고, 교토에서 에도(도쿄)로 320km를 걸어갔다.

그리고 거기서 시인으로 활동한다..


"여행자라고

이름불리고 싶어라

초겨울의 비"


"오래된 연못

개구리 뛰어드는

연못 물소리"


그에게는 시가 곧 삶이었으며 삶의 결과가 곧 시였다.

시가 자기에게 오게 하기 위하여 늘 시적 감정으로 충만한 생활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살아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좋아한 것이 걷기 여행이었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41세부터 51세 사망시까지 10년간 수만리 걷기 여행을 통해 하이쿠의 경지를 승화시켰다.


"가진 것 하나

나의 생은 가벼운

작은 조롱박"


"이 길은 자연에 따라 사계절의 변화를 벗으로 삼는 일이다.

보이는 것 모두 꽃 아닌 것이 없고, 생각하는 것 모두 달 아닌 것이 없다"

'걷기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 걷기 - 꾀꼬리봉  (0) 2018.10.18
가평 걷기 - 칼봉산 경반계곡 물고랑길  (0) 2018.10.16
2만리를 걷다  (0) 2018.10.11
단풍 걷기 - 오대산 노인봉 단풍길  (0) 2018.10.08
강릉 걷기 - 심곡 바다 부채길  (0) 2018.10.05

 

 

 

 

평소 추사의 글씨를 좋아하여  추사관련 책을 많이 사 읽고, 추사 유배길도 걸었다..

그런데 이 책 처럼 충격적인 내용은 없었다..

 

기존 평론가들이 부작난화(不作蘭花)로 해독하는 것을 저자는 부정난화(不正蘭花)라고 해독하면서 완전히 다른 해석을 시작한다..

부정난화라고 해독하려면 정난화가 있다는 것인데,

정난화는 남송 말기  사초思肖 정소남鄭所南이 노근란露根蘭을 그리며 남송에 대한 충정과 반원 정신을 표현함으로서 시작된 난화를 말한다.

이런 충절을 강조하는 난화는 성리학이 절대적 이데올로기로 군림하던 조선에 들어오면서 선비문예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정난화 대접을 받게 었단다

 

그런데, 정소남 이전의 난화 즉 굴원의 이소 등에 나타난 난의 상징은 "백성의 소리"였단다..

추사가 추구한 부정난화란 이런 전통적인 상징으로서 난화를 그림으로써 "백성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공평한 인재등용 등으로 개혁을 바라는 동지를 규합"할 목적으로 난화를 그렸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추사는 고증학적인 입장에서 성리학의 공리공론적 경향을 배격하고 공자가 원래 추구했던 현실 직시하는 실사구시의 유학을 난화를 통해서 표방했다 한다.  

 

난엽이 오른 쪽으로 꺽인 그림은 서풍이 부는 것인데, 서풍은 가을 바람이고 역경, 고난을 뜻하고, 왼쪽으로 꺽인 그림은 동풍이 부는 것인데, 동풍은 봄바람이고 순경, 미래상을 표현한다

 

문자향, 서권기란 "그림과 글씨의 조형에서 풍기는 느낌"이 아니라 "난화의 제화시나 문장 숨겨진 사의(寫意)를 읽어 내야" 가능하다..

기존의 학자들은 그런 학문적 깊이가 없어서 추사의 글씨를 오독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한다..

이책을 읽다보면 저자의 고전 공부의 깊이가 느껴지고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저자는 말한다.

다산이 귀양지에서 500권의 책을 저술할 때, 지적 학문적 수준에서 그와 필적할만한 추사가 그저 난을 환쟁이 수준으로 희롱이나 했겠느냐고 반문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아들 상우에게 한 말이 의미가 있다..

아들 상우가 제주도에 종이를 가득 보내자, 추사는 서너 장이면 될 것을 많이 보냈다며, 

“넌 아직 난경취미를 터득지 못했다(汝尙不解蘭境趣味)”며 “문자향서권기를 가슴에 담아 그리면 많이 그릴 필요가 없으니 종이는 더 이상 보내지 말라”고 질책했다.

 

이 의미를 깊이 생각해보라.

단순한 난 그림이라면 많이 반복해서 그려야 발전할터이지만, 추사처럼 글자 속에 의미를 담으려면 난화를  많이 그릴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문자향, 서권기란 고전에 달통하고 자유자재로 변용할 수있어야 깊이 있는 제화시를 쓸 수 있고, 그런 연후에야 추사스타일의 난화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견지에서 본다면, 요즘 사군자 그림에 깊이 없는 제화시를 쓰고, 문인화라고 칭하며 "문자향, 서권기를 풍긴다"하는 것은  잘못된 이해의 결과라는 결론이 나온다..

 

 

 

 



4월-5월 사이 미국을 간다..

덴버- 5대 케년 - 샌프란시스코에 이르는 1550마일을 캠핑카로 로드트립을 하려고 한다..

여행준비는 나의 드림메이커가 기획하고 나는 동반자 격이지만

그래도 뭔가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해서 서점에 들렀다가 이책을 발견했다..

요즘 캠핑카를 꾸려 전국을 여행하는 "집시맨"이라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나에게 전혀 새로운 로드트립은 일종의 도전이다..

미국 횡단을 꿈꾸는 분들은 일독할 만하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셰이프 오브 워터  (0) 2018.04.09
<영화단상> 25시  (0) 2018.04.06
<영화단상> 파운더  (0) 2018.04.05
<영화단상> 파울라  (0) 2018.04.03
<영화단상> 최후의 총잡이  (0) 2018.04.01



소싯적에 신약성경을 읽으면서 맨 첫머리에 왜 족보가 나오는지 궁금했다..

이 책을 읽다가 알게되었다..

다윗의 후손 중에서 메시아가 나오리라는 예언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걸..

예수님이 다윗의 집안 출신이라는 것을 밝혀야 하기에..

다윗..대이빗, 다비드..

이 책을 읽다보니 그는 이스라엘 왕국 다윗 왕조의 시조였고, 그의 이야기는 왕조의 건국과정을 이야기한다..

마치 고구려 시조 주몽의 이야기가 연상된다..

다른 점은 주몽은 어머니 유화부인 이야기 처럼 사생아인데, 그에게는 어머니 이야기가 없고 아버지 이새의 이야기가 있다.

부인 소서노와 미갈의 이야기도 비교되고,

주몽의 아들 유리, 온조,비류의 이야기와 다윗의 아들들 암논, 압살롬, 아도니야, 솔로몬의 이야기도 그렇다..

다윗과 밧세바의 이야기와 개로왕과 도미의 처 이야기의 다른 결말도 비교된다...

다른 것이 있다면, 그는 철저히 신을 믿고, 신의 사랑을 받았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변검  (0) 2018.03.23
<영화단상> 영 빅토리아  (0) 2018.03.23
<책촌평> 호모 데우스  (0) 2018.03.22
<책촌평>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0) 2018.03.02
<책촌평> 술상위의 중국  (0) 2018.02.18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된 이유는 상상하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어느 원시 인류가 밤에 달콤한 꿈을 꾸었다..

그리고 재미들려 낮에도 꿈을 꾸고, 멋진 백일몽을 만들어 남에게 구라를 설파한다..

그리고 그 꿈구라로 사람들을 모으고 일을 벌였다..

그게 인간이 발전한 이유다..

그 중 가장 큰 구라가 신, 천국, 영생, 돈, 국가, 민족이라는 거다..

신을 믿으며 영생과 행복을 꿈꾸던 인류는 르네상스를 맞아 인간 중심의 인본주의 사상으로 전기를 맞는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불멸과 행복이 신이 아니라 과학을 통해 "가득"할수 있는 범위에 접근하기 시작한다..

그 첫 단초가 지능과 의식의 분리다..

의식이 없는 지능 즉 AI가 자율 학습능력을 갖추고 무한한 능력을 발휘하게 되자,

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AI보다 무능한 인류가 위기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커졋다..

최근 스티븐 호킹도 죽으면서  AI에 의한 인류의 멸종을 경고하지 않았던가..

또한 뇌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감정, 욕구를 과학적 조치로 조정 가능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인간은 AI에게 이용당할 가능성도 커졌다..

그러므로 이런 흐름 속에서 인간은 어떠한 가치관으로 자신의 가치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진지하게 고민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

진화론과 연기법..

그에 따라 만물은 중중 무진으로 변화한다...

인간들이 하는 행동, 생각이 그의 운명을 만든다..

나는 지능보다 의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지능이 의식 속에서 성숙되면 지혜가 되어나온다..

AI만으로는 두려울 일은 없으나 고도의 지능이 농축되어 어느 날 의식이 탄생한다면 인간의 미래는 어두워지겠지..

인간은 의식, 감정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그 파도를 타고 넘으며 지혜를 숙성시키는 수련, 수양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지혜가 있어야 AI의 부림을 받지 않고 AI를 부리면서 살 수 있다..


'말해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단상> 영 빅토리아  (0) 2018.03.23
<책촌평> 문제적 인간, 다윗  (0) 2018.03.23
<책촌평>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0) 2018.03.02
<책촌평> 술상위의 중국  (0) 2018.02.18
<영화단상> 코코  (0) 2018.02.18

+ Recent posts